저는 7학기 재학 중인 공대생이며, 6개월 정도 학부연구생을 하고 중입니다.
지금 연구실 분야는 재료/전산 시뮬레이션쪽입니다.
아직 부족한 것이 많지만, 그래도 나름데로 공부를 하면서 느끼는 것이 적어도 지금 분야에서는
이론적으로 깊이를 갖추는 것 보다는 결과를 얻기위한 전산 분야 테크닉 등을 새로이 적용하는 것이 더 선호된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이 분야의 이론적 토대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고싶어서 연구실에 들어온 저로선 상당히 아쉽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제가 여쭙고 싶은 것은, 공학에서도 더 깊이 이론은 알아가는 것이 테크닉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인가 궁금합니다.
아니면, 이론을 자세히 알려면 이론물리와 같이 이론쪽으로 분야을 잡아야 하는 걸까요?
+관련 내용으로 교수님께 상담을 받았는데, 교수님께선 "어느 분야든 높은 수준에 도달하면 깊이 이해해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니, 어느 분야에 개의치 말아라"라고 해주셨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2.03.30
재료/전산 시뮬레이션이라고 하시니 시뮬레이션 테크닉도 당연히 중요하죠. 테크닉이 있어야 계산 시간도 줄이면서 더 정확한 결과를 뽑아내니깐요. 그러나 이론적인 깊이가 없다면 해석 결과를 분석할 수가 없을 뿐더러 똑같은 해석 결과를 보더라도 그것을 받아들이는 깊이에 차이가 생깁니다. 그리고 그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를 수정하는 것도 이론적인 깊이가 중요하죠. 결론은 이론 공부는 매우 중요하다!!
2022.03.30
저도 시뮬레이션 관련 연구실에서 연구하고 있습니다. 저는 수치해석 기법 쪽으로 파고들어서 이것저것 공부하다보니 결국 물리 내용이 나오더라구요. 유체역학 시뮬레이션이라서 통계열역학 등의 물리도 알아야했었습니다.
물론, 굉장히 힘들었습니다. 수치기법만으로도 공부할 게 굉장히 많은데 물리 쪽도 공부하려다보니.. 주변에 물어볼 사람도 없고..
2022.03.30
재료/전산 시뮬레이션 연구 중인 대학원생 입니다. 이론적 토대가 시뮬레이션 툴의 동작 원리(DFT 계산)을 말씀하시는건지, 아니면 열역학이나 고체 물리같은 것을 말씀하시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후자의 경우는 필요에 따라 공부해두면 다양한 툴을 이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전자의 경우는 소요되는 노력 대비 아웃풋이 적은 것 같습니다.
2022.03.30
2022.03.30
2022.03.30
대댓글 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