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올해 한국에서 언론기사로 나오더군요.
노벨상 수상자 평균 연구기간 32년이라고... 그 기사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1. 30년 이상 같은 주제에 매달릴 수 있는 근성이 필요
2. 30년 이상 같은 주제로 연구할 수 있는 연구환경 조성 및 연구비 지원이 되지 않는 한국 학계 비판
(한국의 대학이나 정부는 무조건 3년~5년 안에 실적을 낼 수 있는 연구만 한다고)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4 - 후배가 고마워하면 모르겠는데 당연하다고생각하면 많이 그럴듯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18 - 학생때 내는 논문이 임용에 영향이 없으면 임용에서 뭘 보고 판단할까요 ㅎㅎ
글쓴이분의 마음도 이해가 됩니다. 아마 학생들의 경우에는 여러가지 프로젝트 상황이나 졸업상황으로 인해서 목표한 바 보다 낮은저널에 투고하기도 하죠. 하지만 이건 PI의 경우에도 매한가지입니다. 나중에 본인이 PI가 되셔도 여러가지 상황의 압박을 받기 쉽습니다.
근데 저도 학위받고 PI의 자리가 되면서(아직 주니어 of 주니어 수준이지만) 여러저널을 써보고 느낀게, 좋은 저널이라고 좋은 연구인것도 아니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는 점입니다. 그럼에도 오히려 윗분과 반대로 학생신분이기에 임용이든 일자리를 얻을때 좋은저널의 출판이 크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됩니다. 저도 그래서 박사/포닥때는 저를 포장할수있도록 좋은저널에 내려고 노력했고요.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14 - 제 후배들이나 제 제자들(제 커리어상 아직 다들 시작하는 단계지만)에게 항상 말하는게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충분히 고민해보라는 점입니다. 당연히 모두들 연구들을 보면서 survey는 잘해옵니다. 하지만 많은경우 survey 해보니까 이거 아무도안해서 해볼래요! 라는 학생들(아무리 고년차여도)이 의외로 많습니다. 저또한 그랬고요. 본인 나름에는 이거하면 이런점이 좋을것같아요 라고 하지만 들어보면 설득력이 부족한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연구를 시작하기 앞서서 상대방(지도교수)에게 연구의 중요성과 해야되는 이유를 설득시키는건 정말 중요합니다. 그 분야를 잘아는 지도교수조차 설득못하면 분야도 잘모르면서 몇분읽고 리젝션 결정하는 에디터들을 설득하는건 불가능합니다.
또한 의외로 학생들은 introduction/abstract은 그냥 요약본이라고 생각하는데, 사실 논문을 많이써도 가장 쓰기힘든부분이 abstract/introduction입니다. 이 짧은 문단을통해서 연구가 왜 필요한지가 확실히 드러나야 됩니다. 오히려 가장 쓰기쉬운곳이 본문입니다.
아무리 연구의 깊이가 깊어도, 원론적으로 이연구의 필요성을 상대방을 설득 못시키면 말짱도로묵입니다. 저또한 리뷰어/에디터로 참여하면서 가장 많이 쓰는 코멘트가 "연구 잘했는데 연구의 필요성이 잘드러나지않다" 라는점이고요. 잘 고민해보시고 다들 좋은연구 많이하시길 기원합니다.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8 - 여기더기서 정보들을 종합해서 결정하는 거죠. 님은 되게 피곤한 스타일이신 듯 ㅋ
이 교수님 연구실로 석사 진학해도 괜찮을까요?
20 - 뭘 붙어요 붙긴. 철학이 무슨 결투의 장이라도 되나보죠 ? 의미도 없는 말싸움에서 이기면 자신이 무슨 대단한 인물이라도 되는 줄 아나봄. 제발들 진짜 철학을 하세요. 어짜피 금방 무너질 자존감 세우는 도구로 철학을 이용하지 말구요.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8 - 저는 인정 못 하겠습니다.
건동홍보다 더 낮은 지방 국립대 대학원 4학기차입니다.
좋은 지도교수님 아래에서 학부연구생 포함 거의 3년간
JCR Q1 1저자 2편, 공저자 2편 작성하고 같은 연구실에서 박사 진학 예정입니다.
각자 하기 나름, 능력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대학교만 가면 좋은 주변환경에서 본인이 무조건 실적이 잘 나올 거라고 생각 하시는 거면 오만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32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선배나 교수가 모른다고 뭐라하면 넌 빠따맛을 모르냐고 내려치고,
안다고 뭐라하면 빠따치는법도 안다고 내려칩니다.
그렇게 선배들과 지도교수를 병원으로 보내고 병원비와 합의금으로 집도 잃고 차도 잃었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아직 빠따가 남아있거든요.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20 - Gpt 나오기 이전부터 이미 내 분야 논문은 피겨만 보고 내용 다 파악하는 수준이었어서 논문읽는데 gpt 안씀. 정독 필요하면 피겨 훑은 후에 정독함. 그래도 얼마 안걸림.
논문읽는데 gpt쓰는사람들 보면 한심함. 그런사람들은 평생 gpt없이는 논문 못읽는 수준에 그치는거임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7 - Gpt로 논문 읽는사람 보면 마치 한 자릿수 덧셈도 암산이 안돼서 계산기 쓰는 사람 보는 심정임.
물론 gpt좋고 효율적이지. 근데 gpt 없이도 혼자 해결가능한 수준에 오르고 나서 gpt 쓰는게 의미가 있는거지.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2 - 피인용수 20,000회 넘는 우리 교수님도 gpt로 한번 요약하고 읽으시는데... 취향은 있지만 한심하다고 할 정도인가요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20 - 교수님들은 지잡대 교수님들도 다 훌륭하신 분들입니다.. 결국 학생들 수준이 교수님과 연구실의 평가를 정하게되는거죠.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7 - 숭실대 다니시나보네요 ㅎㅎ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5
도대체 외국어도 못하면서 무슨 학문을 한다는 걸까요?
2025.04.07

도대체 왜 그러는 걸까요. 외국어 못하면 대필을 하든 번역기를 돌리든 조용히하지.. 어째서 티를 내는지.. 솔직히 번역기 돌리는 건 지 사정이고 돌려서라도 쓰겠다니.. (김건희 욕할 자격없는듯) 한편으로는 차암 그 노력이 가상하다싶은데,...
그게 당연하다고 말하거나 그런 쓸데 없는 걸 왜 배우냐는 둥 소리를 할까요. 저는 이 소리를 (심지어 지방대 석사졸업생이자 국립기관 정직원이 계약직 직원에게 심지어 서울대출신들도 꽤 있는곳)저 들으라고 말 하는걸 들었습니다.
저 외국어 잘하는 편도 아니고;;; (외국이라곤 교환학생 6개월 그것도 제 3외국어 배우러간거입니다. 참고로 이글과 상관없는 외국어)서울대출신도 많아서 기본 2개국어 하는 사람이 널린 연구실인데
솔직히 저런 사람들 때문에 지방대출신이 무시당하는 거 같아 화납니다. 저도 타과출신 지방대생이지만 어떻게든 명문서 살아남으려고 열심히 했습니다. 자기들은 지방대 교수들이 추천서 써주고 계약직 넣주고 했지만 전 도와주고 밀어주는 사람 하나 없었어요. 정말 국립기관 연구실장이 이력서 보고 맨땅에 해딩했다고 할정도라 말 다했죠
여담이지만 상사들에게 모함을 했는지 나름 제 석사졸업한 학교가 명문대임에도 기어이 상사 입으로 "나 때는 ㅇㅇ대는 아무것도 아니었다"라는 소리를 듣게 하더군요(나중엔 상사가 뭔가 이상하다고 느꼈는지 잘해주셨지만ㅋㅋ )
참고로 위의 연구사는 지방사립대 티지역 중위권 지방국립대 석사였습니다. 저를 ㅇㅇ도에선 취업을 못하게 하겠다는데 제가 왜 거기서 정규직을 해야하는지도 모르겠단 생각이 들고 ㅋㅋ 예를 들어 자기 지도교수가 화학과 교수고 제가 생물학도인데 자기교수의 힘을 빌어 저를 협박하겠다 하더군요ㅋㅋ(저희 교수님도 장난아니신분인데.. 그 전에 이런일로 말씀드렸다간 한심하게 생각할듯)
급 열받아서 풀어봅니다
-
168 30 46992 -
289 26 35677
이사할때 청소시키는 교수 신고해도됨? 명예의전당 91 74 5575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68 - 지잡대생의 열등감
279 -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51 - 철학자ABCD고머고 왜어그로가끌리는거죵???🤔🤔🤔🤔
21 -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5 - 우물안 개구리들이 되지 마세요.
15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34 -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21 - Yk>>>>>>>>>>>>>ist임
13 - 안녕하세요. 철학자 B 입니다.
8 -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17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16 - 김박사넷 대학원생 박사학위 수여식.jpg
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7 - 미국 아이비리그 합격 가능성 있을까요? (서강대졸/대기업4년차)
25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15 - 이 교수님 연구실로 석사 진학해도 괜찮을까요?
13 - 현실적으로 광명상가 cs 라인에서 kaist ai
11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7 -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6 -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6 -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1 - 지스트/유니스트 인기랩실 vs 포항공대 비인기 랩실
6 - 중졸이에요... ㅜㅜ
11 - 대학원생의 연애와 결혼은?
7 -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18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68 - 지잡대생의 열등감
279 -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51 - 철학자ABCD고머고 왜어그로가끌리는거죵???🤔🤔🤔🤔
21 -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5 - 우물안 개구리들이 되지 마세요.
15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34 -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21 - Yk>>>>>>>>>>>>>ist임
13 -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17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16 - 김박사넷 대학원생 박사학위 수여식.jpg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유
30 - 컨텍 메일 답변이 어느정도 긍정적인건가요?
8 -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7 - 미국 아이비리그 합격 가능성 있을까요? (서강대졸/대기업4년차)
25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15 - 현실적으로 광명상가 cs 라인에서 kaist ai
11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7 -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6 -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1 - 지스트/유니스트 인기랩실 vs 포항공대 비인기 랩실
6 - 중졸이에요... ㅜㅜ
11 - 대학원생의 연애와 결혼은?
7 -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9

2025.04.07
대댓글 2개
2025.04.07
2025.04.07
2025.04.07
2025.04.07
2025.04.08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