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국내 박사보다는 아무래도 해외 박사가 좋겠죠?

2022.05.20

23

5709

국내 박사로도 아카데믹한 영역에서 인정을 잘 받을 수 있을까요?

주변에 국내 박사출신이 많은 편이긴 한데 뭔가 애매한거 같아서요 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2022.05.20

님이 해외 박사보다 논문 잘쓰면 인정받는거에요 같은 논문 실력이면 해외박사가 조금 더 유리한 측면이 있겠지만요
글쓴이분 욕하는건 절대 아니지만 본인 능력이 없는걸 해외박사들에게 열등감 품으며 사는사람 종종 봐서 불쌍한 마음에 얘기드립니다

대댓글 3개

2022.05.20

열등감은 아니고.. 제가 아직 박사중이 아니긴 한데 진로 고민중이라서요 ㅎㅎ;

2022.05.20

ㅋㅋㅋㅋ아아 당연히 글쓴분한테 열등감 가지고있다고 한건 아닙니다 오해하지마시길
행복한 코페르니쿠스*

2022.05.22

국내에서 해외 박사보다 논문 잘 쓰기 쉽지 않습니다 (물론 잘 하시는 분들도 있죠. 평균적으로 이야기하는 겁니다). 그렇게 따지면 학부도 지방대 가서 실력만 좋으면 되죠. 괜히 국내에서 고생하지 말고 해외로 가세요.

2022.05.2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국내박사와 해외박사의 장단점이 분명하게 존재합니다.
trade off가 다양하니 잘 따져보시길..!

2022.05.20

실적이 제일 중요
국박이면 학부의 중요성이 미박보다 큼

2022.05.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솔직히 말해서 재료, 화공, 반도체, cs 중 몇몇 세부 분야 정도 빼면 나머지 모든 분야 연구 수준은 미국 대학교 수준이랑 비교가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 연구실 아니면 국내에서 우물 안 개구리가 되지 마시고 무조건 미국 나오세요. 돈도 훨씬 많이 받고 잡일 아예 없는 수준이고 조교 의무도 보통은 적어요. 논문 수준이 문제가 아니고 네트워킹과 그 이후에 포닥 기회 등이 훨씬 열려 있고 학회 참여와 영어 활용도 훨씬 낫습니다. skp 학부라면 주위에 대부분 유학 가려고 하는거 아실테고 그 밖에 학교라도 가장 잘 되는 경우는 보통 유학가서 잘 되는 경우인 걸로 알아요. 무조건 높이 가려면 유학 가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2.05.21

그 유학이 얼마나 힘든지 아니까 못가는거아닐까요

2022.05.20

요즘 임용시장을 보면 미박보다 skp 박사가 실적을 압도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더군요.
미국 top10 대가 그룹에 갈 수 있는 정도가 아니면, skp 탑 그룹으로 가는 것이 나을 수도 있어요.

대댓글 11개

2022.05.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서울대 자대생들도 재료, 화공, 전기, cs 정도 빼면 탑20까지는 무조건 유학가려고 합니다... 물론 skp에서 잘하면 미박 준하게 잘 할 수 있죠. 근데 미박에서 잘하는 사람은 미국에 남아요... 그 임용시장 내용은 미박 잘 안 풀린 케이스와 skp 에이스 급을 비교하는 거에요

2022.05.20

너무 일반화 하시는듯 하네요. 미국에서 잘하는 사람이 미국에서 남는다니요. 미국에서도 실적 탑급이여도 한국 리턴 하는분 진짜 많습니다.

2022.05.20

아 물론 spk 박사가 미박보다 실적을 압도하는 경우가 많다는거에 동의하는건 아닙니다.

2022.05.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죄송하지만 제가 언급한 분야 빼고는 탑급 실적이 국내에 돌아오시는 경우가 거의 없는 것 같아요 혹시 그런 케이스가 있으면 말씀 부탁 드립니다

2022.05.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 미박에서 잘한다는게 한국인 중에서 잘 하는게 아니라 미국 좋은 학교에서 임용될 만한 경우를 말하는 겁니다

2022.05.20

네, 저도 당연히 미국 전체에서 탑급을 의미한거구요. 가우스님은 생각보다 이민을 너무 쉽게 생각하시는거 같습니다. 다른 나라에서 학위를 받는 것과 그곳에서 거의 평생을 살아간다는 것은 정말 너무너무 다른 일 입니다.

저는 생각나는 교수님만 5명 이상인데, 제 분야가 가우스님이 언급하신 분야 중 한 분야긴합니다. 제 분야가 아니더라도 서울대나 카이스트 교수님 찾아보면 금방 답은 나올것 같습니다.

언급해주신 유학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공감은 합니다. 하지만 유학과 직장은 매우 다릅니다.

2022.05.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제가 유학생이고 자리 잡은 분들 꽤 봤고요, 개인적으로 저희 분야 및 근처 분야에서 skp에 미국에서 탑급 연구자라고 할 수 있는 분은 아쉽지만 거의 없는 것 같아요. 백명 중 서너분? 미국에서 괜찮은 연구자면 몰라도 탑10급 교수로 임용되셨을까? 의문이 많이 듭니다.

2022.05.20

요즘 시대에 무조건 미국이라는 건 없어요~
미국 top 10 정도면 학교 네임벨류 자체에 의한 플러스가 있다고 생각하고,
국박이든 미박이든 결국에는 실적으로 이야기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미국 top 10 대가 그룹이 아니라면 위에 이야기한 네트워킹/포닥 기회/학회 참여 등은 국내에서 했을 때랑 차이가 크지 않을거 같구요~

2022.05.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정말로 미국 나가보신 적 없는 것 같네요 ㅎㅎ 제가 말한 분야 제외하고는 한국에서 탑 그룹이라고 불리는 교수님들이 미국 탑20 안에 있는 학교들에서 보통 박사받고 오셨고요, 실적이 중요하지만 네트워킹 기회가 비교가 안되는건 포닥만 나가봐도 알 수 있습니다 ㅎㅎ 학생 대우가 전혀 다른건 말할 것도 없고요 뭐 더이상 소 귀에 경 읽기 하진 않겠습니다

2022.05.22

가우스 같은 사람들이 전형적인 출신 학교, 랩의 성과에 자신을 동일시 하는 사람들임. 나도 미국 박사중이지만 참 부끄러움. 본인 능력이나 키우시고, 본인이 소라는걸 인지하시길...
행복한 코페르니쿠스*

2022.05.22

혹시 국내 대학 교수님 아니세요
씩씩한 버트런드 러셀*

2022.05.20

분야에 따라 다른데.. 윗 분 말씀처럼 우리나라가 잘하는 분야는 미국 상위권 대학만큼 하는거 같습니다. 사실 대학원생 수요도 거기에 몰리죠 ㅋㅋ 그런 케이스 아니면 이미 훤히 보일겁니다 아 한국에선 좀 갈길이 멀구나

2022.05.20

연구 그리고 논문실적만 가지고 해외로 가야한다 라고 말하기에는 국내 랩도 충분히 좋은 실적 많이 뽑아 내는 걸로 알고 있음. 하지만 그러한 단편적인 시각 보다, 해외에서 다양한 사람들과의 네트워킹 그리고 타국에서의 적응은 해외박사를 하면서 겪을수 있는 정말 값진 경험이라 생각함.

2022.06.11

한국에서 박사해서 미국 주립대 교수자리잡는 분들 종종 있는것 같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