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졸업을 앞두고 연구직쪽에 관심이 생겨 대학원 진학을 염두하며 여러 정보를 서칭하고 있습니다
학과가 화학베이스라 지금 현재 배터리 쪽이 핫하다고 알고는 있는데
이 인기가 언제까지 갈지, 향후 산업에 대해서 전반적 상황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배터리 관련 분야 랩으로 진학을 고려하는데
선배님들께서는 이 분야 미래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약삭빠른 윌리엄 켈빈*
2022.06.21
진짜 껍질만 아는 분야긴한데 2차 전지 중에서 전고체 배터리랑, 3차 전지 이런쪽만 남지않음?
대댓글 1개
2025.04.19
3차전지 ㅇㅈㄹ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2.06.21
no one knows.
energy storage쪽이나 harvesting은 특히 애매.
2022.06.21
배터리랩 나와봐야 LG화학,엔솔, SDI, SKON 밖에 갈데 없지 않나요? 연구실들 졸업생 진로를 잘 보시고 수요가 꾸준하고 여러군데 적용 가능한 분야로 가십시오. 그런데로 가도 배터리 랩 나왔을때 가는 회사들 정도 취직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학계 진출도 더 수월할수 있구요. 한학교에서 배터리 교수를 얼마나 뽑겠습니까..
대댓글 3개
2022.06.2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현대자동차, 삼전, 외국계 회사도 가고,,가천대 부터 학부에 배터리학과 신설해서 교수뽑고 있죠,,,신설 학부 늘어날듯,,,,
2022.06.21
가기야 가죠, 그러나 제일 많이 가는 배터리 회사 자체가 그렇게 상위 티어 회사들이 아니기 때문에 같은 학교 수준이면 다른 분야에 비해 진로가 낫다고 할수가 없습니다. 현차 삼전 가기에 더 좋은 분야 널렸잖아요. 그리고 배터리 학과를 만들어도 그 배터리 학과를 배터리 전공 교수들로 채우지 않습니다. 거의 대부분 포지션은 기존 교수들 옮겨다가 만드는거지요. 학부생들이 배터리를 전공한다고 해도 결국 기존 전공의 기초과목을 거의 다 배우고 소수의 관련과목을 더 듣는거니까요. 그런데 이미 배터리 자리들은 2010년 초중반에 거의 다 채웠구요.
어차피 대기업은 웬만한 학교는 어딜 가도 다들 잘 갑니다. 배터리 회사들이 다른 대기업에 비해 대우면에서 나은게 없는 이상, 결국 정출연과 학교로 얼마나 갈수 있느냐가 중요한거지요. 지금까지의 결과를 보면 이쪽은 이미 레드오션입니다. 여기저기서 기존 교수들 모아놓고 배터리 이름붙여서 관련 연계전공,학과를 만들고 있으니 앞으로도 더 그럴것은 뻔해보입니다.
2022.06.21
대댓글 1개
2025.04.19
2022.06.21
2022.06.21
대댓글 3개
2022.06.21
2022.06.21
2022.06.21
2022.06.21
대댓글 1개
2022.06.21
2022.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