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새 고민이 많아져서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전 인건홍동 학석사 졸업했고 석사 3차쯤에 해외 박사 준비하다가 집에서 이번하반기만 준비해보면 안되냐 하셔서 준비했다가 덜컥 합격해서 회사를 다니고 있는 케이스입니다. 기계는 아니지만 기계계열전공이라 설계, 해석 업무를 지원했는데 막상 와보니 한번도 배우거나 들어본적도 없는 제어랑 통신쪽 일을 하고있네요...
점점 제가 하던 연구분야에대해 미련이 남고 박사에도 미련이 남아 퇴사하고 카이스트 진학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컨택은 끝난 상태고 이제 지원만 하면 되는데 박사 후의 미래가 불투명해서 망설여지네요. 그리고 제가 관심있는 분야는 매우 아카데믹한 분야이고 컨택한 교수님께서도 매우 학자?다우십니다. 그래서 그런지 연구실에도 학생이 많이 없더라고요.
졸업후 취업도 걱정됩니다. 졸업하면 30중반일테고 그 이후에 해외 포닥한 뒤 국내 정출연에서 일하고 싶은데 이게 맞나 싶기도 하는 두려움과 퇴사까지 하면서 도전하는게 맞나 싶기도 하네요
주저리주저리 길어졌는데 혹시 저와 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이나 이미 겪어보신 분 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2.06.27
어떤점을 고민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정출연가시는건 박사과정하면서 본인이 잘하면 충분합니다.
최근트랜드만 보면 웬만한 정출연을 가실거면 해외포닥은 솔직히 안가는게 낫고요. 대다수는 해외포닥 간다고하면 학교로 가는걸 목표한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어느랩을 컨택한건지 모르지만, 아카데믹하고 학자스러워서 연구실구성원이 적은건지, 아니면 다른이슈가 있는건지는 확인해보시는게 좋아보입니다. 특히 카이스트 기계과를 말씀하시는거면 더더욱이요.
대댓글 11개
2022.06.27
랩실 인원 적은 카이스트 기계과 교수님 맞습니다. 저도 걱정되어서 가장 최근에 박사 졸업하신 분에게 메일을 남겼었는데 교수님 인성 좋으시고 논문 지도도 적극적이시라고 피드백을 받았거든요. 정출연 가는건 본인 하기나름이라시니 그래도 도움이 되네요ㅎㅎ 감사합니다
2022.06.27
학생이 거의 없어서 박사과정진학하면 주변 동료 없이 혼자 연구해야한다는게 조금 걸리긴하네요
어딘지감도 안오네요.. 분야가 아카데믹하다고 연구실 사람숫자가 적진않아요. 막말로 완전 아카데믹한 교수님랩에도 10명이상이 있는데요.. 광학쪽으로 가도 7명이상은 되고요..
잘 알아보고 가세요.
2022.06.28
유체쪽이긴 한데 사람이 너무 적으니 그만큼 다른 이슈나 리스크가 있다 이 말씀이신거네요?
2022.06.28
원래 열유체쪽하시는분들 랩들 봐보세요.. 구성원들이 10명전후는 다 돼요. 김성진 교수님도 은퇴가 얼마나남으신지몰라도 아직도 꽤있는것으로 알고있고요..
전 아직도 5명미만이면 어느분 말씀하시는건지 모르겠네요.. 아 배충식 교수님연구실일러나?? 그교수님 은퇴 얼마안남으시지 않았나요? 박사를 받으시나
2022.06.29
공개적이라 대놓고 여기다 말씀드리기는 어렵네요. 기계과 랩실중에 인원 적은 랩실도 몇개 있더라고요. 사람이 없어서 고민이되는거죠..ㅎ
2022.06.29
여튼 잘 판단해보세요.. 기계과는 TO를 연구실별로 꽤 fair하게 나눠갖는편이라서(예전에는 좀 편차가 심했지만요) 연구실구성원이 없으면 분야말고 다른문제가 클 확률이 높습니다. 해당학과에서 학석박까지하면서 그래도 여러연구실 친구/동료있지만 분야가 마이너하다고 구성원이 적은건 아니에요. 마이너한걸 좋아하는 학생들도 많고요. 은퇴를 얼마 앞두신분 아닌이상, 구성원이 적으면 개인적으로 다른문제가 뭘지 알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해당연구실 출신은 웨만하면 본인연구실에 나쁘게말하진않죠.. 특히 박사졸업하면 지도교수와 갈등있던것들도 말끔히 해결된 상태입니다.
2022.06.29
여튼 잘 판단하시고 좋은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제가 아는 대다수의 랩은 신생랩&은퇴얼마앞둔랩이 아닌이상 최소 7명이상은 되는것같네요..
2022.06.29
네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2.06.27
랩에 alumni를 잘 살펴보세요. 본인이 아주 뛰어난 specialist가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그 alumni 의 진로가 내 진로와 비슷하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 Alumni 의 진로가 대부분 해외포닥, 교수, 정출연 등이고 나도 학계를 간절히 원하면, 해볼만 한 도전입니다.
2. Alumni 가 기업 위주로 진학했으면, 그냥 현재 기업에 남는걸 추천드려요. 현재 취업된 곳을 포기하고다시 진학하기엔 기회비용이 너무 큽니다. 거기에 박사를 통해 얻는것도 그리 크지 않아보이고요.
3. 반반이다. 그러면 본인의 능력, 상황, 열정, 기질 등등을 객관적으로 보고 오랜 고민 후에 내가 좀 더 원하는길을 선택하세요. 반반인 경우, 능력있고 열정있는 사람이 열심히 랩생활 하면 어느정도 기회가 따라주는 랩인 경우가 많습니다.
2022.06.27
대댓글 11개
2022.06.27
2022.06.27
2022.06.27
2022.06.27
2022.06.27
2022.06.28
2022.06.28
2022.06.29
2022.06.29
2022.06.29
2022.06.29
2022.06.27
대댓글 1개
2022.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