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 기계공학 3-2까지 마친 학부생입니다.
지금까진 준비한 스펙 으로는 : 학점 4.4/4.5, 어학 Teps 370 (평소에 영어를 잘하지 못 하여, 서울대 입학 기준만 맞추려고 노력했습니다), 학부연구생 2학기(로봇관련으로 하였습니다), AI/ML 관련 개인 공부 진행 중(파이토치 위주로 공부 중입니다)
제가 전공하고자 하는 분야는 AI/ML 분야 중에서 비전쪽 연구에 흥미를 느껴 해당 분야로 대학원을 진학하고 싶습니다. AI/ML 관련 흥미도 있지만, 솔직한 마음으로는 전통적인 역학을 다루는 기계공학의 전공이 크게 매력적으로 와닿지가 않습니다. 후에 취업을 하게 되더라도 SW관련 부서에서 일하고 싶습니다 (자율주행, 제어 등). 해당 분야가 아무래도 석사 이상의 자격을 요하다 보니 대학원 진학은 필수적이라 생각하였습니다.
***카이스트 AI 대학원의 경우 석사과정으로 모집을 하기 때문에 타대생 입장에서 석박통합으로 컨택을 시도해야하는 서울대에 비해 석사 후 진로 결정이 자유롭다는 점이 큰 매력으로 느껴졌습니다. 그러나 카이스트 AI대학원의 경우, 워낙 입학 난이도가 높을 것 같아, 기계공학부에서 비전을 연구하는 랩실이나, 미래자동차전공으로 입학을 하는 것이 더 유리할 지 고민이 됩니다 (해당 학과를 낮추려는 의도는 전혀 없고, 어디든 감지덕지입니다). 김박사넷에서 본 글에 의하면 H대 중점학과 수석이 떨어졌다는 이야기도 들어 겁이 나네요 ㅎㅎ,
여기서 제가 할 수 있는 선택지는 크게 3가지 정도인 것 같습니다.
1. 카이스트 AI대학원 지원
2. 카이스트 기계/미래자동차 대학원 지원
3. 서울대학교 석박통합으로 지원
3-1. 서울대학교 기계 대학원 지원
+) 베스트로는 카이스트 AI대학원 or 서울대 AI과정 석사과정 입학이라고 생각하지만 쉽지 않거나 후자의 경우 티오때문에 거의 불가능 할 것 같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2.07.31
카이스트 기계에서 학위받았는데, 윤국진 교수님 말씀하시는거면 인기랩이라서 컨택하기 어려울겁니다. 로봇랩이랑 그 랩은 자대생들도 개별연구생들 많을텐데요.. 그외에 ai하는곳이라면 황보제민 교수님일텐데 거기도 매한가지로 인기랩중 하나죠. 그외에 자율주행쪽으로 하면 최세범 교수님이나 김경수 교수님랩인데, 최세범 교수님랩도 동역학 고수들만 가는 이미지가 크고, 김경수 교수님랩은 워낙커서 편차가 커보이네요.
미래자동차학제는 왜굳이 가시는지 모르겠고요.
대댓글 7개
2022.07.31
정성스러운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미래자동차는 자율주행이나 제어쪽 하기에 아무래도 더 괜찮지 않을까?라는 생각과, 해당 랩에서 비전 연구한다는 석사 형 얘기를 들어서요..ㅎㅎ 물론 가게되더라도 계약학과 입학은 안 할 생각이었습니다. 그렇다면 타대생 입장에서 어떤 접근이 가장 좋을까요? Ai랩 경우 방학마다 카이리 인턴모집을 하는 걸로 아는데, 기계과 해당 인기랩의 경우 타대생 인턴은 거의 안 받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ㅠㅠ. 가능만 하다면 한 학기 휴학을 하고 설/카 인턴을 하고자 하는데 이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22.07.31
인기랩이 아니더라도 학과내에 타대생받는 제도가 없어서 연구실 자체적으로받아야되는데, 타대생안받아도 자대생들중 개별연구/urp하겠다는사람 넘쳐나서 굳이 안받을겁니다. 저도 10년간 주변에서 타대생인턴은 해외대출신빼고 한번도 못봣어요. 미래자동차쪽으로 갔던 학생은 주변에서 거의못봐서.. 차라리 아까말한 최세범 교수님이나 김경수 교수님랩 가거나 전자과 랩 가죠. 학점도 괜찮아보여서 입시에 어려움도 없어보이는데, 웬만하면 기계/전자과 랩으로 가세요.
2022.07.31
ai랩은 잘 모르니 다른분이 정보줄것같고요. 그리고 기계과는 석사/박사따로뽑기때문에 석사만하고 취업하는것도 가능합니다. 저도 로봇랩에서 학위받았지만, 석사후 취업했던 학생들도 꽤많았어요. 물론 교수님은 박사진학을 원하시겠지만, 크게 푸쉬하는 분위기는 아닙니다.
2022.07.31
조언 감사드립니다. 카이스트의 경우 사전 컨택이 크게 의미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입시에 합격하게 되더라도, 자대생들한테 밀려 비전이나 머신러닝 연구하는 랩에 못 들어갈 가능성도 굉장히 커보이는데, 교수님이 사전 컨택에서 답변 주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냥 ai대학원 입시 하는게 나을까요..?
2022.07.31
제가 졸업할떄까지만해도 입시끝나고 선호도 조사해서 연구실별 TO를 정하다보니 각 연구실이 TO몇개인지 몰랐는데(보통 4명 TO인곳 2-3곳, 3명인곳 6곳, 나머지 1~2느낌), 최근에는 연구실마다 TO2명씩알아서 뽑아라 느낌이라서 사전에 확답주는 교수들도 많아진것으로 들었습니다. 따라서 사전컨택해도 긍정적으로 답해주시는 교수들도 꽤있을것이라 봅니다. 자대생들도 다들 사전에 면담을 갖기도 하고요. 서성한에 그정도 학점이면(아마 한양대는 학점 그리 잘못주는것같아서 성대일것같은데) 주변 인기랩중에서 성대 비슷한학점인 학생이 들어간경우도 봤습니다.
우선 컨택은 해보시고, 본인 어필을 많이 해보세요. 특히나 자대생숫자가 저때에 비해서 많이 줄어서 타대생입장에서는 유리할겁니다.
ai는 어떤과정인지 제가 아예 몰라서.. 다른분께 조언을 구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어느 곳을가든 입시전에 컨택은 꼭 해두세ㅛㅇ.
2022.08.01
타대생 입장에서 잘 접하지 못하는 정보들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참고해서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건 여담이지만 학교 유추하신 부분 보면, 한양대가 학점을 더 안준다는 인식이 있나요..? 한양대도 학점 인플레가 거의 없는 학교지만 수치상으론 성대 a비율이 더 적더라고요,, 그리고 과 행정실에 전화해보니 석차를 알려줄 수 없다고 하더라고요…? 실제로는 저 학점보다 조금 더 높고 차석정도 가능 할수도 있을 것 같은데 컨택과정에서 어필하는게 좋을지 아니면 그냥 학점 보고 알아서 판단해주실지 궁금합니다.
2022.08.01
학위받으면서 성대 4.4는 그래도 몇 봣는데 한양대 출신들은 4.2이런 느낌이였어서 개인경험으로 유추해봤어요. 제가본 성대분들이 유독 학점이 높은거일수도 잇겟네요
2022.07.31
설대는 데싸 대학원은 있지만 AI대학원은 협동과정이에요. 그리고 데싸 대학원은 석사과정 많이 뽑아요~
대댓글 3개
2022.07.31
네 서울대학교는 ai협동과정이고 해당 랩실이 기계나 로봇쪽 교수님들이 많이 계시는 것도 알고 있고 본문의 서울대 ai는 이 협동과정을 지칭한 것입니다! 서울대 데싸 대학원은 전문대학원인걸로 알고 있는데, 일반 대학원과 특별한 차이점이 있는 것인가요? 데싸 대학원은 연구 위주보다는 데이터엔지니어 배출이 위주인 것처럼 보였는데, 제가 원하는 비전쪽 연구도 가능할까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2.08.01
네 전문대학원은 학부가 없어서 생긴 명칭일뿐 지도교수 찾고 연구논문 써서 졸업하는 운영방식은 일반대학원과 똑같아요. 석박통합도 있고 박사도 있고… 비전하는 교수님들도 몇분 계시니 가능할 것 같네요.
2022.08.01
아 그렇군요!? 생긴지 얼마 안 된 과정이다보니, 전문대학원 명칭에 대해 제대로 알려주시는 분이 없었는데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ㅎㅎ. 그리고 다른 글에서 보았는데 일반대학원과 전문대학원 동시에 지원이 가능한가요?? 어떤 글에서 ai협동과정이랑 데싸 두곳 다 붙었다는 내용을 봐서요.
2022.07.31
대댓글 7개
2022.07.31
2022.07.31
2022.07.31
2022.07.31
2022.07.31
2022.08.01
2022.08.01
2022.07.31
대댓글 3개
2022.07.31
2022.08.01
2022.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