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생인데 이번에 MDPI 1저자로 논문 쓰게 되었는데 이게 accept까지 나올것 같은데요
MDPI가 별로?라는 소리도 들은것 같고 그래도 SCI면 좋은거다 하는 사람도 있고 한데
아무래도 있으나 마나인가요?
서울 중하위권 대학에 재학중이고 학점도 3점 초반대인데
목표는 상위권 대학원이고 다음학기 졸업 예정이라 슬슬 컨택 넣고 있는데
학점을 엎을 수 있는 의미 있는 스펙이 될 지 잘 모르겠어요.
별것도 아닌걸로 자만 하는건지 아니면 진짜 좋은건지 잘 모르겠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2022.08.02
없는 것보다 낫습니다. 딱 그 정도
대댓글 1개
긍정적인 아르키메데스*
2022.08.02
ㅇㄱㄹㅇ
2022.08.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부생 1저자면 괜찮은거 같은데
2022.08.02
학부생이 영문 논문 있는건데 매우 좋은거죠
2022.08.02
어딜가든 없는것보단 좋습니다. 그리고 mdpi가 대표적일 뿐이지, 저희가 어느정도 들어보는 출판사+특정분야에서 강한 소수출판사를 제외한 곳들중 해적저널들은 널리고 널렸습니다. mdpi가 그중에서는 인지도가 높기때문에 대표적으로 욕먹는거죠.
박사급 실적이라해도 mdpi가 주실적이면 상당히 부족하지만, 서브실적으로는 괜찮습니다. 나중에 과제할때 논문실적용으로 mdpi에 투고할 일도 많습니다. 저희분야는 정출연에서도 mdpi sensors에는 꽤 내는편인데, 다들 ieee sensors나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2개
2022.08.02
특히 학부실적으로는 상당히 훌륭하죠. 메인저널에 냈으면 정말 눈에띄는 실적이되겠지만, mdpi실적이라도 웬만한 학부생이 겪지못한 연구&논문작업 프로세싱을 겪었다는걸 긍정적으로 평가할 교수는 많습니다.
그게 학부나 학점을 어느정도 커버할지는 주관적인 평가가 될테고요.
2022.08.04
큭.... 학점을 어느 정도로 커버할지는 주관적인 평가가 될거라... 차분하고 냉정하게 생각하면 그게 무조건 맞네요. 제 내적인 평가로는 이 실적을 박하게 보고 있지만 그래도 일단 한번 컨택을 높게 잡아보고 봐야겠네요
2022.08.02
없는거 보단 좋긴한데.. 탑티어 학회에 낼 수 있으면 학회에 내는게 훨 나음
대댓글 5개
뻔뻔한 토마스 홉스*
2022.08.02
본문에 학부생이라고 써놓은건 본거지?
2022.08.03
넌 썼냐?
2022.08.03
썻지 ㅋㅋㅋ AI는 못쓰면 탑티어는 박사과정 서류 광탈이야. 적당히 살거면 필요없고
2022.08.03
저도 썼는데 차라리 없는게 나을정도... 후..
2022.08.04
학회에 냈으면 어떻게 되었을지...ㅋㅋㅋ 전 일단 학부생으로서 낸 사실 자체에 만족하게요.
이걸로 높은 연구실에 컨택할 무기가 되면 금상첨화겠지만... 과연 어떨지
뻔뻔한 토마스 홉스*
2022.08.02
정말 궁금해서 그러는데 학부생이 mdpi든 뭐든 sci 논문 쓰는게 흔한일임??
대댓글 6개
2022.08.02
미국에선 학부생도 써야되고 생각보단 흔한일임. 요즘은 박사 지원하는데 탑티어 논문 하나 없으면 상위권 대학은 광탈이야 ㅋㅋ
뻔뻔한 토마스 홉스*
2022.08.02
상위권 대학이 미국 얘기임 한국얘기임?
2022.08.02
미국. 한국은 아직 뒤쳐지는듯
2022.08.02
상위권이 어느정도인지 모르지만, spk 선후배에서 top5~10 정도 갔던애들중 GPA관리잘하고 탑티어 논문 없이 적당한수준논문 정도로만 갔던 애들도 꽤 있었습니다. 심지어 10위권정도(GIT)는 논문이 아예없어도 갔던케이스도 많고요.
뭔 학부생이 탑티어 논문쓰는게 일반적인것처럼 말씀하시네요.. ㅎㅎ 주변집단이 어느정도 엘리트집단이길래 미국학부생들이 논문쓰는게 흔하고, 탑티어논문쓰고 상위권대학 간다고 말씀하시는건지 궁금하네요.
2022.08.02
그리고 제가 내년초 포닥가게되는곳도 top3인데, 거기가서 같이일하게될 박사과정 학생들이랑 한달에 한번씩 줌미팅하고있는데, 아직 논문 한번도 못써본 애들이 대다수입니다. 실제로 미국에서 학부다니신지와(어느정도 대학인지), 어느분야신지 알려주시면 다른사람한테 도움될듯하네요. 분야by분야로 실제 말씀하신것처럼 학부생이 논문쓰는게 흔한 분야도 있을테니까요^^
2022.08.02
미국 탑 10 학부, 대학원 박사과정이고 분야는 AI (NLP랑 CV) 이에요. 본문에서 CV 애기해서 분야얘기는 빼먹음. 컴공 (특히 AI) 는 이런게 심한듯
씩씩한 아인슈타인*
2022.08.03
본인이 롸이팅을 얼마나 했나요? 본인은 실험만 했고 논문은 교수님이 다 싸준건 아닌가요?
대댓글 3개
2022.08.04
거의 모든 부분은 제가 다 쓰고 교수님과 같은 연구실의 대학원생 분들이 검토하시고 어느 부분은 새로 고쳐라, 어느 페이지는 새로 써라 이런식으로 피드백 받아서 작성했습니다만.... 오히려 그거 때문에 불안합니다.
2023.06.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정말 당신이 다 썼나요?저도 남의 논문에서 글귀를 조금씩 고쳐나가며 썼다만요.
씩씩한 아인슈타인*
2023.06.13
솔직히 나는 대략 15 에서 20위권 대학에 있는데. 학부생이 직접 롸이팅 까지해서 mdpi썼으면 훌륭하게 생각함. 우리학교 정도에서는 mdpi 정도 만 일년에 몇개씩 써도 크게 문제 없는 연구실이 반쯤 됨. 물론 mdpi 논문은 러퍼런스 용으론 거의 안씀 내용이 대부분 다른 논문의 아류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2022.08.03
MDPI 퀄리티가 좋고 나쁘고를 떠나서, '일부' 또는 '대부분'의 저널들의 리뷰과정을 들어봤을때 '연구윤리' 적으로 문제가 있어서 피하는 거지요. 피어리뷰 타이틀을 달고 피어리뷰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니요. 위 댓글데로 과제성과때문에 프로쎄싱이 빠른 장점을 이용해 울며겨자먹기로 내기도 하지만, 사실 개인적으로는 그리 좋아보이진 않습니다. 본론으로 돌아와서, 학부생 실적으로는 도움이 되겠지만 피어리뷰 없는 프리프린트저널보다 좋아보이진 않습니다.
대댓글 2개
2022.08.03
이게 맞는 얘기..
2022.08.04
차분하고 냉정하게 생각하면 이게 맞네요. 딱 학부생이 할 수 있는 유별난 경험 정도고 좋은 경험이지만 대단하다고 할 정도는 아니고, 학점을 뒤엎을 무기가 되지는 못한다. 딱 이정도일것 같네요... 후ㅠㅠ
2022.08.05
학부생인 것을 생각했을 때 충분히 잘한 일입니다! 교수나 석박사 도움 없이 혼자 저널을 쓰고 피어리뷰를 통과한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저는 SK CS 학부였는데, 저희 동기중에서도 학부 때 SCI 1저자 가지고 졸업한 학생 별로(거의) 없습니다. 석박 지원시에도 분명히 플러스 요인이 될 것 입니다. 자신감을 가지시고 열심히 하시면 더 좋은 성과 내실 겁니다.
PS. 원래 이 사이트는 모두 미국 TOP 5학부에, 학부 때 탑티어 두세편 씩 가지고 있는 갓갓들만 모인 곳이어서 위 댓글들은 별로 귀담아 듣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저도 이 사이트 보면서 우리나라 논문이 탑티어에 이렇게 많이 accept되는지 몰랐습니다^^ 실제로 학회가보면 학생 주저자 논문은 한 두편 밖에 없긴 한데요..
대댓글 1개
2022.08.05
저는 시스템 쪽이라 CV는 잘 모르지만, CV여도 학부 때 SCI 1저자 낸 건 잘한 거고 경쟁력 있습니다 (물론 MDPI논문 1개로 끝나면 아쉽긴 하지만요..). 그리고 CV여도 학부 때 CVRR, ICCV, ECCV 1저자 내는 사람 SK에도 한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제발 과장하지 마십쇼..
2022.08.02
대댓글 1개
2022.08.02
2022.08.02
2022.08.02
2022.08.02
대댓글 2개
2022.08.02
2022.08.04
2022.08.02
대댓글 5개
2022.08.02
2022.08.03
2022.08.03
2022.08.03
2022.08.04
2022.08.02
대댓글 6개
2022.08.02
2022.08.02
2022.08.02
2022.08.02
2022.08.02
2022.08.02
2022.08.03
대댓글 3개
2022.08.04
2023.06.12
2023.06.13
2022.08.03
대댓글 2개
2022.08.03
2022.08.04
2022.08.05
대댓글 1개
2022.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