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컴공생이고 인공지능을 이제 막 배우기 시작했는데 언젠가 대학원에 진학을 할 거라 연구분야 또한 정해야 할 텐데 아직은 갈피를 잘 못 잡겠습니다.
그냥 이런저런 것들에 관심이 있는데, 제가 대학원에서 AI를 공부한 후 관련 분야에서 창업을 하는 것이 이상적인 목표 중에 하나입니다. (만약 연구실 생활이 너무 잘 맞으면 미박 가는 것도 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석사 수준에서 가능한 분야 중에서 가장 사업성이 있는 분야면 좋겠습니다만 아직은 그런 건 잘 모르겠네요.
대충 생각나는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로봇
-Human-Computer Interaction
-VR/AR/XR
-검색 (검색엔진)
-웨어러블
-Social AI
위의 분야들도 잘 모르고, 뭐가 유망한지도 잘 모르고, 뭐가 가장 어려운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김박사분들께서 보시기에 저 분야들 중에서 저건 아니다 하실 만한 분야들이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2022.08.07
님이 알아서 고르세요. 진짜 본인 인생에 대한 주체성이 그렇게 없는게 한심할 따름이다
대댓글 2개
2022.08.07
스스로 결정을 내리기 전에 정보를 모으는 과정입니다만?
노래하는 아이작 뉴턴*
2022.08.08
이것도 못모으면 연구자하면 안됌
2022.08.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몰라
2022.08.07
정보 많이 모으시고요
2022.08.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가지마세요 그냥
2022.08.07
이건 아니다 하는 연구분야ㅋㅋㅋㅋ 개웃기네
대댓글 1개
2022.08.07
제가 말한 가치관에 빗대서 "이 분야는 거기에 부합하지 않는다" 라는 거 여쭤본 겁니다만..; 막말로 너무 어렵거나 자원이 많이 필요해도 못 할 거 아닙니까?
2022.08.07
어허 찾아보고 스스로 판단하세요!
2022.08.07
여기 익명 커뮤니티긴 해도 디시인사이드는 아닙니다. 이런 식으로 여쭤보시면 저 분야 계시는 분들 감정만 상하고 원하시는 정보 아무것도 못 얻으실 겁니다.
대댓글 2개
2022.08.07
ㄹㅇ 저 분야에서 열심히 연구하는 사람들은 무슨 죄?
2022.08.07
저중에 나쁜 분야 고르는 게 아니라 제가 말한 가치관에 가장 덜 부합하는 걸 여쭤본 거라서 그 분야에 계신 분들이 기분이 나쁠 일인가 싶네요.. 제가 말한 가치가 "석사로서 할만한"과 "창업 가능성" 인데 대부분 그 외의 이유를 보고 분야 선택하시지 않나요? 과학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서, 교수가 되기 위해서, 재밌어서 등등.. 그래서 타격을 입으실 일이 있을까 싶은데 아닌가요?
2022.08.07
창업가능성은 저 분야들중에서도 특정 세부분야로 들어가서 어떤아이디어를 갖고 할지에 따라서 다른데 뭔 어떤답을 원하시나요. 한예로 웨어러블로 창업가능할수있나요? 이건 뭔.. 밑도끝도없는 질문입니까? 로봇으로 사업가능성 있는지도 웃기고요.
사업아이템이야 세부분야에서 본인이 찾는거고, 그게 어느정도 상품화가치가 있거나 경쟁력이있는지도 본인이 찾아야죠. 하다못해 각 분야의 스타트업들 분석이라도 해보시고 물어보는건가요? 로봇만으로 봐도 스타트업 넘칩니다.
IF : 1
2022.08.07
이건 아니다 싶은 연구분야가 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이 사람은 대학원생으론 아니다 싶은 판단은 들 때가 있습니다. 본문 글쓴이도 거기에 해당하겠네요 :-)
2022.08.07
저중에 나쁜 분야 고르는 게 아니라 제가 말한 가치관에 가장 덜 부합하는 걸 여쭤본 거라서 그 분야에 계신 분들이 기분이 나쁠 일인가 싶네요.. 제가 말한 가치가 "석사로서 할만한"과 "창업 가능성" 인데 대부분 그 외의 이유를 보고 분야 선택하시지 않나요? 과학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서, 교수가 되기 위해서, 재밌어서 등등.. 그래서 타격을 입으실 일이 있을까 싶은데 아닌가요?
--> 기분 나쁘죠. 님이 선택하신 단어가 잘못되었다고 봅니다. "저건 아니다" 저기있는 과들에 속한 분들이 충분히 기분나쁠만하죠.
노래하는 아이작 뉴턴*
2022.08.08
연구에 좋은 분야 나쁜 분야가 어딨냐 그건 연구자의 자세가 아니지 대세를 따르겠다면 최근에 많이 나오는 주제들 본인이 직접 찾아보는게 좋지않을까?
2022.08.08
https://www.youtube.com/watch?v=3smc7jbUPiE
리처드 파인만의 "자석은 왜 밀어내는가?"에 대한 답변의 유튜브 링크입니다.
7분 짜리 영상인데 질문 하는 방법에 설명해주는데 작성자님께서 한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부지런한 칼 세이건*
2022.08.09
석사수준에서 창업이 가능한 기술이라..
인공지능의 문턱은 참 신기하네
2022.08.11
다들 너무 날이 서 계시네... 그냥 내게 맞는 분야가 뭔지 모르겠다는 질문글로 받아들이겠습니다.
일단 목표 학교의 랩실을 쭉 훑어보세요. 그리고 거기에 등재된 paper를 골라 읽어보며 내가 하고 싶을지 생각하세요. 제가 있는 랩처럼 홈피에 reading list로 랩에서 관심있는 분야의 좋은 논문들을 모아놓은 곳도 있습니다. 이런 것들을 많이 읽어보세요. 그 정도 노력도 안 하고 기대만 한다면 그건 범죄...
대댓글 4개
2022.08.11
또 개인적으로 유망했고 유망할 분야는 컴퓨터 아키텍처라고 생각합니다만, 전기정보/전기전자가 아니라 컴공인 학생도 거기에 갈 수 있는진 모르겠군요. 전 전기 쪽이라
2022.08.11
그리고 이건 아니다 싶은 랩은 쉽게 고를 수 있습니다. 랩 내 자교생 비율을 보세요.
2023.02.14
CS과에도 컴퓨터아키텍처랩 있습니다, CA는 단순히 EE쪽으로 분류할수없죠 CS, EE에 공통된 분야인데
2023.02.14
카이 전산학부, 설포 컴공 홈페이지 보면 연구실목록에 전부 있습니다 컴퓨터아키텍처 관련 랩
2022.08.07
대댓글 2개
2022.08.07
2022.08.08
2022.08.07
2022.08.07
2022.08.07
2022.08.07
대댓글 1개
2022.08.07
2022.08.07
2022.08.07
대댓글 2개
2022.08.07
2022.08.07
2022.08.07
2022.08.07
2022.08.07
2022.08.08
2022.08.08
2022.08.09
2022.08.11
대댓글 4개
2022.08.11
2022.08.11
2023.02.14
2023.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