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을 플라즈마쪽으로 가려하는데 어떤가요?

재밌는 존 폰 노이만*

2022.08.06

19

5605

대학원을 반도체 플라즈마 쪽으로 가려하는데, 전망은 어떤가요? 국내에 반도체 관련해서 플라즈마 연구하는 연구실도 별로 없는것 같은데 너무 마이너하지않나 이런느낌이 들어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2.08.06

반도체공정뿐만아니라 반도체에서 없어서는안될분야라 취업하는데 걱정은 없을거 같은대요? 분야자체가 좀 어려울수는 있어요

대댓글 1개

재밌는 존 폰 노이만작성자*

2022.08.06

네 찾아보니 물리를 많이 필요하더라구요
말씀 감사합니다
삼성이나 하닉에서 수요가 많은가요??

2022.08.06

플라즈마쪽도 여러종류가 있을텐데 식각쪽이면 모든 반도체회사에서 환영할거에요
삼성 내에서도 식각하는사람들이 별로 없기도 하고 회전율이 빨라서요

대댓글 4개

2022.08.06

식각하는 사람이 없다기보다는 지원자가 상대적으로 훨씬 없다는 말이 맞습니다
재밌는 존 폰 노이만작성자*

2022.08.06

중요한 것 같은데 혹시 왜 지원자가 없는지 알 수 있을가요??

2022.08.07

진짜 중요하죠.. 그런데 우선 힘들기도 하고, 여기저기에 시달려야 합니다... 포토쪽에도, 증착쪽에도 등등
대신 그만큼 식각을 전공하면 다른곳 보다 입사에는 유리한건 확실합니다.
완전히 정확한 정보는 아니고 선배님들께 들었던 내용이라 참고정도만 해주세요
정확한건 마이너 아닙니다

2022.08.07

에칭이 로드가 빡세서 그렇습니다.

2022.08.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플라즈마 분야 좋은 연구실 들어가기 막 쉽진 않습니다. 서울대나 카이스트에 산업플라즈마 연구실 2~3군데 있는데 자대생 충원 정말 꾸준해요. (괴수랩 제외)

대댓글 4개

재밌는 존 폰 노이만작성자*

2022.08.07

서울대, 카이스트까진 무리일것 같고
한양대나 성대에도 있는것 같더라구요
찾아보니 한양대는 플라즈마 전자공학? 전기공학과이더라구요

2022.09.05

한양대 플라즈마는 타대생 진학시에 대기업은 힘들수도.

2024.04.22

학부 때문에 대기업에서 걸러진다는 말씀인거죠?

2024.05.20

학부학벌 문제보다는, H대의 경우 과제는 많이 수행하고 있지만, 학생들의 연구 수행력이 발전의 여지가 큰것 같아요. 그러다보니, 학부 학벌을 크게 보는 대기업은 자대생의 경우만 취업이 가능한 것 같이 보이네요. 더불어 H대 연구실 소속원으로 추정되는 인원들이 다른글에 작성한 댓글들을 보면, 개중에 if높은저널에 출간한 갯수에만 많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 같아요. 심지어 타 그룹에서 최근 논문들을 인용한 횟수도 거의 없는 실정이구요.. 그래도 전기진단을 꼼꼼히 하시는 교수님이니 나쁘지는 않다고 생각해용
엉뚱한 게오르크 헤겔*

2022.09.15

플라즈마를 하겠다는 건 범위가 너무 러프함.
저온 플라즈마 한해서,

1. 플라즈마 장비를 하겠다(Source 개발)
2. 플라즈마 공정을 하겠다.
3. 플라즈마 시뮬을 하겠다.
4. 플라즈마 진단을 하겠다.

장비하는 랩실은 부산대 ㅇ호ㅈ교수님.
서울대 ㄱㄱㅎ 교수님(은퇴하셨나?)
더 있을듯

진단쪽은 한양대 ㅈㅈㅇ교수님, 충남대 ㅇㅅㅈ교수님.

공정을 한다면
성균관대 ㅊㅎㅇ교수님
한양대 ㅂ...누구시더라
연세대 ㄱㅎㅈ교수님 등등
플라즈마 공정랩실은 생각보다 많음.

본인이 전기전자면 공정 랩실은 힘들꺼임.
그럼, 장비, 시뮬, 진단쪽인데
장비쪽은 논문쓰기가 빡셈...
진단은 비교적 잘 나온다고 봄.
시뮬만 하는 랩실은 잘 없어서 함부러 말은 못하겠는데 몸은 편함ㅇㅇ.

아웃풋은?
다 고마고마함.
(전자전기 학부 기준으로 말하는거임)
칩메이커 가려면 시뮬 혹은 진단에 공정 경험 추가되면 스코프안에 든다고 봄.
장비사를 가려면 장비 혹은 진단 위주에 시뮬+공정 경험 있으면 좋을듯.

추천 루트는...
장비 적당한거 받아서 기본적인 진단 진행하고,
"공정"을 하는거 추천.
인프라 잘 갖춰진 랩실이면 이미 앵간하면 오티멀된 장비들일꺼임.
그 과정이 진짜 힘들어서...
선배들이 해놓은거 가져다 쓰고 그걸로 공정ㄱㄱ
장비:시뮬:공정=3:3:4 비율가져가는게 베스트인듯.

대댓글 3개

엉뚱한 게오르크 헤겔*

2022.09.15

왜냐?
플라즈마 논문이 잘 안나옴.
공정같이 재료 기반 논문은 잘 나옴.
랩실마다 다르겠지만 논문실적만 빨리 쌓으면 칼졸업 가능하다면, 나같으면 공정 위주로 하겠음.

2022.10.22

근데 장비를 만드는게 연구 시작아님?? 장비를 받는다는게 머지
엉뚱한 게오르크 헤겔*

2022.10.24

장비를 만드는거랑 개조랑 다르다는걸 말하고 싶었음.
장비 설계하고 셋업하는건 시간적으로 오래걸림.
이미 되있는거 받고 개조연구하는게 효율적이라는거임

2022.09.28

플라즈마 전공하면 박사때까지 논문 몇개써야함???? 연구소 가거나 교수하려면 박사때 5개 정도면 되나??

대댓글 1개

엉뚱한 게오르크 헤겔*

2022.10.24

2편쓰면 박사줌
연구소나 교수를 위헌 실적은 모르겠네

2024.08.27

반도체 식각공정이면 회사에서 환영이죠. 노예중에 상급이라. 대기업취업한 사람들 얘기들어보면 주말없이 공정실에 끌려감. 대신 밥 굶을 일없음. 할일이 워낙 많아서. 회사는 두팔벌려 환영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