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산재료 또는 계산화학 분야로 가기를 원하는 화학과 학부생입니다. 제2전공을 고민하던 와중 아예 컴퓨터를 복전하면 어떨지 고민이 돼서 질문 남깁니다.
컴퓨터를 복전하면 약 40학점정도 듣게되고 2학년 전공 전부, 3학년 전공 대부분, 그리고 일부 4학년 전공까지 커버하는 듯 합니다.
제 전공(화학)에 집중할 지 새로운 도전을 해볼지 아직 확신이 서지 않네요.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IF : 5
2022.08.17
전산재료는 컴공보다 물리과 복전이 더 쏠쏠할지도..
2022.08.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컴공 들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정말 상상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계산쪽 과목들을 골라서 들으시는 걸 추천
2022.08.17
고성능컴퓨팅(HPC) 하던 사람입니다. 계산과학 할 때는 과학자들이랑 HPC엔지니어들이 합심하는게 정상인데, 우리나라는 그런 문화가 없다보니 과학자들이 전부 도맡아서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대학원이 그렇고요. 그렇기 때문에 복전하시는걸 정말 강하게 추천합니다. HPC 레벨의 시뮬레이션 코드를 직접 작성할 때는 시스템 프로그래밍, OS같은 고급 전산학 지식도 있어야되거든요.
대댓글 2개
2022.08.19
저는 계산화학 박사한 사람인데 저도 cs 복전 강추합니다 hpc 레벨에서 시뮬레이션 코드 짜다보면 cs 쪽 배경지식이 부족해서 자꾸 막히다보니 뒤늦게 cs 석사라도 할까 고민중이거든요 다만 과목 잘 골라들으셔야 할 거예요 제가 이쪽 석사알아본다고 하니까 여기에 도움되는 과목들이 cs 다닌다고 다 배우는건 아니라더라고요 제가 물어본 분은 cs랑 기계 이중전공한 사람이었는데 이쪽 과목은 하나도 안들어시고 졸업하셨더군요
2022.08.21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도움이 될만한 과목들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자료구조, 알고리즘과 같은 전필급 과목들은 들을 예정인데 이후에 말씀하신 시스템프로그래밍, 저전력컴퓨팅, 클라우드컴퓨팅 등의 과목을 목표로 선수과목을 채워나가면 될까요?
깔끔한 척척박사*
2022.08.17
물리를 하시는게
2022.08.17
재료공학도 괜찮습니다.
2022.08.24
방향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계산화학은 물리 복전 하는 게 깡패인데..
컴퓨터 지식은 대학원 와서 부족한 부분 따로 채우는 게 나아보임 강의도 많고 공부할 자료도 오픈 소스로 풀려있음
2022.08.17
2022.08.17
2022.08.17
대댓글 2개
2022.08.19
2022.08.21
2022.08.17
2022.08.17
2022.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