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랩실 피해야할까요?

2022.09.04

10

3258

일단 지금 저는 내년 3월 학위 시작전 연구원으로 이제 1개월쯤 랩실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어떤 분야 인지는 워낙 좁은 바닥이니 굳이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크게는 의과학과 이구요!
제가 한달정도 일하면서 몇가지 적어봅니다. 다른 랩실도 이런 분위기인데 제가 적응을 못하고 있는건지 궁금해서요.

이해가안가는 것 + 입학관련 질문을 나열해 볼게요!

1. 일단 교수님이 석박통합을 해보는건 어떻겠냐 여쭤보셨습니다.

물론 교수님 입장에서 봤을때 같이 오래 일할 수 있는 연구원겸 학생을 뽑고 싶어하는건 알겠습니다. 그런데 이곳 랩실에서 아직까지 박사졸업생이 없습니다. 석사 졸업생들 또한 대부분 2년안에 졸업을 안시켜주더군요. 그렇담 교수님이 석사졸업 논문에 대한 지도를 잘 해주시냐..그것도 아닌것 같았습니다. 오히려 졸업 안시킬려고 방해하는것 같다 하더군요…근데 제가 석박 통합을 시작하면 물론 제 역량에 따라 그 기한이 정해진다 하더라도 6-7년은 훌쩍 넘을 것 같은데 이마저도 보장받지 못할까봐 무섭습니다…이런분위기가 다른 랩실에서도 있을 만큼 흔한가요?

2. 석사과정 혹는 석박통합과정 중 취업에 관한 질문
제가 연구하고 공부하고싶은 분야가 공고가 워낙 적다보니 공고가 뜨기만하면 일단 지원하고 싶었습니다. 근데 랩실 선배님에 의하면 교수님께서 그런걸 배신이라고 생각하신다더군요. 그리고 경력증명서(?) 같은걸 받으러 간다 하더라도 괘씸하다고 안해줄 수 있다고 하더군요…(여기서 큰 충격..)원래 모든 교수님들이 그러시나요?

3. 업무와 연구 시간에 관한 질문!
이곳은 과특성상 교수님과 같이 업무 본거에 대한 보고서 작성을 해야합니다. 그리고 따로 내주시는 연구를 학생 또는 연구원들이 수행하는 시스템이던데..문제는 교수님과 같이 업무를 보고 제가 보고서를 작성해야하는 일을 주 업무시간에 하는걸 싫어하신다고 하더군요. 교수님이 좋아하시는 건 주 업무시간에는 연구을 하고 업무시간이 끝아면 따로 개인시간 할애해서 밤에 보고서를 작성하라구요. 그리고 공부는 그후에 하라구요.
물론 대학원생활이 대학교나 고등학교때처럼 하루에 주어진 공부만 하면되는 그런 무른 생활은 아닐거라고 짐작은 했습니다. 하지만 이정도로 당연시하게 매일 초과근무를 요구하고, 주말은 물론 휴가조차도 낼 수 없는상황이 당연한건지, 아님 제가 뭣모르고 이건 아니라고 생각하는건지 여쭙고 싶습니다.

4. 논문 저자에 관한 질문.
지도 교수님 연구기록을 보니 딱 박사를 취득하려는 년도에만 논문수 충족을 위해 엄청 쓰셨더라구요. 그후로 지금까지 딱히 논문도 없구요. 근데 이게 지도 교수님 밑에 이제 교수님(편의상 B교수라고 하겠습미다)이 한분 더 계신데 그분 학위 관련 논문을 충족시키기 위해 석사선배가 실험도 논문도 혼자 다쓴걸 말한마디 없이 B교수를 교신저자, 1저자로 올려버리더군요…이런게 있을 수 있는건가요? 제가 만약 석박통합으로 들어온다면 저또한 당할것 같다는 생각에 이게 맞는건가 싶더라구요…

기타 더 의혹점이 있는게 많으나 일단 가장 크게 궁금하고 의아했던걸 올려 봐요. 이런 상황이 대학원 생활인건지..아님 이곳만 이러는 건지 조언 부탁드려요…
입학을 해야할지 말아야할지 너무 고민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2.09.04

돔황챠

대댓글 1개

2022.09.04

캄싸해혈

IF : 2

2022.09.04

가지마세요.
학생 취업 분야가 좁을 수록 나중에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서라도 취업에 좀 더 도움을 주시고 수료 후에 취업하고 졸업하도록 도와주시는 교수님도 많습니다. 제 지도교수님도 취업 먼저 시켜주시고 그 다음 해에 졸업시켜주셨어요.
그리고 실적만 제대로 내면 출퇴근 시간도 자율로 해주셨습니다. 연구실에 12시간 넘게 앉아있는다고 논문 잘 쓰고 공부 잘하는 거 아니라고. 다만 행정처리 관련된 일 할 때는 일과 시간 내에 해야하니까 그건 조율해서 언제 언제는 꼭 출근해 있으라고 하셨습니다.
저자 문제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연구윤리 위반 같은 건 안하세요.

저희 교수님이 유니콘이 아닙니다. 저희 학과 교수님들 중에도 위의 내용대로 랩 운영하시는 분들 많이 계셨고 저 중에서 안 지켜지는 건 근무시간(아무래도 오래 있는 걸 좋아하시는 분들이 많긴 합니다) 정도였습니다.
지금 글에 쓰신 랩은 안 가시는 게 좋겠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9.04

성의있는 답변 감사해요ㅠ 교수님께서 매번 요구하시는거나 이랬으면 좋겠다 하는거 들을때마다 이분은 정말 학생이나 연구원이 아니라 노예를 원하는건가? 싶더라구요…다른 랩실 경험도 없다보니까 원래 이런 세계인데 저 혼자 뭣모르고 그러는건지 답답한 마음에 글 남겨봤네요ㅠ

IF : 5

2022.09.04

이걸 다 보고도 아직도 고민을 한다는게 신기하네요

대댓글 1개

2022.09.04

추천받아서 온것도 있고…워낙 좁은 바닥이라 랩실도 얼마 없어서 왔는데…선배들도 되도록 안타까우니까 나가라고 하고…연구실 선배들이나 분위기는 너무 좋은데 교수만 그러니..고민해봤어요ㅠ

2022.09.04

도망치는 걸 추천합니다.
입학 전에 알게된 걸 다행이라고 생각하세요.
근데 과정 중 취업에 대해서는 애매합니다.
서로 이야기 되고 디펜스 했거나 통과 확실하고 단순히 학위증 받기 약간 전이면 취업 가능한 경우도 많지만 애매한 타이밍에 갑자기 박사과정이 취업하겠다고 하면 분야 상관없이 대부분 랩이 안시켜줍니다.

대댓글 1개

2022.09.04

입학전에 알게된게 다행일까요ㅠ
하긴 교수님 입장에선 박사과정이 취업하겠다도 하면 어처구니 없겠네요…답변 감사합니다!

2022.09.05

딴거 다 떠나서 좋은 교수님 좋은 렙실 많은데
굳이 찝찝한 렙실을 갈 필요는 없죠

2022.09.06

학위 시작하기 전 인턴으로 계신 것 같으니, 단도직입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입학이 문제가 아니라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인턴도 그만두시길 추천 드립니다.

지도교수의 역할은 말 그대로 학생들이 올바른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주는 것인데
본문에 적으신 일들을 보면 전혀 그럴 생각이 없고, 오히려 학생들 앞길 가로막으면서
자기와 자기 주변 사람들 이득만 챙기려고 젊은 청춘들을 착취하는 괴수인 것 같습니다.
그런 교수 밑에서는 인턴으로라도 일하는 하루 하루가 아까울 뿐입니다.

대학원이 원래 이런 건지 혼란스럽고 의아해 하다가
자기도 모르게 학위 과정을 시작하고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기는 분들도 많습니다.
운이 좋았다고 생각하시고, 다른 교수님을 찾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Your Future. Unlimited.
UST 2026학년도 전기 1차 대학원 신입생 모집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