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합니다. 사실 커뮤니티에 처음 써보는 글이라 원하는 대답을 얻을 수 있을지 걱정했는데 명확하게 말씀해 주셔서 감사드려요
2022.10.29
서울대학교 원자핵공에는
핫플라즈마 하는 연구실도 있고, 콜드플라즈마 연구하는 연구실도 있어요
이쪽이 대가랩이 많아서 한번 도전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2022.10.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원핵공 자대 출신인데 둘이 사실 별로 안 겹쳐요.
그리고 저희과 대가랩들이 많은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렇게 인기 많진 않던데.....
대댓글 3개
2022.10.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근데 교수님들이 아무나 뽑짐 않으시는 느낌은 있네요
2022.10.30
저온에 대가 교수는 없음. 일주 아첨꾼들의 환호속에 자기세상에 빠져 사는 분은 실력이 없으시고..
2024.06.30
고노야로!!
2024.08.27
저는 석사를 고온했고 박사를 저온했습니다. 랩실이 저온플라즈마 였음. 글서 고온을 정식으로 배우지 못하고 대부분 독학이었어요. 저온도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하여간 정말다릅니다. 고온은 기초플라즈마에 가깝고 저온은 응용이 대부분이라. 저온 플라즈마 전공인데 플라즈마 제대로 안배우는 케이스가 좀 있는것 같아요. 워낙 응용분야가 넓다보니. 플라즈마 물리를 전공하고 싶으시면 고온 플라즈마 강추
대댓글 1개
2024.08.31
이년전 글인데 답글주셔서 감사합니다 ^^ 학부때 이곳저곳 연구실 돌아다닐때 저온플라즈마 연구실도 가서 가볍게 맛만봤었네요. 적어도 이시기에 저온으로 박사하면 직장걱정은 없겠다는 장점은 있겠더라고요 ㅎㅎ 이제 저는 막상 다른 분야를 연구하고 있지만요.. 석사에 고온 박사때 저온하셨으면 좋은 곳에 직장도 가지셨을 것 같아요. 존경합니다!
2024.09.01
넵 직장잡는데는 문제없어요. 워낙 응용분야가 다양해서. 회사적응이 안되서 연구교수 생활오래했고 지금은 창업했어요. 플라즈마 광진단 소프트웨어 개발중이네요
2022.10.29
대댓글 2개
2022.10.29
2022.10.29
2022.10.29
대댓글 3개
2022.10.29
2022.10.30
2024.06.30
2024.08.27
대댓글 1개
2024.08.31
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