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이해 안되는.. 아니.. 안하고 싶은 한국 사정입니다.
고등학교때 어땠는지가 도대체 왜 중요한건지….
대댓글 2개
2022.11.21
옥스브릿지, 아이비 학부급 가면, 고등학교 동아리도 보더라구요. 친구말듣고 서양도 똑같구나ㅠㅠㅠ
IF : 2
2022.11.21
네 저도 잘 압니다. 그 고등학교때 온갖 동아리 활동에 그룹 회장, varsity football, horticulture, equine, polo, field hocky, lacrosse 다하면서 온갖 상 다받고 하버드 간 바.로.그.친.구.들. 교수되서 학부 절대 안봅니다.
2022.11.1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
2022.11.19
보통 기업 갈거면 상관없고 교수는 본인 학부 레벨까지가 마지노선인 느낌
간혹 괴수분들이 학부보다 높은 곳 교수 되시긴 하는데 많지 않아서.....
아, 그런데 많은 분들이 생각하시는 것처럼 skp대학원을 와서 학벌 세탁이라고 하나요...? 그런게 1도 안 되는 건 아니예요~
어느 정도 되긴 하죠~
논문실적까지 있는 경우에는 더더욱
2022.11.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늘 이런 글 볼 때마다 느끼는 건데요, 학부가 SKP 아니면 절대로 대학원을 SKP가지 마세요. 졸업해봤자, 그냥 '서자'일 뿐입니다. 그냥 유학을 가서 더 성공해서 돌아오세요. 그게 유일하게 이기는 길이에요.
약삭빠른 윌리엄 켈빈*
2022.11.19
아직 학부생 마인드세요. 어디 학부 이상을 졸업해야 skp 대학원을 가는것이 의미있는지에 대한 답은 없습니다.
박사를 졸업하는 순간, 님을 평가하는 잣대는 논문이지 어디 출신인지가 아닙니다.
학부와 박사를 모두 skp에서 한 성골(?) 이라도 (MIT, 스탠포드도 마찬가지), 논문 실적이 저조하면 이 바닥에서는 오히려 기를 못펴고 다닙니다.
물론 연구능력이 크게 중요하지 않은 대기업을 갈경우 출신대학이 중요할 수도 있으나, 이왕 학부를 극복하고 싶은거면 좋은 연구실적을 쌓아서 학계로 가려고 노력하세요. 대학평가에서 연구 실적이 크게 작용하는 이상 각 대학에서도 출신학부보다는 논문을 보고 임용하는 쪽으로 계속 바뀌고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2.11.19
사실.. 대학원이 미국탑대학 출신이면 논문이 딸려도, 어드미션 받고 디팬스 통과한것만으로도 국내리턴할때 잡구하는건 쉽습니다. 그 이후에 본인이 계속 실적이 저조하면 본인도 눈치를 볼수밖에 없긴하죠.
박사유학들을 권하는 이유도, 이렇게 리턴할때 확실한 이점이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국내많은대학들의 수준이 올라오면서(단순히 순위가 아닌, 학계에서의 실적이나 위상 등) 그 기준이 예전에는 미국 탑 50위만 되도 리턴시 이점이 큰것이, 최근에는 기준이 깐깐해질뿐이죠. 제가 느끼기로는 (아닐수도있으니) 탑20-30위권에서 실적없이 학위받았다고, 리턴할때 좋은대우를 바라는건 예전과 다르게 어려울 겁니다. 그게 아닌 정말 탑5면 확실하게 리턴시 도움이 큽니다. 저는 spk학석박 하고 탑3에서 해외포닥하지만, 여기에서 박사과정중인 한국인학생들은 잡구할때의 기준치 자체가 국내로만 한정짓지않고 많이 다르긴합니다.
여튼, spk에서 박사학위받으면 결국 본인 실력대로 인정받습니다. 작게는 연구실 내에서도 결국 본인 실력에 따라서 같이 일하고자 하는 선후배들이 늘어날것이며, 졸업하고도 사실상 그게 계속 이어집니다. 추가적으로 대인관계능력도 중요하겠지만, 이건 번외로 친다해도요.
학교로 갈 경우가 아닌이상, 정출연이든 대기업이든 본인 학부가 발목잡을일은 거의 없습니다. 실제로 최근 특정학교들은 아직 학부/대학원 간판을 강조하지만, 많은 대학들이 연구실적 중시하면서 학부/대학원이 딸려도, 심지어 해외포닥경력조차 없어도 임용된 케이스 수도없이 봅니다.
여기 홈페이지는 '국내연구실 정보얻는 목적'으로 만든것이다보니 학위 못받은 사람의 비율이 절대적으로 크고, 그사람들은 당장 본인이 볼때 중요해보이는 학부/대학원 간판으로만 죽도록 싸우는겁니다. 졸업하면 학부/대학원도 중요할수도있지만, 그외에 본인 능력이 생각보다 많이 중요해집니다. 학부/대학원이 좋으면 초반에 기회를 몇번 더 부여받을수있다 정도라고 보시면됩니다.
2022.11.19
박사는 그냥 자격증 같은거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벌보다 재밋는 연구하고 논문 잘쓰고 펀드잘따는게 더 중요하지요
2022.11.19
박사할 때 되면 생각이 바뀜. 지거국 학석박들도 실적 괴물 많고 실제 경쟁하는 애들 실적이 학벌 순은 아님. 학벌로 도움 받을 수 있는건 교수 정출연이 목표가 아니고 회사갈거면 선배들 많으니 내부자추천 받아 거는 정도임.
그리고 막상 보면 사회성 좋은게 학벌 보다 더 중요함
2022.11.20
생각보다 사회에선 학벌 그렇게 안봐요 입시학원에서 워낙 세뇌시켜서 그런거지
지금 20대 30대 분들 그들만의 리그일뿐입니다
자기분야의 최고 전문가 되면 시장상황에 따라 다른것들이 따라올겁니다
2022.11.20
학생들이랑 젊은 친구들이 더 따지던데요.
논문이랑 실적앞에 장사없습미다.
2022.11.21
현실적으론 SSH라인까지가 SKP 갔을때, 공부에 흥미가 있어서 더 했구나이고, 그 밑으론 본의가 어떻든 학벌세탁에서 자유롭지가 않음.
2022.11.19
대댓글 2개
2022.11.19
2022.11.20
2022.11.19
대댓글 1개
2022.11.19
2022.11.19
2022.11.19
대댓글 2개
2022.11.21
2022.11.21
2022.11.19
2022.11.19
대댓글 1개
2022.11.19
2022.11.19
2022.11.19
2022.11.19
대댓글 1개
2022.11.19
2022.11.19
2022.11.19
2022.11.20
2022.11.20
2022.11.21
대댓글 2개
2022.11.27
2023.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