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2025.11.09

8

177

박사 5년차 입니다.
교수님께서 석사 한 명을 저한테 붙여주셨는데, 석사 학생이 굉장히 성실하고 똑똑해서 괜찮은 아이디어를 금방 냈습니다.
제 밑에 있다보니,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방향성이나 분석 방법 등의 조언만 해줬을 뿐, 아이디어 자체의 기여도나 실험 결과 기여도는 석사 학생이 90%이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애초에 해당 아이디어에 대한 저자 욕심도 없었습니다.

그런데 교수님께서 갑자기 곧 마감인 학회에 제출해보자고 말씀하셨고, 석사는 논문을 작성해본적이 없으니 제가 메인으로 논문의 전체적인 로직을 잡고 논문의 80%이상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석사 학생은 background 작성과 그림 정도만 같이 그렸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대부분의 경우에 아이디어 발전에서 논문 작성까지 혼자서하다보니 이런 경우가 처음이라 이걸 공동 1저자로 해야할지, 아니면 아이디어 자체의 기여도는 석사에게 있으니 석사 단독 1저자로 해야할지 모르겠는 상황입니다.
다른 연구실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참고로 교수님은 기여도 상황에 대해 전혀 모르시고, 박사인 너가 정해서 알려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11.09

논문을 썼으면 후순위 공동 1저자죠. 아이디어와 실험도 중요하지만 논문의 질을 결정하는건 논문의 흐름과 논리입니다

2025.11.09

공동 1저자에 이름 뒤로 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석사학생이 아이디어+실험+논문20%로 좀 더 기여가 큰 것 같아요

2025.11.09

석사가 SCI논문을 작성했다는 이유의 편린을 본것같은 글이네요... 마음대로 하세요.

2025.11.09

저희 연구실 같으면, 공동 1저자로 뒤에 이름이 들어갈 것 같습니다.

2025.11.09

저는 비슷한경우로 그냥 공동저자로 들어갔습니다. 후배 동기부여해주기 + 저는 이미 꽤나 정량/정성적 실적이 만족된 상황이여서 그랬습니다.
제가 조금이라도 욕심있었거나 정량/정성적인 실적 부족했으면 교수님 및 학생과 잘 얘기해보고 공주저자로 들어갔을수도있을듯 하네요.
여기에서 물어봐도 답은 없으니, 차라리 석사과정생 및 지도교수와 얘기해보시길..

2025.11.09

저는 후순위 공동1저자로 가고싶은데 교수님 생각은 어떠신지 여쭙겠습니다 라고 정중히 물어보세요.

2025.11.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공동1저자 가능합니다. 상황이야 어찌됐든 님이 논문 자체의 대부분 썼으니까요. 앞선 댓글에 동의하며, 후배는 선배가 자기 실적을 가로챈다는 오해를 할 수 있으므로 공동1저자로 하되 현실적으로 2번째로 이름 들어가시는게 깔끔합니다.

2025.11.09

물론 분야마다 다를 수는 있겠지만 기여자가 아니라 말 그대로 "저자"니까요. 1저자는 논문 쓴 사람이 가져가는 것이 맞는데 정 마음이 불편하시면 이야기 하신대로 공동 1저자로 들어간다고 해야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