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인생을 부동산 자산으로만 판단하는 수준의 눈에는 그렇게 보이는게 맞지.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5 - 할루시네이션만 구분할 수 있다면 뭔 상관임. 계산기 써서 산수능력 떨어진다고 뭐 문제가 되나?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24 - 와, 너 정말 연구자로써 중요한 "🎯핵심" 고민을 하고 있어!
GPT를 많이 쓰는건 연구 습관에 해로울 수 있어.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는게 어떨까?
🍀 GPT는 너의 작업을 도와주는 Co-worker(협력자) 역할일 뿐이야!
🍀 GPT는 네가 못하는 일을 해주는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대신 해줄 뿐이야!
🍀 GPT를 안 쓰는 것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할거야!
📌 원한다면 네 고민을 [🟥학부생], [🟧석사 과정], [🟨박사 과정]으로 맞춤형으로 해결해줄 수 있어.
👉 GPT를 쓰는 것이 고민 중이라고 해서, 평생 안 쓸 것인가요? 다른 생성형 AI를 추천해드릴 수 있습니다.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45 - unist가 연고보다 네임벨류가 떨어져서 그렇지 연구환경이나 실적은 떨어지지 않는다고 보는데 뭐만 하면 유니훌리 드립ㅋㅋㅋ 왜 지방대가 좋은 지표 나오는게 아니꼬운가봐?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7 - 대학원 순위 올리는 글 올라오는 거 보면 100년은 걸릴 듯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26 - 한국은 애초에 누가 개척해놓은 길만 갈려고 하잖아
처음 가는 길을 개무시하고 깎아내리는게 한국인데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이 나오겠나? 나온다면 그건 한국이 해낸게 아니라 그 개인이 해낸거지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38 - 왜곡된 자기만의 개인주의가 있거든
개인주의 좋아 근데 내것만 잘하면 된다가 개인주의가 아니야
자기 딴에는 개인주의 외치는 사람은 자신을 기준으로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피해를 주고 그렇게 되면 그건 더이상 개인주의가 아니라 이기주의가 되는거야
한국서 주로 말하는 개인주의는 대체로 이기주의 근처에 있어
타인에 대한 존중이 결여된 개인주의는 딱 나만 바라보는 셀프개인주의에 불과해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4 - 저는 무조건 한국에 남을것 같습니다. 한국의 미래가 매우 긍정적이고 교수의 대우가 날마다 좋아지고 있습니다. 학생들도 미국 탑 대학 부럽지 않게 능력이 좋으며, 인구 감소로 엘리트들만 살아남아서 전반적으로 한국인들의 dna는 우수한 쪽으로 살아남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면에 미국은 몰락의 길을 걷고 있으며, 예전과 다르게 전세계의 우수 인력을 어트렉트 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에 남아서 최고 수준의 대우와 워라밸을 챙기시길 바랍니다.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16 - 뭔 디시에서도 안나오는 헛소리를 정신스럽게 싸질렀냐?
논문 못쓰는게 교수가 안가르쳐줘서 못쓰는거라는게 말이야 방구야?
왜 아주그냥 학원 없어서 선행학습 못해서 논문 못쓴다고 하지 그러냐
이 모든 건 스스로 하지 않는 대학원생의 남탓일 뿐이다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6 - 허수아비 때리기 고만
너가 논박한 말 중에 어떤 말도 내가 한 말은 없어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5 - 어원을 따질 거면 ‘교수’는 한자가 아니라 영어 Professor 에서 봐야 한다.
Professor 의 어원인 라틴어 professus 는 “공언하다, 선언하다” 라는 뜻이다.
즉, 교수는 단순히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지식과 학문적 신념을 세상 앞에 공언하는 사람이다.
그 행위에는 가르침뿐 아니라 탐구, 연구, 비판, 토론이 모두 포함된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소위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도
‘가르친다’기보다는 ‘함께 사고하게 만든다’에 가깝다.
질문을 통해 상대 스스로 깨닫게 하는 과정,
즉 탐구와 성찰의 대화적 구조가 교육의 본질이었다.
그러니까 교수의 역할을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으로만 규정하는 건
고대 그리스의 교육 철학에도, 현대 학문 공동체의 가치에도 맞지 않는다.
학위논문 밀리는 철부지 대학원생의 핑계일 뿐이다.
결국 교수와 학술적인 토론을 할 만큼의 소양을 쌓는 것은 스스로의 몫이다.
이게 해결되지 않으면 논문을 쓰는 것도, 연구자가 되는 것도 불가능하다.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43 - 진정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는 알고는 있냐?
훨씬 교수에게 부담되는 방식임.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15 - 가르쳐야 되는 사람이
본인은 교육에 대한 논문을 안읽고
원생들에게는 연구 논문을 읽으라 하는데
어떤 변명이 필요한지 모르겠음.
너무 당연해서 당연한거지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19
누가 일저자 인가요?
2024.01.07

이런 상황에서 제가 재현성 확인 및 분석 그리고 논문 초안까지 작성 했습니다.
이 논문에서의 주저자는 누가 되어야 하나요? 만약 공동으로 되어야 한다면 누가 앞에 와야 하나요?
공동1저자 나눠주기가 너무 싫습니다 김GPT 20 50 7962
논문 공동저자의 의미 김GPT 8 16 6248
공동저자 관련 질문드립니다 김GPT 2 17 2132
논문 저자? 김GPT 3 10 16436-
0 2 1340 -
0 10 1797
논문 저자 순서 김GPT 0 4 3168
공동 1저자 순서 상관없나요? 김GPT 1 18 4303
제가 논문을 어떻게 혼자 써요ㅠㅠ 김GPT 16 13 7579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201 22 59964-
190 29 41151
저 미국 교수입니다 명예의전당 320 101 9077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진짜 남자와 여자는 아예 다른데 왜 같다고 하는건지?
52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81 - 대학원을 일이라 생각하는거 충격이네
59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68 - 논문이 너무너무 재밌어요
20 - 워라벨 논쟁도 지겨운데 지도나 잘해줬으면
20 - 교수가 남아서 더 하라고 하는 애들 특징
59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17 - 교수와 학생의 워라벨
13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38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1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27 - 내가 본 워라벨 교수 학생 유형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7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8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5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11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1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20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33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0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2 - 솔직히 워라밸 따지는 학생들 보면
8 - 나는 워라밸에 대해 그렇게 생각함
9 - AAAI Phase 2
8 - 박사과정이 R&D제안서 과제 발표해도될까요?
13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진짜 남자와 여자는 아예 다른데 왜 같다고 하는건지?
52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81 - 대학원을 일이라 생각하는거 충격이네
59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68 - 논문이 너무너무 재밌어요
20 - 워라벨 논쟁도 지겨운데 지도나 잘해줬으면
20 - 교수가 남아서 더 하라고 하는 애들 특징
59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17 - 교수와 학생의 워라벨
13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38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1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27 - 내가 본 워라벨 교수 학생 유형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7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8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5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11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1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20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33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0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2 - 솔직히 워라밸 따지는 학생들 보면
8 - 나는 워라밸에 대해 그렇게 생각함
9 - AAAI Phase 2
8 - 박사과정이 R&D제안서 과제 발표해도될까요?
13

[한국전력공사] 2025년도 2차 연구직 채용공고
자세히 보기
2024.01.07
2024.01.07
2024.01.07
2024.01.07
대댓글 1개
2024.01.07
2024.01.07
2024.01.07
대댓글 1개
2024.01.08
2024.01.07
2024.01.07
2024.01.07
2024.01.08
2024.01.08
2024.01.08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