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을 꼭 탑티어 컨퍼런스 저널에 써야 하나요?

2025.11.12

5

929

탑티어에 쓰면 좋다는 것에 동의합니다. 그런데 연구를 하다보면 적정선에서 끊어야 할때가 있고 발전 가능성이 없어 보이는 연구들이 있죠. 그렇게 마무리해서 좀 낮은 저널 컨퍼런스에 내도 되지 않나요? 그렇게 해도 괜찮은 대학교수임용되신분들 있던데요. 제 생각 어떻습니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11.12

혹시 학부연구생?

2025.11.12

저희는 그렇게 합니다

2025.11.12

임용은 단순히 연구실적 IF합산점수/(저자수) +경력/학부관련 합산점수로 줄세워서 임용되는게 아닙니다.
특정 시기에 특정연구를 하는 교수를 뽑고싶을때도 있는등 다양합니다. 예를들어서 머신러닝이 핫하지 않던 8-9년전 CS대학원을 선택했던 제 친구들은 특출난 실적없어도 다들 좋은학교에 임용많이 됐습니다. 반대로 바이오나 신소재쪽 갔던 친구들은 어마어마한 IF 논문실적이 있고 탑스쿨 포닥경력도 꽤있음에도 임용이 안되서 그냥 정출연으로 튼 친구도있고요.
여러가지 요인들이 있지만, 결국 본인 경쟁력은 본인이 어떤연구를 했는지로 결정되는듯 합니다. 다만 분야에서 정말 훌륭한 연구를 했어도, 다양한 백그라운드를 가진 학과교수님들에게 좋은연구라고 설득하는게 쉽지는 않습니다. 그렇다보니 다들 좋은저널이나 좋은학회에 실렸으면 좋은연구겠구나 생각하는 경향도 있고요. 그렇기에 특히나 한국학교에서는 저널/학회 수준으로 연구자의 연구성과를 평가하고 이건 저도 충분히 공감합니다.
저는 미국에서 자리잡았지만, 여기는 조금 다른듯 합니다. 좋은 저널에 내기보다는 좋은 연구를 했는지를 더 평가하고는 합니다. 이런것들을 증명하기 위해서 추천서 제도를 잘 활용하고, 또 커미티 등 서비스 활동들을 통해서 어느정도 분야에서 인정받았는지를 평가받기도 합니다.

대댓글 1개

2025.11.12

오해의 소지가 있을까해서 말씀드리면 여기도 "탑컨퍼런스 2편 vs 적당한 컨퍼런스 4편" 정도면 무조건 탑컨퍼런스 퍼포먼스를 선택할겁니다. 다만 적당한 컨퍼런스 4편중 분야에 분야에 큰 임팩트를 가져온 연구가 있고, 이걸 분야전문가 추천서로 증명할수있으면 결과가 크게 달라질수도있다 라는게 맞겠네요.

2025.11.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논문 퀄리티 유지를 위해 탑컨퍼만 내고 떨어지면 폐기하기도 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