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석박통합과정 진학 예정인 4학년 학생입니다.
서울대는 컨택에서 TO문제로 2023년 후기 입학을 권유받았고, 포스텍은 이번 2023년 전기모집에 합격했습니다.
실적과 졸업생 진로는 둘 다 비슷한 수준인데 인건비는 포스텍이 더 높습니다.
6개월 기다려서 서울대에 입학해야 할까요? 아니면 빨리 포스텍 랩실에 들어가는게 나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IF : 5
2022.11.26
아무 의미없는 비교.
대댓글 2개
2022.11.26
6개월 기다려서 서울대에 진학해야 하는지, 아니면 지금 빨리 포스텍에 입학해야하는지 그게 고민입니다.
IF : 5
2022.11.26
그러니까 그게 의미가 없다는 말이죠. 교수되는데 학교가 제일 큰 팩터도 아니고 내가 열심히 하는것 이상으로 운이 엄청나게 작용하는 분야라서요.
2022.11.26
서울대라고 임용합격하고 포공이라고 떨어지는건 없습니다. 반대도 똑같고요.
중요한건 어느연구실가서 어느정도 퍼포먼스로 졸업하는지, 그이후에 정출연에가서도 좋은실적쌓는지 혹은 해외포닥 가서 좋은실적쌓는지, 그리고 무엇보다 본인연구핏을 원하는 학교가 시기가맞게 공고가나는지가 중요합니다.
대댓글 1개
2022.11.26
우문현답 감사드립니다.
방정맞은 장 폴 사르트르*
2022.11.26
서울대가 조금 더 낫기는 하겠지만 결국 랩바이랩이고 6개월 기다릴 것까지는 없어 보입니다.
대댓글 1개
2022.11.26
타대생 입장에서 포스텍 박사가 교수임용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그저 저의 경험입니다 물론 서서서는 넘사죠
2022.11.26
저랑 비슷한 경우였는데 저는 서울대가 종합대라 확실히 사람풀도 넓고 학계에 사람도 많다보니 반년 기다려서 서울대 진학했습니다
2022.11.26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서울대에 한표
2022.11.26
포스텍 한표
2022.11.26
박사까지 포항에서 견딜수있으면 포스텍
그게 아니라면 서울대
2022.11.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서울대가 당연히 좀 더 낫겠지만 교수임용을 결정짓는건 서울대 포스텍 차이가 아니라 본인의 실력이 훨씬 큰 비중일 차지하겠죠?
2022.11.26
타대출신 학생들은 KAIST, POSTECH 학생들이 임용이 잘 되는것 같습니다. 대학원 중심 학교들이라 타대생이라고 막대하는것도 없고요. 그러나 연구분야, 실적, 지도교수 영향이 아주 크기 때문에 저정도 차이면 학교 자체의 영향은 그렇게 크지 않을것 같습니다. 인건비는 둘 다 박사 졸업까지 먹고살정도로 준다면 고려하실 필요는 없을듯 하고요. 연구실이 비슷하다면 저같으면 그냥 일찍 들어갈수 있는곳 가겠습니다.
시끄러운 니콜라 테슬라*
2022.11.26
이런 질문 하시는거 보니까... 그.. 아닙니다
깜찍한 막스 베버*
2022.11.26
솔직히 말씀드리면 서울대든 포스텍이든 그 방에서 교수 몇명 나왔는지 보는게 교수되는 가능성을 제일 높이는 길입니다. 가령 spk 자대생이 줄서서가는 랩의 경우 지거국 이상 교수가 졸업생의 30% 이상 됩니다. 일반적으로 그 연구실에서 제일 잘 자리잡은 선배가 어디갔는지 보면 내가 어디까지 갈수있는지 보입니다.
대댓글 1개
깜찍한 막스 베버*
2022.11.26
만약 연구실 졸업생 중에 교수가 없다 하면 내가 교수될 가능성도 거의 없다 보시면 됩니다. 가서 잘하면 된다? 그런 분들은 아무데나 가서도 잘하시니 애초에 랩이 상관없습니다.
2022.11.26
대댓글 2개
2022.11.26
2022.11.26
2022.11.26
대댓글 1개
2022.11.26
2022.11.26
대댓글 1개
2022.11.26
2022.11.26
2022.11.26
2022.11.26
2022.11.26
2022.11.26
2022.11.26
2022.11.26
2022.11.26
대댓글 1개
2022.11.26
2022.11.27
2022.11.27
2022.11.27
2022.11.28
2022.11.28
2022.11.28
2022.11.30
2022.12.09
2023.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