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논문을 내는 것 자체가 목적인가요 ? 대학원 입학 후 제가 생각해왔던 연구의 방향과 많이 틀어지는 것 같아 동기부여가 많이 떨어지네요.. 교수님은 정말 좋은 분이신데 무언가를 고민해서 솔루션을 찾고 논문을 쓴다기 보다는 말이 되는 그럴싸한 방법론을 먼저 찾고 거기에 맞는 실험 환경 맞추는 것에 모든 목적이 맞춰져가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연구 커뮤니티 자체에 도움이 되고 지식을 공유하는 것에 동기부여가 더 되나, 항상 논문 작성을 통한 커리어로 동기부여를 하시고 잠을 안자고 연구실에 나와있는것만을 미덕으로 삼으시는 것 같아요. 실험 재현에 대한 이슈로 인해 코드 공개도 잘 안하십니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석사과정 중 4편을 퍼블리시 했으나 인용수는 1에 머물러있네요.. (나름 좋은 학회에 퍼블리시 한 것도 있습니다) 제가 연구라는 걸 너무 거창하게 생각하는 걸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2.12.18
대학원은 그냥 연구 역량을 키우는 곳이라고 생각하세요 그 실력을 바탕으로 졸업후 본인이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연구 하시면 됩니다. 지금은 application이 중요한게 아니라 method가 중요함
오만한 맹자*
2022.12.18
원래 다들 그렇죠. 공부 하는 목적이 대학가기 위함이 아닌데 고등학생들 다들 대학가려고 공부하잖아요
공허한 정약용*
2022.12.18
석사 4편, 그리고 그 중 하나는 저명한 저널... 이건 기만글이다 ㅠㅠ
대댓글 1개
공허한 정약용*
2022.12.18
나는 논문 하나는 쓰고 졸업할 수 있을까...? 아니 학회 발표조차 하고 졸업할 수나 있을까...
IF : 5
2022.12.18
어느정도는 필요합니다. 너무 안그런 랩에 있었는데 답답해서 그것도 힘들더군요
우아한 마리 퀴리*
2022.12.18
좋은 고민입니다.
많은 교수님들이 논문을 단지 일종의 '스펙' (?) 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세상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목표로 하기 보다는 논문 갯수로 대변되는 스펙불리기가 목표인 교수님들이 많죠. 이런 경우 의미 있는 연구보다는 논문을 위한 연구를 하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글쓴분이나마 현재의 자세를 잃지 마시길 바래요. 그리고 모든 교수님들이 그런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니 나중에라도 의미있는 연구하실 기회를 갖길 바랍니다.
2022.12.18
질적 향상을 위한 양적 향상...
2022.12.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말이 되는 그럴싸한 방법론을 먼저 찾고 거기에 맞는 실험 환경 맞추는 것에 모든 목적이 맞춰져가는 것"이 논문 쓰기 아닌가요? 개연성 있는 가설을 세우고 실험으로 검증하는 거니까.. 뭐가 잘못된 건지...
짓궂은 프랜시스 베이컨*
2022.12.18
논문을 쓰기위해 연구하는것보다는.. 실험한 내용을 논문에 담지 못할수준이면 연구라고 할수있을까요?
2022.12.18
그래서 요즘 좋은 학회에선 코드 재현이 안되는 연구는 거르죠. 진실된 결과를 쓴 논문이라면 그 정도는 다르겠지만 조금이나마 학계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상처받은 그레이스 호퍼*
2022.12.18
그런데 논문을 위한 연구가 어느 순간 새로운 아이디어의 시발점이 되기도 하는것 같고 연구란 참 어려운 것 같아요
2022.12.19
올가을 박사마치고 강사로 강의만 하면서 연구과제를 찾고있는 논문쓰고픈 ... 1인입니다. 석사과정에서 4편의 논문을 주저자로, 그리고 저명한 학술지에 까지 내셨다니 성공적이네요. 논문의 주제와 방향을 학생이 100%정할수있으면 교수급이지요. 쓰고싶은 논문 방향을 교수님께 초안을 드려보면서, 교수님이 이끄는 주제둘에 성실성을 보이면서도 내가 하고싶은것을 찾아가면 금상첨와 입니다. 화이팅입니다.
2022.12.18
2022.12.18
2022.12.18
대댓글 1개
2022.12.18
2022.12.18
2022.12.18
2022.12.18
2022.12.18
2022.12.18
2022.12.18
2022.12.18
2022.12.19
2022.12.21
2025.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