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SPK 공대 연구실에 석박으로 붙었는데 신임교수님이라 1기로 입학해 조금 걱정이 되기도 하고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실제로 조교수에서 테뉴어를 못 받고 나가시는 분들도 많으신지 그렇게 되면 밑에 있던 대학원생들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성실한 아르키메데스*
2022.12.30
일단 요새 SPK 신임교수 중 괴물 아닌 사람들 없음. 괴수말고 괴물. 다들 탑스쿨 임용될 실적정도는 가지고 있어서, 신임교수 중 상당수가 잘 자리잡는 듯. 주변에서 테뉴어 탈락한 사례는 본 적 없으나, 갑작스럽게 교수님이 돌아가신 경우를 봤는데, 다른 연구실로 뿔뿔히 흩어지는 듯.
대댓글 4개
성실한 아르키메데스*
2022.12.30
신임교수 1기 제자면 고생은 좀 하는데, MIT/Stanford 등 박사/포닥 다녀와서 교수된 것 자주 봄. 아 그리고 주변에 석사인데 Nature/Science 1저자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면 거의 90% 확률로 신임 교수 제자임. 신임 교수가 자기 박사 때 아이디어 디벨롭 시켜서 쓰는 경우가 대부분.
2022.12.30
사실 교수님 프로필만 봐서는 너무나 훌륭하신데 그렇다고 제가 그 정도 역량을 따라갈지 또 교수님의 지도역량도 그정도일지모르는게 걱정이긴하죠... 다만 제가 한만큼의 결과물은 받아가고 싶고 그런 점에서 갑작스레 교수님이 학교에서 나가게 되시는 경우가 걱정되서 여쭤봤습니다ㅎㅎ
성실한 아르키메데스*
2022.12.30
제 생각에 신임 교수면 실적보다는 인성이 더 문제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성실한 아르키메데스*
2022.12.30
대부분 젠틀하실테지만 어디서 알수있는게 아니니까요
춤추는 한나 아렌트*
2022.12.30
한국은 테뉴어 떨어지는 교수 5%도 안됨
대댓글 3개
2022.12.30
글쿤요..ㅎㅎ
2022.12.31
왜냐면 다들 교수들이 테뉴어 조건을 만족할때즈음에 지원하기도 하고, 테뉴어 조건을 맞추기위해서 상당히 노력하니까요.. 단순히 테뉴어 조건이 낮은건 절대아닙니다. 특히 spk면 테뉴어 과정 살벌합니다. 태뉴어 전까지 단기간으로 계속 재계약 맺으면서 본인 평가받아야되는데 여기에서 오는 스트레스 장난아닙니다. 그리고 참고로 spk내에서 테뉴어 실패해서 기타 과기원 혹은 타 spk로 옮기신 경우도 꼭 없지만은 않습니다. 다만, 테뉴어라는게 교수들 족치려고 만든 제도가 아닌만큼.. (그런부분도 있지만), 상당히 합리적인편입니다. 즉, 교수가 열심히만 하면 웬만하면 다 통과는 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입니다. 그 제도의 허들을 spk교수가 될만한 사람들 능력이면 쥐어짜면 다 나올만큼 수준으로 잡을뿐이죠. .ㅎㅎ
2022.12.31
그리고 첫박사들이면 윗분들말대로 잘풀린경우도 많고, 지도교수가 생각보다 졸업후 많이 연결해줍니다. 저도 spk 첫박사였는데.. 석사과정때 솔직히 개고생 하기도했고, 제 학위주제가 교수님이 모르시는분야라서 혼자서 생고생하면서 새분야 파서 졸업받았는데, 졸업후 교수님 및 주변 지인분들이 '첫박사'라는 타이틀로 많이 도와주시고 인정해주십니다. "OO교수의 첫박사" 라는 타이틀은 생각보다 후배들을 위해서 잘해야된다는 부담감도 크지만(제 경우에는 그랬네요), 그만큼 졸업후 사회에서 얻는것도 많은것 같습니다. 교수와의 친밀감도 친밀감인데, 어쨌든 교수한테도 첫박사의 의미는 크기에, 여러가지 방면으로 많이 도와주실겁니다. 저는.. 분야가 다르다보니 해외포닥도 다 혼자 알아봤지만, 교수님이 여러학교에 이미 제 정보 공유해주셔서 많은학교에서 연락오기도 했습니다.
IF : 5
2022.12.30
교수가 탈주할 우려보다 랜덤박스인 교수 인성에 본인이 탈주버튼 누를 가능성이 더 큽니다.
대댓글 1개
2022.12.30
오홍ㅋㅋㅋ 다들 비슷한 답변주시네요 감사합니다
IF : 2
2022.12.31
예전에 남겨놓은 글인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https://phdkim.net/board/free/35185
대댓글 2개
2022.12.31
아 글쓴이신가요 신생랩가게되는 입장에서 이미 여러번 읽어봤습니다..ㅎㅎ 결정에 큰 도움이 된 것 같아서 감사드립니다^^
IF : 2
2023.01.02
네, 글쓴이입니다 ㅎ 앞으로 커리어에 좋은 일들이 있길 바라겠습니다 ㅎ
2022.12.31
위 의견들에 덧붙여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점 하나.
바로 자신의 객관적 능력
스스로 spk 동일 년차 대학원생중 열정이든 재능이든 상위 5% 안에 든다고 생각한다 -> 신생랩에서 왠만하면 성공합니다. Spk 신입 교수들 능력치 사기고 실험도 제일 물 올랐기 때문에 붙어서 실험이랑 아이디어 전달 받으면 물론 열심히 해여겠지만 왠만하면 성공적인 박사 가능
그렇지 않다 -> 안정적이고 유명한곳에서 열심히 배우고 노력해서 좋은 추천서 받기를 노리는게 더 현명.
2022.12.30
대댓글 4개
2022.12.30
2022.12.30
2022.12.30
2022.12.30
2022.12.30
대댓글 3개
2022.12.30
2022.12.31
2022.12.31
2022.12.30
대댓글 1개
2022.12.30
2022.12.31
대댓글 2개
2022.12.31
2023.01.02
2022.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