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있는 연구실이 재정적으로 여건도 좋지 못하고 분야도 제가 생각한 분야랑 너무 다릅니다 (위에 선배분들도 다 자퇴하고 싶다는 이야기를 많이 하실 정도입니다)
그래서 박사과정 만큼은 SPK등의 학교로 진학을 할까 고민중입니다
근데 문제는 지금 학교에서 석사까지만 마치고 진학을 해야하는데 보통 박사까지 한다고 했다가 석사까지 하고 다른 곳으로 간다고 하면 교수님이 많이 싫어하시나요? 어떻게 말씀을 드려야 할까요?
경험있으신 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3.01.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박사과정만 SKP에서 한다는게.. 이론입니다. 1. 자대 학사 석사 후 --> 박사 유학: 가능 2. 자대 학사 석사 후 --> SKP 박사 진학: 난이도 높음. (석사까지 했으면 거기 있지 왜 오냐..국내에서 내새끼가 아니될지도 모르고...) 3. 자대 학사 후 --> SKP 석사 박사 진학: 가능 4. 자대 학사 후 --> SKP 석사 후 --> 유학이나 다른 국내대학 박사 진학 : 가능
대충 정리해드렸습니다..
대댓글 7개
2023.01.18
지금도 타대에서 석사중인데 분야를 바꿔서 박사과정을 진학할까 생각중입니다
2023.01.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네. 그렇다면 가능할텐데.. 석사 받은 메릿이 없어지지 않을까요..
2023.01.18
큰 틀은 비슷한데 세부적인 것을 바꿔서 진학하려 생각중입니다 지금 지도교수님께 어떻게 말씀을 드려야할지 걱정이네요..
2023.01.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네.. 석사라는 것이 중간단계로서.. 지도교수와 내새끼 관계가 이미 성립하는 것이라 ㅎ.. 위의 도표가 나온 배경입니다. 한국 심합니다 내새끼. 남새끼.. 집토끼 산토끼.. 물론 내쌔기는 침 발라놓은 걸 의미하지 잘해주겠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지도교수한테 이야기 꺼내기 어렵다는게.. 많은 걸 생각케 합니다. 미국은 정말 쿨하게 미련도 없이 뒤끝없는 장단점 있으나.. 한국은 유교식 끈끈이라... 일반적으로 위의 경우의 수에 대충 맞아떨어집니다.
2023.01.18
4번 자대 학사->skp 석사->유학이 흔한가요? 타대생 받아줬는데 유학 간다고 하면 기분 나빠하실거 같아서요..
2023.01.18
skp 무새네 진짜 ㅋㅋㅋㅋㅋ
2023.01.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 자대 석 skp 박 해외 요 케이스는 석사 지도교수가 기분이 좀 나쁠뿐이지 smooth 하다면 한겁니다
2023.01.18
석사 마치고 분야 바꿔서 박사가시는거면 PI측에서 바꾼 분야로 석사부터 다시 할거면 들어오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2023.01.18
대댓글 7개
2023.01.18
2023.01.18
2023.01.18
2023.01.18
2023.01.18
2023.01.18
2023.01.19
2023.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