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기업과제만 하는 랩실 자퇴가 답인가요

2023.01.29

12

6156

연고대 연구실인데 박사과정도 1~2명이고, 연구실 운영이 대부분 기업과제 위주로 진행됩니다.

일만 하다보니 논문쓸 시간이 없어서 석사졸업자들은 대부분 kci 1편쓰거나 아니면 아예 안쓰도 졸업합니다.

진행하는 기업과제도 대기업이랑 하는게 아니고, 총 직원수 20명이하인 중소기업과 많이 합니다.

학계에 뜻이 있던 선배들도 대부분 꿈이 좌절되고 다 회사로 들어갑니다. 10년넘게 운영되던 연구실이지만 졸업자 중에 정출연입사, 교수가 됐던 사람은 단 한명도 없습니다.

그래도 이미 입학은 해버렸고, 제가 그만두면 밑에 후배들이 일을 떠안을 생각하니 책임감 하나만으로 1년동안 연구실에 다녔습니다.

자퇴하고 제대로 된 연구실에서 다시 학위를 시작하려고 하는데, 자퇴를 할지 말지 고민이네요... 그래도 남은 1년 버텨서 학위라도 취득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그냥 자퇴해서 새출발을 하는게 나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깔끔한 에르빈 슈뢰딩거*

2023.01.29

석사면 1년 버텨서 좋은곳으로 박사진학 하세요.

2023.01.29

박사진학하고 더 공부하고 싶으면, 자퇴하고 다른 석사연구실가도 좋긴한데.. 다른곳은 안그럴지 생각해보십쇼 ㅎㅎ 어디든 똑같습니다

대댓글 4개

2023.01.30

어디든 똑같지... 절대 않습니다...
얼마전에, 택시 대리 운전 하면서 학위하신다는 분이 다 똑같이 산다고 하시는 것이 생각나네요..

2023.01.30

기업과제 안하는 연구실이 오히려 불행한거 아닌가요? 연구실 자체에 돈이 없는건데.. 배부른 소리하는것 같네요ㅎ

2023.01.30

러셀님, 연구 환경 좋은 랩은 연구재단 과제를 하죠.

연구재단 과제는 대학원생들 논문 쓰는게 걍 연구재단 과제 일이라~ 대학원생들 입장에서 훠얼씬 좋아요.

연구재단 과제 큰 과제 하나 있거나, ist같이 일반적인 학비 보조가 있는 곳에서 일반적인 연구재단 과제를 하면 대학원생들 여유롭게 연구하며 다닐 수 있어요.

이런 환경에서 랩차원에서 기업 과제 1~2개 정도 sub로 하는 게 좋은 거지~

기업체 과제가 main인 연구실은 대학원생에게 좋은 환경이라 보기 어려워요

2023.01.30

톨스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저는 한국연구재단 대형과제 맡아서.. 기업과제는 동기한테 넘겼습니당
깜찍한 토마스 홉스*

2023.01.29

기업과제도 기업과제 나름인데 잡일같은 중소기업과제고 논문 안나오는 주제면 답없음. 인정하고 논문주제 과제주제 이원화 하던가 아님 지금이라도 탈주해야함

IF : 2

2023.01.30

run
졸린 아리스토텔레스*

2023.01.30

교수가 돈벌이에만 관심있나보네
졸린 아리스토텔레스*

2023.01.30

교수가 돈벌이에만 관심있나보네

2023.08.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돔황처

2024.08.07

석사면 ㄱㄱ
박사면 도망치세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