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랩이 좋은 랩인지 김박사넷에서 많은 논쟁이 오고 가는데, 이 주제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대단히 중요함에도 별로 다뤄지지 않아 잘 모르시는 분이 많은 것 같아 다룹니다.
물론, 그 랩이 연구재단 과제 위주인지 기업 프로젝트 위주인지는 입학전엔 알기 힘들기 때문에, 이 주제를 잘 못 다루기도 하죠 교수에게 입학전 물어보기도 좀 그런 사항이기도 하고요.
우선, 연구재단 과제가 왜 좋으냐? 학생이 논문 쓰는 게 과제 수행이고 그 내용으로 보고서 쓰면 되기에 대학원생 입장에서 이보다 좋은 과제가 없습니다.
그러면 기업 프로젝트를 왜 하느냐? 우선 교수 입장에서 기업 프로젝트는 교수들이 성과금 많이 가져갈 수 있기도 하고... (내 아는 교수들 기업 프로젝트에서 받아먹는 돈만 억대인 사람읕 수두룩함)
큰 규모의 연구재단 과제 아니면, 학생들 인건비 감당할만큼의 연구비가 연구재단과제에서 안 나오기 때문입니다 (ist는 일반적 규모 연구재단과제 수주로도 인건비 충당이 괜찮기에, 연구 환경이 좋다고 하는 것임)
그렇다면 기업 프로젝트가 왜 안 좋으냐? (물론, 기업 프로젝트를 조금씩 하는 건 큰 문제가 아님. 기업 플젝 위주로 돌아가는 랩이 문제가 있다는 것임)
기업 프로젝트는 기업의 생리상 돈 줬으니 돈 뽑아먹으려 혈안이 됩니다. 쉽게 말해, 대기업 과제하면 그 과제하는 동안 대기업 하청 기관이 된 느낌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즉, 기업 프로젝트가 많을수록 그 랩이 중소기업화 되기 쉽습니다.
그리고 중소기업이 왜 힘든지는... 말 안 해도 알리라 생각합니다...
여기까지 간략하게 정리해봤는데, 이건 랩 들어가기 전엔 잘 모르는 거라 (그나마 성한 대학원이 기업형 랩 많은 걸로 유명한 정도?) 김박사넷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지만 대학원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factor들 중 하나이니 유념해 두시면 좋을 듯 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5개
2023.01.31
기업형 랩... 할말하않...
이기적인 칼 세이건*
2023.01.31
사실 이 문제가 가장 중요하죠. 연구실 운영에도 당연히 돈이 수반되기에... 최근 김박사넷 글 중에 실질적으로 가장 도움될만한 글이네요.
대댓글 1개
IF : 2
2023.01.31
헉 감사합니다!!
2023.01.31
우리 랩 후배... 내가 우리 랩 오지 말라고 그렇게 말해도, 회사 일을 미리 배울 수 있으니 좋은거라고 생각했어요~ 라고 오더니 어제도 나랑 소주한잔 하면서 개후회 중이다.
나는 곧 run하니 다들 제발 회사 일은 회사 가서 배우고, 대학원은 논문 쓰기 좋은 환경의 대학원으로 진학해라.
대댓글 4개
2023.01.31
어디신데, 오지 말라고 말려도 후배가 왔나요??
2023.01.31
성대요
2023.01.31
아..
2023.02.04
우리랩인가..ㅠ
2023.01.31
정확히는 연구재단 과제가 주를 이루고 기업과제 몇개가 있는게 좋음. 회사 취업 목적인 애들은 논문 보다 기업과제 또는 교수님의 기업체와의 네트워크가 굉장히 장점임. 물론 극단적으로 연구재단만 있는 랩 vs. 기업과제만 있는 랩 이면 연구재단임
대댓글 3개
IF : 2
2023.01.31
네, 맞습니다.
그래서 제목도 "연구재단 과제 only"가 아니 "연구재단 과제 위주로" 라고 적었었습니다.
그리고 제 글에도 적었지만 안 좋은 대조군으로 둔 것은 "기업 프로젝트 위주의" 랩이지 "기업 프로젝트를 조금씩 하는" 랩은 딱히 안 좋다고 생각 안 합니다.
2023.01.31
기업과제는 대기업 위주로 대기업 연구 중점 부서면 더 좋고요 ㅎㅎ
2023.04.03
혹시 이런 과제 종류는 어떻게 알아봐야 하는건가요..?
2023.01.31
기업도 기업나름임 정체불명의 5인이하 기업이 중기청 관련자금으로 랩에 외주맡기는 경우도 있음
대댓글 1개
IF : 2
2023.01.31
오~ 이건 제가 따로 적지 않았었지만
대기업 플젝도 그게 대학원 lab의 main 과제가 되면 연구실 생활이 고달파지는데
5인 이하?? 아니 그보다 큰 중소기업 과제를 해야만 하고 하는 lab들은 정말 hell로 가기 쉽습니다
2023.01.31
nrf과제만 보면 생각보다 과제가 매우적어요. 개인연구로보면 대충 중견연구 햇다가 리더연구로 가는 정도일텐데 리더연구 하는곳도 적을겁니다. 중견은 대충 연 1.5정도로 적어서 내는게 일반적인것같고요. 이외에 집단연구과제인데 그렇게 규모가 크다고 말하긴어렵죠. erc등의 대형과제를 하는랩도 극소수고요. 결국 어느정도 랩규모만되면 nrf과제 이외의 정부과제 수주는 필수적입니다. 정부과제도 대형과제면 컨소시엄 이뤄서가는데 거기 총괄맡으면 할일 투성입니다. 그리고 nrf과제가 아닌이상 정부과제도 주관기관에 따라서 rnd가 아닌 기술이전에만 관심 갖는곳들도 많고요. 딱잘라서 정부과제는 비교적 편하거나 연구중심적이다 말하는건 어렵고, 컨소시엄으로 큰 과제 물어온 곳에서 적당히 공동연구로 참여하는게 좋죠. 그리고 삼성 창의과제 같은건 rnd성 높고 좋은과제중 하나입니다. 어떤 의미를 전달하고싶으신지는 알겟지만, 너무 nrf가 짱이다 기업과제는 힘들다 등으로 단정짓기는 어려운 없는 개념인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저도 kaist에서 20명정도되는 랩에서 학위를 받았지만, 주변에 nrf과제만으로 충분한랩은 한군데도 못봤습니다.. 10명정도 되면서 리더 혹은 erc과제를 한다는 느낌일지 모르지만 그정도 과제수주 능력자는 손에꼽지않을까요 ㅎㅎ
대댓글 1개
IF : 2
2023.01.31
네 그래서 ist를 제외한 곳에서는 nrf 과제로 학생들 먹여살리기 버겁다고 한 겁니다. ist도 대형랩일 경우, 기본 nrf과제로는 버겁죠.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있는데, 이 모든 걸 한 글에서 다루기엔 too much일 것 같아 양 극단에 있는 것들 위주로 나름 쉽게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이 중, 삼성과제는 특별한 과제로 생각해야 하기에, 삼성과제는 연구재단 과제 느낌으로 생각하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
말하신대로 대형 연구재단 과제들은 소수만 받고, 이 급의 과제들은 보통 서울권에선 sky가 독식하기에 ssh가 기업 프로젝트를 많이 하게 된 역사적 맥락이 된 것 같다고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
대형 과제 중 언급해주신 창의 과제~ 그리고 이번에 신설된 한우물과제 등은... 신입생들은 잘 모르겠지만 이 과제 수주하는 연구실이라면 왠만하면 must apply해야 하는 좋은 과제라 생각합니다.
더 다양한 과제 부연 설명을 위한 댓글 감사합니다.
2023.01.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인정.. nrf과제 하면 연구 자유도도 높고 논문도 많이 쓸 수 있음. 물론 기업과제 적당히 하면서 네트워크 형성하는것도 필수.
쇠약한 프랜시스 베이컨*
2023.01.31
기업과제도 기업과제 나름임. 네트워크도 네트워크인데 대기업 과제하면서 회사에 쌓여있는 데이터 후루룩 받아서 좋은 논문 잘 나옴. 데이터는 받는데 당연히 내가 1저자고 저자싸움도 없음. 교수님도 이런 종류의 기업 과제만 물어오심. 연구재단 말고 산업부 같은 국가과제하면 잡일이 훨씬 더 많아보여서 다 케바케인듯. 우리랩 학생들 선호도는 연구재단과제 = 대기업 연구소 과제 > 산업부 과제 >= 대기업 사업부 과제 > 중기청 과제 >> 중소기업 과제 인 듯
대댓글 1개
IF : 2
2023.01.31
교수님이 이런 종류의 기업 과제만 물어오신다는 측면에서 학생들과 본인 연구를 생각하시는 아주 훌륭한 교수님이신 것 같습니다. 맞습니다. 이런 경우까지 일반화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2023.02.01
IITP나 ETRI같은데서 나온 데도 기업과제에 포함되나요??
대댓글 1개
IF : 2
2023.02.01
아.. 거긴 애매한 것 같습니다..
쑥스러운 데이비드 흄*
2023.02.01
박사과정 6년동안 연구재단 과제만 했는데, 공감합니다. 진짜 가장 큰 장점이... 어느정도 큰 틀 안에서 어떤 연구를 하든 소정의 성과만 내면 보고서에 어떻게든 끼워맞추기가 되더군요. 게다가 소규모랩인지라 과정 내내 경제적으로 부족함 없이 다녔습니다.
쑥스러운 마이클 패러데이*
2023.02.01
잘 모르는데 연구재단이라 함은 bk, 한국연구재단, 국가존속부서 포함인가요?
대댓글 3개
2023.02.01
bk는 여기에 이 category에 들어가는 건 아니고 (bk는 plus alpha의 좋은 것이라 생각해주심 좋을 듯 합니다)
연구재단이라 함은 한국연구재단을 가리키고, 국가존속부서 과제는... 연구재단과제만큼의 student friendly 과제는 아니지만 그래도 왠만한 기업 프로젝트들보다 훨 낫다고 생각합니다.
쑥스러운 마이클 패러데이*
2023.02.01
말씀 감사합니다. 논문실적 뿐만 아니라 이런 것들도 고려해야겠군요. 사람이 로봇처럼 일만 할 순 없는 노릇이니...
혹시 저 익명에 붙은 형용사+서양 위인 이름은 김박사넷 특징인가요?
2023.02.01
네, 익명을 저렇게 하는 것 같아요. 동일인은 한 글 내에서 익명이 동일합니다
2023.02.01
옛날에는 나도 이렇게 생각했는데 사실 취직생각이면 기업과제 있는 곳으로 가는게 좋음 기업과제하다가 기업에 취직하는 경우가 개많음 사실 우리 분야는 거의 대부분 그렇게 가고
대댓글 3개
2023.02.01
기업과제 하다 그 기업으로 취직하게되면 그건 좋은 거죠. 이런 경우가 있으니 획일화하기 어려울 것 같기도 하네요.
하지만 기업과제 열심히 했는데, 그 기업에서 안 뽑아주면 ㅎㄷㄷ
2023.03.03
그건 걔들이 못한거임. 현직자랑 이미 알고있는데 다른 사람을 뽑았으면 과제를 하면서 얼마나 못했는지 상상이안감. 기업에서 과제를 한 사람을 뽑는건 과제를 하면서 기업이 원하는 연구를 진행했기 때문인데 그 교육의 시간을 그냥 버리면서까지 안뽑는다라...
2023.03.03
그건 걔들이 못한거임. 현직자랑 이미 알고있는데 다른 사람을 뽑았으면 과제를 하면서 얼마나 못했는지 상상이안감. 기업에서 과제를 한 사람을 뽑는건 과제를 하면서 기업이 원하는 연구를 진행했기 때문인데 그 교육의 시간을 그냥 버리면서까지 안뽑는다라...
2023.02.02
안녕하세요. 현재 학부 3학년이고 대학원 진학에 관심을 가져 정보를 구하는 와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아직 학부생의 입장으로써 랩실을 구할 때 연구재단 위주로 굴러가는 랩인지 기업형 과제 위주로 굴러가는 랩인지 어떻게 구분하나요?
혹은 랩 선택시 과제에 대해 염두해야 할 사항이 있는지요??
감사합니다.
대댓글 4개
2023.02.02
외부에서 알기 힘듭니다. 랩에 아는 사람 있어서 물어보던가 거기서 인턴해보면서 경험해보는 수 밖에 없습니다.
다만, 학교 운영의 형편과 인식 상 성한 대학원이 기업 프로젝트를 전통적으로 많이 하고 (모든 성한 랩이 그런 건 아니고, 논문쓰기 좋은 기업 프로젝트도 간간히 있긴 있음) 4대 과기원은 기업 프로젝트를 확실히 덜 하는 것 같긴 합니다.
그리고 서울대, 포항공대는 논문 실적을 교수에게 많이 요구해서 그런지, 기업 프로젝트 위주의 랩이 그리 많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연고대 대학원은.. 평균적으로 한 쪽으로 쏠리지 않고 다양한 랩들이 가장 혼재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2023.02.02
아.. 성균관대 약학대학원으로 진학을 희망하고 있었는데 생각이 많아지네요 ㅠㅠ
말씀하신 기업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랩실은 대학원 연구분야와 상관없이 해당 학교 전체가 전통적으로 그런 연구를 많이 한다는 것인가요??
2023.02.02
학교마다 저런 경향이 있는 건 사실입니다만, 저는 공대 쪽 밖에 몰라서 약대 쪽은 잘 모르겠네요...
공대랑 약대가 비슷하다고 하면 비슷하지 않을까요??
2023.02.02
그럴거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2023.02.02
연구재단 과제랑 국가 R&D랑 차이가 많이 날까요?
대댓글 1개
2023.02.02
연구재단과제 외의 정부 rnd 과제는 기업 프로젝트 보다는 연구재단과제에 가까우나, 좀 더 할일이 많고~ 연구재단과제는 거의 100% 논문 친화적이지만~ 정부 과제 중에는 국방부 과제처럼 horible한 과제들도 섞여 있다~ 정도 인 것 같아요~
2024.02.20
기업과제도 기업과제 나름임...예를 들어 졸업하고 내가 여기 가도 괜찮다 싶은 기업이면 (ex. 삼성) 기업과제 하면 비교적 쉽게 졸업 후 입사 가능함... 그 밖의 좃소기업 하청받아서 하는 과제로 굴러가는 랩은 제발 피하세요ㅠㅠㅠㅠ그정도 좃소면 대학원 안가고 학사 레벨에서도 취직쌉가능요...어차피 대학원은 underpaid 감수 하고 내 능력 키우려고 투자하려고 오는 곳인데 좃소 하청 과제를 굳이 대학원에서 할 필요 전혀 x
2023.01.31
2023.01.31
대댓글 1개
2023.01.31
2023.01.31
대댓글 4개
2023.01.31
2023.01.31
2023.01.31
2023.02.04
2023.01.31
대댓글 3개
2023.01.31
2023.01.31
2023.04.03
2023.01.31
대댓글 1개
2023.01.31
2023.01.31
대댓글 1개
2023.01.31
2023.01.31
2023.01.31
대댓글 1개
2023.01.31
2023.02.01
대댓글 1개
2023.02.01
2023.02.01
2023.02.01
대댓글 3개
2023.02.01
2023.02.01
2023.02.01
2023.02.01
대댓글 3개
2023.02.01
2023.03.03
2023.03.03
2023.02.02
대댓글 4개
2023.02.02
2023.02.02
2023.02.02
2023.02.02
2023.02.02
대댓글 1개
2023.02.02
2024.02.20
2024.04.17
2025.03.03
2025.03.03
2025.03.03
2025.03.04
2025.03.04
2025.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