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벌 이야기가 왜이렇게 많나요?

온화한 그레이스 호퍼*

2023.01.31

20

5803

스스로 똑바로 연구하고 있는 대학원생이면 학벌이고 뭐고

개인 연구 방향성, 발전 전략, 논문 작성 등 학술적인 고민으로 넘쳐흘러야 하는 시기인데

아무리 익명 게시판에 배설식 글 쓴다곤 해도

연구 관련이나 실험실 생활에 대한 이야기는 별로 없고
학교 줄 세우는 글이 많이 보이니 신기하네요.

작성자분들 하나같이 학위과정 중이라고 하는데

그거 정말 맞나요? 학부생들이나 할 논쟁 거리를 대학원생이 한다는게 이해가 안가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3.01.31

무지성 학벌 싸움이 아니라, 연구 수준 및 환경과 관계되는 학벌 이야기라면 다른 이야기죠.

대학교마다 연구 수준과 환경이 다 달라요.
괜히 연구중심대학, 교육중심대학이라는 말이 있는 게 아니예요.

여기가 학벌의 영향이 없는 나라도 아니고.
아무 대학원으로 가서야 되겠나요?

대댓글 1개

온화한 그레이스 호퍼작성자*

2023.02.01

맞는 말씀이십니다. 그런 주제면 건설적이죠. 저는 댓글 쓰신 분이 말하는 무지성 학벌 싸움 조장으로 보이는 글들에 대해서 이야기 한 거에요.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2023.01.31

학벌이 본인 커리어에 아무 영향이 없다면 모를까,
아무리 연구성과가 중요하더라도 그것도 어느 정도 name value가 있는 대학원에서 성과를 냈을 때 이야기예요.
인지도 떨어지는 대학원에서 상위권 대학원 출신과 경쟁하려면, 훨씬 쩔어주는 실적이 필요해요.

물론 랩바랩이 상당히 중요하고 거기에 대한 이야기는 중요하지만,

대학원 name value를 아예 제쳐둔다는 건 현실적인 문제를 제쳐두고, 현학적인 이야기만 하자는 것 밖에 안 되지 않을까 합니다.
점잖은 레프 톨스토이

IF : 1

2023.01.31

정말 바쁜 분들은 들어오지도 않고 대학원을 희망하는 학부생들이 적지않아서 그런듯해요ㅋㅋㅋ
토픽자체가 대학원입시들이고 김박사넷이 입시준비를 위한 시스템이 돼있다보니 자연스러운듯 합니다.

대댓글 1개

온화한 그레이스 호퍼작성자*

2023.02.01

이제야 댓글들 읽어봤는데 학부생 분들이신 거겠죠? 아무리 생각해도 "나 XX대 대학원생인데 어디 학교는 ~다" 라는 별로 가치도 없는 이야기를 대학원생이 쓴다는게 상상이 안되네요..

2023.01.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뭐 나중에 정치적으로든 중요하니까? 학벌만큼 연구자 수준이랑 상관성 높은 지표는 아마 없을껄? '몇 몇' spk출신들이 똥을 쌀 수 있고 비spk출신들이 잘 할 수는 있겠지만
취한 루이 파스퇴르*

2023.01.31

재미있기때문 ㅋㅋ
튼튼한 존 필즈*

2023.02.01

카훌이 많아서 그럼
2020년이 절정이였는듯

대댓글 3개

2023.02.01

요즘 중훌이 많아졌습니다...

2023.02.01

요즘은 또 건훌임

IF : 2

2023.02.02

요즘 김학사넷 되면서 학부 훌리들이 많아졌습니다..

2023.02.01

김건희가 있죠. 정말 보잘 것없는 학벌이지만 이젠 서울법대 나오고 판사까지 한 나경원을 완전히 관광보냈죠. 오죽하면 접대가 법대를 이겼다는 말까지 나오는... 그리고 남편포함 수 많은 서울법대 출신 검사들을 애완견 부리듯 하고 있지요.
찌질한 마르틴 하이데거*

2023.02.01

우리나라가 학벌이 중요한 나라가 어쩔수 없네요.
답답한 유클리드*

2023.02.01

현실을 말하는거죠. 요새 지방대도 충분히 경쟁력 있다는 식의 말같지도 않은 찌라시가 도니까요. 아무리 찌라시라도 대학원 입학을 준비하시거나 생각하시는 분들한테 현실에 대해 설명하고 좋은 방향으로 말해야죠.

대댓글 3개

2023.02.01

그렇죠, 물론 이 분 말하는 지방대에서 kp ist는 제외인 거고.

대학원에서 경쟁력 약한 중경외시 및 경쟁력이 미미한 건동홍 이하 인서울 및 수도권 대학들 현실에 대해서도 정확히 설명해 줘야지요
답답한 유클리드*

2023.02.02

그렇죠 근데 제가 건동홍 이하 대학원 인서울 대학원이 경쟁력 있다는 글을 본적이 없어서ㅋㅋㅋㅋ

2023.02.02

네네 맞아요~

2023.02.02

학벌은 신입학 or 수능 기준으로 하는거니까 대학원가면 순혈이랑 좀 다르다고 생각하는 사람 대다수죠

2023.02.02

저도 동의합니다.

그렇게 spk가 아니면 안된다니 뭐니 말해봐야 바꿀 수가 없잖아요
석사면 더 잘해서 박사로 spk 대학원을 가든지, 박사면 또 더 잘해서 포닥을 해외로 가면 되는거구요

당장 지금 할 수 있는게 뭐든 잘하는 것 밖에 없는데, 그런 고민 할 시간에 어떻게 연구 성과를 낼지 고민하는게
고민하는 것 보다 더 나은 방향으로 본인을 이끈다고 생각해야 할꺼같아요

대댓글 1개

2023.02.02

근데 또 한편으론 제가 spk 대학원 사람이라서 이런 속편한 생각 할 수도 있겠다 생각들긴 하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네이버페이 포인트 증정]
📌 김박사넷 2026 대학원 합격후기 이벤트
📌 참여 대상
- 2026학년도 대학원 합격자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