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로서 GPT도움 받아서 더 좋은 연구를 하고 생산성 높이는건 문제 없다고 봄 근데 계산기가 있다고 곱하기 더하기 공부 안해도 되는게 아니듯, 학생때는 GPT 도움 없이 혼자 논문 보고 쓰는 연습을 분명히 하기는 해야함
2025.04.07
그거 기대면 영어 후퇴한다 조심해야 함
2025.04.07
해당 분야에 대한 깊이만 키울 수 있다면 어떤 방법을 쓰든 상관없음 깊이를 위해선 논문을 ai가 없는 프라이멀한 상태에서 직접 탐색해보는 일을 해볼 필요가 있는데 ai는 요약 중에 통상적인 내용들은 한 문장 혹은 단어 하나로 축약하고 넘기는 경우가 태반임 이런 내용에 펀더멘털이 있기 때문에 이런걸 제대로 음미하지 못하고 지나치면 소위 물석사 물박사가 되어버리는거라 주의해야해 내가 후배들에게 가르친 논문을 읽었을 때 가장 좋은 포지션은 하나를 알기 위해 논문을 봤지만 더 많은 내용이 궁금해져야 한다는 건데 ai가 줄여준 내용은 너무 명료해서 요약문을 보는것만으로 내가 다 읽었다라고 착각하게 만들더라
2025.04.08
어차피 도구는 쓰라고 있는거고 챗GPT 도움 받았다고 네 연구가 아닌건 아니잖아 그냥 효율적으로 쓰고 남는 시간에 더 좋은 연구하면 되는거임
2025.04.08
저도 처음엔 혼자 다 읽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챗gpt 쓰니까 시간도 절약되고 오히려 핵심 파악하기 좋아서 이제 못 끊겠어요 솔직히 우리 살아남으려면 뭐라도 써야죠
2025.04.09
ChatGPT를 이용하기 전을 생각해보면, 구글 번역기가 있는데도 굳이 종이사전 뒤져가며 해석한다든가, PC가 있는데도 굳이 수기로 리포트를 쓴다든가, 계산기가 있는데도 굳이 글로 써가며 계산하는거나 다름 없음. 활용 잘하는것도 능력임.
2025.04.09
지금 ai발전속도볼때 오히려 안쓰면 뒤쳐지는거임. 남들은 필요한 논문만 딱딱 빠르게 서칭하고 그거만 집중적으로 보는데, 그걸 하나하나 다한다? 절대 못따라감
2025.04.07
2025.04.07
2025.04.07
2025.04.08
2025.04.08
2025.04.09
2025.04.09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