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 유학가서 외로워 김박사넷 하는 사람이 많을텐데, 지금 하고 있는 고생에 대한 보상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임.
2) 그게 아니라면 미국뽕 제대로 밖힌 사람들
최근 트렌드가 국내 대학원도 인정해주는 추세이고, 재료나 화공쪽은 이미 세계 경쟁력 있는 수준에서 미국 탑 50위권 아래가 spk보다 좋다고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위에 카테고리에 해당됨. 입에 거품무는 사람은 1로 추정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5개
Robert Nozick*
2020.11.09
라고 유학을 꿈도못꾼 사람이 자위하고 있습니다
Francis Crick*
2020.11.09
Top10.. not top50
Wilhelm Feldberg*
2020.11.09
팩트: 50위권 대학에도 유명한 교수들 꽤 있음
서카포 학부에서 50위권으로도 유학 꽤 나감
서카포학부+50위권 미국대학 > 서카포 학석박 >>>>>>>> 타대출신 서카포박사임
대댓글 3개
2023.03.07
50위권 세계랭킹 말씀하시는듯. 미국 50위권은 좀...
2023.03.14
탑50에도 분야별 석학이 있는 경우가 있죠. 그리고 있는 경우 해당 학교에서 막강한 영향력이 있어요.
2025.04.13
50~100위권만 가도 중국 최상위 대학 한국 최상위 중동 유럽 최상위 대학 출신들 수두룩해요.. 대학원은 진짜 사이즈나 연구 예산부터 대결이 안된다고 생각해요 플래그쉽 주립대면 50위 밖이여도 그냥 압살입니다. 국내에서 좀 친다는 연구실도 캐나다 호주 대학한테도 명함 못 내밀어요. 해외로 가보면 세상이 얼마나 넓은지 체감이 됩니다.
Henrietta Swan Leavitt*
2020.11.09
ㄴ이게 맞음ㅇㅇㅇ 국박으로 인정받는건 설카포 학석박인거고 그것도 결국 설카포 학부+미박에 밀림. 타대 설카포박사는 낄자리가없음...
교수나 정출연은 모르겠고, 삼성전자 내에서는 TOP50이면 서울대,카이스트 보다 메리트는 없다고 하시네요.
대댓글 2개
2025.04.13
미국 아니여도 유럽 캐나다 대학 박사 출신만 해도 개네는 미국 캐나다 한국 쉽게 왕래가 가능한데 한국에서 박사 하신 분들은 포닥 밖에서 안하면 해외에서 뭐 할게 없습니다. 실제로 국내 박사로 최고 엘리트 코스 타신 분도 해외에서는 평범한 대학 교수 임용 되는거에도 포닥에서 큰 성과를 내서 가능했다고 본인 입으로 말했음..
학부는 솔직히 국내 20위권 대학이나 미국 주립대나 큰 변별력 없다고 생각하는데 진짜 대학원은.. 국내랑 해외는 비교 대상 자체가 아닌듯 국내도 잘하지만 사이즈나 네트워킹이나 이런게 상대가 안됩니다..
2025.04.13
솔직히 말하면 서울대 카이스트에서도 TOP50 이내 펀딩 떨어지신 분들 수두룩해서 동의하지 않습니다. 해외 플래그쉽 50위밖 주립대 박사하신분 보면 S에서 매년 연락와요
Wilhelm Feldberg*
2020.11.09
생각해보면 됨 자대 걸어들어갈 수 있는 SPK 학부생들이 왜 개고생해서 50위권으로 유학갈지
Bjørnstjerne Bjørnson*
2020.11.09
설포카 학부생들 50위권 유학 거의 안가는데요.. 수학 컴공 물리 빼고는 top 15만 씁니다 보통.
대댓글 2개
2023.03.07
15는 에바고 ;; 한 3-40까지는 쓰는듯. 탑5 보다 30권이 더많음 ;;
2025.04.13
30위권도 못 붙는데 뭘 자꾸 탑 15.. 특히 컴공 같은 경우에는 해외 50위 밖 대학원도 한국이랑 비교 자체가 안됩니다. 칭화대 같은 초일류 대학 나온 친구도 아주 평범한 공립이나 주립대 박사에 있어요. 호주나 캐나다의 탑스쿨도 아니고 평범한 대학의 랩실을 보셔도 쟁쟁합니다.
2020.11.09
ㅋㅋㅋㅋ qs ranking이 다 믿을건 아니지만,
카이랑 설대가 mse에서 19, 21등인데
세계 랭킹도 아닌 미국 랭킹 50 대학원을 뭣하러 가누 ㅋㅋㅋㅋ
2020.11.09
보통 us news기준이 국룰 아님?
Wilhelm Feldberg*
2020.11.09
미국 나와서 딴학교랑 코웍해보면 서울대나와서 유학온애들 여기저기 굉장히 많음
타대생 학벌세탁충들은 왜 그러는지 이해가 안가겠지
대댓글 1개
2023.03.10
그렇게따지면 서울대도 유학가면 타대생 학벌세탁충 됨
2020.11.09
미 대학원 랭킹은 US뉴스 국룰맞음.
나는 6위권(말그대로 하버드 mit 스탠 버클리 칼텍 바로 뒤)에서 박사중인데 탑 50은 한국이 별로 못하는 분야거나 엄청 빡센분야 아니면 굳이 미국생활 적응해야하는 비용 치루면서 갈만한지 진짜 모르겠음.
나는 미국대학원이 한국에서 하기힘든 선도적인 연구할 수 있다는거랑 지도교수 역량, 인맥이 다르고 주류 학계 돌아가는걸 더 잘 알수 있다는데 강점을 갖는다고 생각하는데 50위권에서 이 장점 가져가기 아주 용이하진 않다 생각함.
국내 skp yk ssh 정도 학부생이 미국 탑 50 고민없이 가는 분야면..뭐 경제학이나 통계..?
나도 YK, SKP 골고루 겪어보고 왔는데 탑 50을 뒤도 안돌아보고 가진 않을것같음. 가더라도 이것저것 재면서 갈것같다. SPK 학생들 중에서도 그냥 미국정착이 목표인 유학준비생이 있고 엘리트주의에 찌든 준비생이 있어서 다를걸.
나도 20위 아래로는 굳이 안썼음
Wilhelm Feldberg*
2020.11.09
분야별로 랭킹 다 다른데 저런식으로 통짜로 랭킹매기는건 오바임
내가 박사한 데는 US뉴스 통짜 랭킹은 top 10위권이었지만 엔지니어링 랭킹은 같은 주 주립대보다도 낮았는데 (50위권) 반면 내가 하던 분야는 top 5에 들어갔었음.
US 50위권이면 이름있는 사립대나 메이저 주립대들이 포함되고 분야에 따라 리딩그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많음
그리고 미국 적응한다는건 비용을 치루는게 아니라 매우 큰 메리트를 얻는거고
대댓글 1개
2023.03.07
유펜? ㅋㅋ
2020.11.10
무슨 yk ssh이 또 50을 재면서가 ㅋㅋㅋㅋㅋ 진짜 미치네 ㅋㅋ spk까지가 50을 고민하고 재면서 갈정도 학교고 나머지는 50이면 냅다 가야하는게 현실이구만 ㅋㅋㅋ아니 50위 학교들 본인들이 아는 것 만큼 허접한 곳들이 아니여~ 때에 따라 존홉이 공대에선 저쯤하고 펜스테이트나 텍사스a&m같은 국내 교수 오지게 많이 배출한 학교들도 즐비한단다^^ 일단 하이브레인에 spk가 UCI 가는것에 대한 현직자들 의견이 아주 잘나와있으므로 논란종결^^
대댓글 1개
사려깊은 버트런드 러셀*
2023.03.11
말씀해주셨듯이 spk학부생이 UCI대학원 간거랑 그냥 자대 대학원 간 건 레벨 자체가 다릅니다. 그냥 자대 대학원 가는 건 참 편한 길이죠. 도전할 필요가 없고 유학 준비 따로 해야할 필요 없습니다. 유학 갈 능력이 안 되는 spk학부생들은 세계대학랭킹 보며, 논문 갯수 새가며, 본인들이 더 잘났다고 자신을 위로할 수도 있겠죠. 안타깝게도 졸업하면 alumni 수준은 참 다릅니다. 바라보는 곳도 다르고, 시야도 다르고, 경험도 다르고, 불러주는 곳도 달라요.
2020.11.10
위에 qs ranking은 농담이지?
2020.11.10
존홉 20위쯤 하던데 50위면 오레건 주립대 정도 나와야 할듯
2020.11.10
윗댓보고 궁금해서 찾아보고 왔는데 전공별로 편차는 있겠지만 공대 대학원 usnews 랭킹 기준 50위권이면 아이오와 주립대 , 다트머스, 미시간 주립대(앤아버 아님), 노트르담(사실 영어 발음은 노트르데임) 대학 처럼 학부위주로 좋은 대학교인듯? 그래도 미국 취업이나 유학가고싶으면 갈만하긴 하겠다... 50위권이면 주로 주립대인데 요즘 코로나때문에 주립대 재정상황 안좋아진거도 있구 저런곳은 연구실 alumni를 신중하게 살펴보는게 좋을듯?
2020.11.10
근데 갑자기 또 궁금해서 csranking.org 에서 cs 랭킹만 찾아봤는데 놀랒게도 존홉하고 버지니아텍은 50위권이 맞음
(아마 최근 활발한 연구분야인 computer vision과 ai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영향이 큰거같음 해당항목 제외하고 보면 또 올라가기도 함..) tamu는 30위권임. 그냥 과별로 편차 ㅈㄴ 크고 하니까 사람들이 너무 랭킹 신경쓰지말라 하는구나 싶음ㅎㅎ
Bjørnstjerne Bjørnson*
2020.11.10
ㄴㄴㄴㄴ 하이브레인넷 현직 교수들은 20년전쯤에 유학가샸던 분들이라 지금이랑 상황이 다르긴 하죠.
Henrietta Swan Leavitt*
2020.11.10
ㄴ그 현직교수들이 결국 임용심사하는건데;;; 누구말이 정확하겠음? 여기 대학원생+학부생들이 아무리 뭐라해도 결국 칼자루 쥐고 있는 사람들이 정확히 보고있는거 아님?
Socrates*
2020.11.11
여기는 미국뽕이 아니라 국내박사뽕이 더 문제임.
한국이 죄다 정량평가에 미쳐있으니, 교수들이 논문실적 필요해서 논문공장처럼 랩 운영해서 논문 잘 나오는 것을 지들 실력이라고 믿는 애들 너무 많음.
2021.10.29
이런글 볼때마다 김박사넷 수준에 기가참
대댓글 1개
2021.10.29
여기 댓글 쓴 사람들중에 SPK나와서 미국 유학 경험해본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궁금. 아마 미국 유학이 아니라 SPK 문턱도 못 밟아본 사람이 태반이지 싶다
2023.03.09
기본 자금력의 차이가 어마어마한데요.. Top20 사립대 중 하나인 유펜만 보더라도 5조가 넘는 자금을 확보하고 있지만 (구글링만 해도 나옵니다), 카이스트는 200억도 채 안됩니다. 교육에 들어가는 자본금의 사이즈가 달라요.. 그게 곧 퀄리티로 이어지구요. SKP에서 석박사 하신 사람들 중에 '와 여기 정말 모든 면에서 만족스러운 학교야' 라고 하시는 분 몇이나 됩니까? 랭킹이 다가 아니라는 말이죠.. 제가 SKP에서 석사했고 제 선배가 석사마치고 박사를 UT 오스틴 버리고 브라운대학교로 가더군요. 전공랭킹은 50위권인데도요. 그만큼의 가치를 느꼈기 때문에 간거고 그곳에서 매우 만족스러운 박사생활 하고 계십니다. 부디 랭킹에 현혹되지 마세요... 카이스트가 QS기준 top20~30이라고 해도 세계에서 아무도 그 정도로 인정 안합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체감상 미국내 top100 대학들과 비슷하게 취급하죠.
대댓글 1개
2023.03.09
카이스트 : 200억 > 2000억 정정합니다.
2023.03.12
아웅다웅
2023.03.25
웃고갑니다.ㄱㄱㅋㄱ한국에서 잘~~살이나
2023.05.14
위 댓글 단 사람 중 한명이고 우연히 링크타고 다시 왔는데, 미국 유학 연차가 쌓였지만 “미국 약 탑20 아래부터는 국내 최상위 대학원에 비해선 진학하기에 애매해진다”라는 생각은 바뀌긴 커녕 오히려 더 굳어지고 있네요.
여러 학교 여러 랩이 참여하는 대형 프로젝트에 제가 속한 랩이 끼어들어 있는데, 미국대학원도 랭킹권에 따라서 똑똑한 학생 (및 교수)의 비율이 급격히 줄어든다는걸 정말 심하게 느낍니다.
저희 랩 내 미국인 학생이 “쟤들 왜 이렇게까지 사람들이 망창하고 엉성하냐? 이런 얘기는 별로 안하고 싶지만 미드티어 스쿨은.. (중략)”라며 까댈 정도.
미국 대학원 유학의 장점은 1. 미국 대학원의 평균적으로 압도적인 자본력 2. 진취적이고 리스크 있는 선도적인 연구주제를 장려하는 환경 3. 국내에서는 체험하기 힘든 지도방식이나 학과 시스템 체험 외에도 3. 다양한 랩/학과 구성원의 백그라운드에서 오는 디스커션과 교류의 용이성 4. 뛰어난 실력을 갖춘 포닥들의 수급 및 협업
등에도 의미가 있는건데, 랭킹이 많이 떨어지는 학교(개인적으로 느끼기에 액 탑30 이후)에서는 3,4의 장점은 심하게 퇴색이 됩니다
랭킹은 참고를 위한 대략의 지표일뿐이라는것엔 동의하고, 위 장점(및 다른 장점)들 중에 어디에 가중치를 많이 둘지에 따라 랭킹 기준선에 대한 생각이 다를 수도 있다는건 알겠는데
“국내 상위권 학부 출신들이 자대 대학원가는 것보다 미드티어 스쿨이라도 미국 나가는것을 더 높게 쳐줘야 한다. 도전정신 자체가 다르다”라는 식의 주장은.. 국내 대학원도 다녀본 저로서는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4.06
똑똑함에 집착하는데 있어서 (정말 본인이 랩의 다른 학생들 지적 수준을 가늠할 역량과 자격이 되는지는 별론으로) 이미 포인트가 어긋납니다. 그리고 1-5에 한번 안 적은 크리티컬한게 찐 연구자들과 평생 갈 네트워크를 박사시절 만드는거죠. 국내 박사하고 포닥 미국 간 사람들은 그걸 모르니 맨날 퍼포먼스가 T30 이후로 떨어진다느니 헛짚는겁니다. 현실은 T50 졸업해도 서울대 못지않은 학교에서 자리잡죠…
2023.05.18
어렵네요....그래도 미국 취업을 위해서는 가는게 좋겠죠..?
2025.04.07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여기 꼬라지 보면 코미디프로 볼 필요 없네
2025.04.11
전공랭킹 혹은 전체랠킹 말하는거임?
대댓글 1개
2025.04.21
대학원응 전공랭킹을 봄
2025.04.13
진짜 솔직히 말하면 미국 60~100위권 대학이랑 국내 상위 랩실이랑 비교해도 미국이 나아요.. 연구실 예산 규모나 사이즈 자체가 다르고 학회에서 나오는 성과도다름.. 물론 학부에서는 다 똑같고 오히려 한국이 더 똑똑한 학생들이 많은데 대학원만 가면 유럽 미국 캐나다 호주 이런 곳들에서 어찌나 격차가 나기 시작하는지 참 ㅎㅎ 솔직히 말해서 캐나다에 이름 있는 대학 아닌 지역 공립 대학만 봐도 국내 최상위 랩실 수준으로 합니다 아니 그이상으로 해요
2020.11.09
2020.11.09
2020.11.09
대댓글 3개
2023.03.07
2023.03.14
2025.04.13
2020.11.09
대댓글 2개
2023.03.12
2023.03.12
2020.11.09
대댓글 2개
2025.04.13
2025.04.13
2020.11.09
2020.11.09
대댓글 2개
2023.03.07
2025.04.13
2020.11.09
2020.11.09
2020.11.09
대댓글 1개
2023.03.10
2020.11.09
2020.11.09
대댓글 1개
2023.03.07
2020.11.10
대댓글 1개
2023.03.11
2020.11.10
2020.11.10
2020.11.10
2020.11.10
2020.11.10
2020.11.10
2020.11.11
2021.10.29
대댓글 1개
2021.10.29
2023.03.09
대댓글 1개
2023.03.09
2023.03.12
2023.03.25
2023.05.14
대댓글 1개
2025.04.06
2023.05.18
2025.04.07
2025.04.11
대댓글 1개
2025.04.21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