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 사회에선 엄연히 학벌이 존재한다. 여기서 말하는 학벌이란 학교 서열과 학교별 실력차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학교의 이미지와 인식 모든 것을 뜻함. 막말로 본인들 자식 과외구할때 고구려대생하고 서울대생 중에 누굴 고를지 선택하라고 하면 딱 답이 나옴.
2. 학부, 대학원중 어느 학벌이 중요하냐면 학부가 압도적으로 중요하다. 하지만 학부 학벌이 좀 구려도 뒤집을 수 있는.방법이 있는데 유학가서 좋은 논문 쓰는것이다. 한국에선 선진국(독일, 영국, 미국 등) 유학은 서울대급 파워를 갖는다.
3. 학벌주의가 있는 이유가 실질적인 이유와 인식적인 이유가 있음. spk인기랩(인기랩 구성원은 9할은 자대, 1할도 준수한 학교임)과 협업을 해보거나 학회에서 발표하는거 들어보면 다름 즉 근본적인 실력이 다름.... 오죽했으면 뽑아보니 sky란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님. 그리고 사람들은 복잡하게 생각하는거 싫어함. 무슨 어디 대회에서 입상하고 뭐해도 지잡대 나오면 그 입상마저 의미가 퇴색됨. 반면 개백수여도 서울대 졸업했다하면 갑자기 태도 달라지는게 인간이란 존재임. 그만큼 한국에선 서울대가 갖는 의미가 큼.
4. 모든 지방대생들이 멍청하냐는 의미냐라고 물어본다면 반으누맞고 반은 아니다라고 표현하고 싶어. 일단 중고등학교의 주입식 교육이랑 본인의 성향이 안맞아 학부는 지방대지만 대학원은 유학가서 현재 미국에서 일하고 있는 지인분도 계심. 즉 사바사긴 하나 평균값으로 보면 서울대애들이 똑똑한것은 맞음. 특히 자제력 집중력에선 넘사임.
결론 학벌주의가 존재는 하나 극복하는 방법이 없는것은 아니다. 화이팅이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IF : 2
2023.02.13
다 동의합니다.
다만 요것만 고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밑의 예가 대학원이라는 가정하입니다)
“무슨 어디 대회에서 입상하고 뭐해도 지잡대 나오면 그 입상마저 의미가 퇴색됨. 반면 개백수여도 서울대 졸업했다하면 갑자기 태도 달라지는게 인간이란 존재임. 그만큼 한국에선 서울대가 갖는 의미가 큼.“
실질적인 차이를 (평균값) 인정하되 인식은 바꾸자
꼼꼼한 프랜시스 베이컨*
2023.02.13
혹시 나이가 좀 있거나 학부생임?
한창 필드에 있는 사람이면 해외유학 갔다왔다고 서울대급 파워가 있다는건 너무 시대에 뒤떨어진 소리를 하는데.. 서울대보다 높게치는 이름있는 학교들(MIT, 칼텍, 임페리얼 등) 수준 아니면 해외 나갔다왔다고 대우받는 시절은 한참 지났음;
또한 대학원 졸업하고 연구직을 목표로 하는사람한테 대학원 기준 실적없는 서울대 개백수랑 실적좋은 지방대 들이밀면 둘다 안뽑거나 하다못해 실적있는 지방대는 면접이라도 봄
필드나오면 설포카도 뚝딱이 쉑들 넘쳐나는데 뭔 서울대라고 사람이 달라짐 그건 걍 대졸이나 고졸수준이 할 생각인데
대댓글 2개
시끄러운 마르틴 하이데거*
2023.02.14
ㄹㅇ 실적있는 지방대는 면접기회라도 있지 실적없는 서울대는 아예 기회조차 없음. 오히려, 서울대 기댓값이 있어서, 서울대 나와서 실적없으면 더 불리하고 지방대 나와서 실적 좋으면 눈에 더 띄죠.
성급한 장자크 루소작성자*
2023.02.14
한창 필드에 있는 사람이면 해외유학 갔다왔다고 서울대급 파워가 있다는건 너무 시대에 뒤떨어진 소리를 하는데..라고 하셧는데 아직 교수임용시 해외 유학파 위주로 선호하던데 도대체 어디부분에서 서울대보다 파워가 떨어진다는 건가요? 설령 교수 임용말고도 해외 박사 소지하면 충분한 가산점이 어디부분이 서울대보다 파워가 떨어진다는거죠?
꼼꼼한 프랜시스 베이컨*
2023.02.14
알람뜨길래 다시 보러왔는데 아무리 봐도 적혀있는거 레전드네
3. 학벌주의가 있는 이유가 실질적인 이유와 인식적인 이유가 있음. spk인기랩(인기랩 구성원은 9할은 자대, 1할도 준수한 학교임)과 협업을 해보거나 학회에서 발표하는거 들어보면 다름 즉 근본적인 실력이 다름.... 오죽했으면 뽑아보니 sky란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님. 그리고 사람들은 복잡하게 생각하는거 싫어함. 무슨 어디 대회에서 입상하고 뭐해도 지잡대 나오면 그 입상마저 의미가 퇴색됨. 반면 개백수여도 서울대 졸업했다하면 갑자기 태도 달라지는게 인간이란 존재임. 그만큼 한국에선 서울대가 갖는 의미가 큼.
"학회에서 발표하는거 들어보면 근본적인 실력이 다름", "뽑아보니 sky란말이 괜히 있는게 아님" 학회가서 SPK도 석박애들 발표하는거 들어보면 저거 본인이 연구한거 맞나? 왜 발표를 저따구로밖에 못하지 생각이 갈때마다 몇명씩 들고
"그리고 사람들은 복잡하게 생각하는거 싫어함. 지잡대 나오면 입상 의미가 퇴색됨. 개백수여도 서울대면 태도달라짐" 이건 아무리 봐도 대학원생 이상의 과정이 쓴 글이라고 믿고싶지 않은 수준임. 진짜 분탕글이거나 학부생이 어디서 글 보고 쓴거여야된다
글을 아무리 곱씹어봐도 연구를 하거나 연구를 했던사람이라는 생각이 전혀 안드는데
대댓글 2개
성급한 장자크 루소작성자*
2023.02.14
학회에서 발표하는거 들어보면 근본적인 실력이 다름", "뽑아보니 sky란말이 괜히 있는게 아님" 학회가서 SPK도 석박애들 발표하는거 들어보면 저거 본인이 연구한거 맞나? 왜 발표를 저따구로밖에 못하지 생각이 갈때마다 몇명씩 들고라고 하셧는데 spk인기랩중에 어디가 수준이 떨어진다는거죠? 구체적으로 말해주실 수 있으시나요? 제가 본 spk인기랩들은 본적이 없어서 만약 설명 못하시면 본인이야 말로 뇌피셜 망상충이라는거 인정인데 설명해주시겠어요
꼼꼼한 프랜시스 베이컨*
2023.02.14
본인 발광소자(OLED) 전공자임. 화학회 가서 OLED 전공하는 포스텍, 서울대 랩들 많고 실적 잘나와서 포스터나 구두발표하는 학생들한테 분자 설계할때 왜 이쪽 기능화시키냐 다른거 시키면 어떻게 될것같냐 설계공정에서 수정해볼 생각 못했냐 물어보면 대개 반이상은 어버버하는데 뇌피셜 망상충????
실적 잘나오는거랑 학생 수준이 뛰어난 것도 구분 못하는 수준인데 내가 무슨 얘기를 더 해야될지? 또한 최근에 임용되는 교수들 보면 국박 위주에 심지어 지거국, 지방 사립대 교수들도 실적많이 들고 교수되는 판인데 필드에서 일 안함? 대체 언제적 유학파를 운운하고있는지 모르곘네
2023.02.13
2023.02.13
대댓글 2개
2023.02.14
2023.02.14
2023.02.14
대댓글 2개
2023.02.14
2023.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