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는 말해 뭐해 무조건 있은. 한국에서 sky졸업 했다하면 한수 먹고 들어가는게 대한민국이라는 사실은 중고등학생들도 아는 사실임. 더 웃긴거 알려줄까요? 지방대애들도 우리학과가 니네학과보다 입결 높다라고 싸우는게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임..ㅋㅋㅋ
그럼 대학원은 학벌이 없냐? 아니 물론 있죠. 물론 학부보단 뚜렷하진 않으나(지방대에서도 좋은 저널에 논문내는 실험실 있고 서울대에서도 후진 저널에 논문내는 곳 있음)그래도 보통 좋은 랩은 spk에 몰려있는건 팩트. 막말로 국내 탑저널에 논문 publish하는 학교보면 spk가 상당수임. 그리고 spk보다 더 높은 학벌이ㅜ있음. 바로 미국 독일 등등 선진국 박사.....넘사임..특히 미박을 예로 들면 일단 졸업요건도 한국보다 더 까다롭고 한국하고 미국 독일 탑저널 논문 내는거보면 수준차이도 나옴.
결론 학벌은 대학원이나 대학교나 존재한다.
아 그리고 첨언하자면 학벌도 충분히 커버가능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쩨쩨한 제인 오스틴*
2023.02.15
당연한 말씀을..
못된 그레고어 멘델*
2023.02.15
무슨 글을 보고 쓴건진 모르곘으나, 최소한 내가 봤던 글에선 "학벌은 없다" 고 주장하는 글은 없었음
최근에 굉장히 자주 보이는 유형이 "실적을 잘 내는것이 학벌을 우선시 하는 것보다 중요하다"인데 이에 대한 의견도 "동일하게 좋은 실적을 낼 수 있다면 좋은 학교에 가는 것을 추천"하지만 실적이 없다면 차라리 낼수있는 학교를 가라는게 중론임
제목이 "학벌이 없다는개 개소리인 이유"지만 그 누구도 학벌이 없다라는 얘기는 한 사람이 없어서 그냥 뻘글이 되어버림 본문도 이미 수십번 얘기나온 내용일 뿐이고..
놀란 루이 파스퇴르*
2023.02.15
이 글은 너무 허수아비 때리기 아닙니까? 학벌이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세상에 없습니다. 학벌-실적 이슈의 골자는 우선순위에서 연구실적이 학벌보다 더 앞선다 라는것이죠.
극단적으로 표현하자면, 임용시장이나 일반연구직 채용시장에서 nsc 각 한편씩 있는 완전 개지잡대 박사졸업생을 재치고 nsc 단 한편도 없는 spk 박사졸업생이 채용될 확률은 거의 없습니다. 반대로, 지잡대 박사졸업생과 spk박사졸업생이 동등한 실적을 가질경우 지잡대 졸업생이 spk졸업생 대신 뽑힐 확률 역시 거의 제로에 수렴합니다.
즉, 연구실적은 모든 다른 조건들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핵심요소이고 학벌은 모든 다른 조건들이 동일할 때 비로소 작용하는 부가요소입니다. 그냥 이게 본질입니다. 논쟁할 가치도 없는 이슈에요.
대댓글 2개
2023.02.16
실적 우선이 당연히 맞는 말인데 막상 임용시장 들어오면 자기 혼자만 특출난 실적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많이 드물다는게 문제임ㅋㅋㅋㅋㅋㅋ지방대-NCS, SPK - ㅈㅂ 논문 두케이스가 자리를 놓고 맞부딪치는 경우는 사실상 없다고 보면 됨.... 실적은 대부분의 경우 다 고만고만한 경우가 많음. 그리고 사실 임용 커트라인이 되는 어느 정도의 기준 실적을 넘긴다면 실적, 학벌 둘 다 문제가 아니라 레퍼첵이 훨씬 중요해지는 경우가 많음.....
2023.02.18
그놈의 학벌을 뛰어넘는 실적을 가진 사람들은 사실 거의 없음......
2023.02.15
웃긴게 학벌 좋은 사람들은 별 소리 안하는데 꼭 학벌 안좋은 사람들이 실적으로 커버되니 안되니 가지고 싸움ㅋㅋ그냥 조용히 자기 연구하면 될걸
대댓글 4개
염세적인 공자*
2023.02.16
이 댓글도 학벌에 대한 편견이 있는거죠. 학벌 안좋은 사람들만 논쟁하는게 아니라, 학벌 좋은 사람도 본인이 실적 없으면 학벌이 더 중요하다 말하는 경우 종종 있음
2023.02.16
편견과 확률을 구분안하면 어떤말도 못하죠. 어디든 예외는 있으니까요
염세적인 공자*
2023.02.16
댓글들에도 있듯이, 학벌이 중요하지 않다고 하는 주장은 없음.
논쟁의 요지는 실적이 좋으면 학벌을 극복할 수 있느냐 없느냐임.
확률적으로, 실적이 좋으면 학벌을 극복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쪽은 학벌은 낮지만 실적은 좋은 사람들일테고,
반대를 주장하는 쪽은 학벌은 좋지만 실적은 낮은 사람들이겠지.
중론은 역시 댓글들에 나와 있는대로, 같은 실적이면 학벌이 중요하지만, 실적이 좋으면 학벌을 극복할 수 있다임.
그럼, 논란을 키우는 주장은 실적이 좋아도 학벌을 극복할 수 없다일텐데 이게 어떻게 학벌 안좋은 사람들이 문제를 일으키는 거임? 이 주장은 확률적으로 학벌만 좋고 실적은 낮은 사람들이 하는 주장일텐데
2023.02.17
편견과 확률을 구분해야 한다는 말이 인상 깊어서 대댓글 다는데요.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편견과 확률을 구분짓고 있으며, 원 댓글은 왜 편견이 아니라 확률적 판단으로 분류되는 건가요? 확률이란 단어를 쓴 이상 통계 자료라도 있으면 모르겠는데, 인터넷에서 학벌로 싸우는 사람과 실제 학벌의 상관관계를 이야기하는 자료라도 있나요?
2023.02.15
아, 네.
2023.02.16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벌/실적 따지지 않고 학벌이랑 실적 둘다 챙기는 게 맞음. 그리고 막말로 서울대 학부 다니다가 숭실대학교 박사과정 갈 수 있을까요? 실적이 잘 나오는 랩인데...갈 수 있을까요 ? 못하죠. 학벌 따지는 건 밑에 대학들에서나 난리인 거...
2023.02.16
걍 행복하게 남한테 피해 안주고 살면되는겁니다.
2023.02.16
김박사넷 만년 떡밥 사이트 폐쇄할 때까지 계속 나올 이야기
2023.02.16
뻘소리에 뭘 답글들을 다세요. 더 다실 필요 없습니다~
2023.02.16
다들 학벌에 열등감 있나.. 그냥 글쓴이가 맞는 말 한건데 왤케 화나있음
2023.02.17
대학원 학벌은 하버드나 옥스포드 예일 정도는 될 때 들먹여야죠, 국내 대학원이 다 거기서 거기지.. 서울대 대학원은 지잡 학부 출신들 잘만 들어가는데 대구대 순천향대 이런데 출신들이 서울대 대학원에 반은 잇음 그래서 국내 대학원 이름은 의미가 없어요
2023.02.15
2023.02.15
2023.02.15
대댓글 2개
2023.02.16
2023.02.18
2023.02.15
대댓글 4개
2023.02.16
2023.02.16
2023.02.16
2023.02.17
2023.02.15
2023.02.16
2023.02.16
2023.02.16
2023.02.16
2023.02.16
2023.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