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공동 1저자

2023.03.09

13

2155

저희 연구실이 원래 A(1저자), 교수님(교신저자)이렇게 들어가는데

요새 A(공동 1저자), 교수님(공동1저자, 교신저자) 이렇게 바꾸자고 하시네요..

혹시 이렇게 된다면 안좋은 점이 뭐가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방탕한 아르키메데스*

2023.03.09

기여도가 1이 아니라 0.5로 계산되는건데
대단한 저널 (네이처든 최소 자매지나 자기분야 탑저널) 아닌이상 별 의미없음.

대댓글 1개

2023.03.09

Q1에 IF는 7정도 되는 저널..

2023.03.09

좋고 나쁘고의 문제라기 보다는.. 원천 아이디어에 대한 기여가 있거나 하면 공동으로 가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2023.03.09

굳이 교신이 아니라 주저자로 가시는 이유는 모르겠네요.. 학교든 대다수의 연구소든 모두 교신저자를 주저자로 똑같이 인정해줄텐데말이죠.
차후에 공동교신 숫자 많을수록 환산점수에 마이너스가 되는경우가 있기는해요. 하다못해 학계 내에서는 탑저널 공동주저자 3명으로 내는것보다 그냥 Q1적당한 저널 단독주저자로 내는게 유리할수도 있다는 말이 괜히 나오는게아니죠..

대댓글 2개

징징대는 프리모 레비*

2023.03.09

그대신 공동주저자로 논문 내는 사람들은 절대적인 논문 개수가 더 많겠죠 ㅋㅋㅋ 일을 분업해서 효율적으로 하니까

2023.03.10

교수가 공동주저자까지 같이 가져가는건데, 뭐 논문갯수에 차이가 있겠나요.
공동주저자 하는대신 본인이 논문써주겠다도 아닐것같은데, 분업얘기는 본문이랑은 조금 거리가있어보입니다.

2023.03.09

PI가 바꾸자면 바뀌는 거지만 굳이 교신이면서 공1을 해야 하는 이유가 뭘까 모르겠네요.
용감한 쿠르트 괴델*

2023.03.09

교수님이 보기에 거의 교수님 본인이 쓰셨나봄...

대댓글 2개

2023.03.09

그건아니에요. 이번 논문도 마이너 리비젼까지 나온 상황에 갑자기 바꾸자 하신거고, 연구실내 모든 논문에 공동 1저자로 앞으로 들어간다고 하시네요
징징대는 프리모 레비*

2023.03.09

교수님이 좀 이상한 분인듯.. 사람들이 논문 훑을때 이름이 맨 뒤에 있는 사람이 누군지만 보기 떄문에 오히려 안좋아요. 오히려 이름이 맨 뒤에 있는 애먼 공저자가 교수 취급 받습니다.
세심한 알베르 카뮈*

2023.03.09

교신 1저자 다먹으려는게 좋아보이진 않네요
아무리 실질적인 기여가 많았다해도...

2023.03.10

저자를 '원래' 어떻게 들어가는 건 말이 안 되는 것처럼 들리네요. 기여도에 따라 저자를 정해야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교수님이 1저자만큼 기여를 하셨으면 1저자로 들어가시는게 맞겠죠.
조용한 아이작 뉴턴*

2023.03.10

솔직히 예전의 경우는 교수가 교신달고 앞으로 가는경우도 많았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교수는 그냥 교신만 맡고 뒤에 가는 문화가 자리잡힌 것 뿐이지, 앞으로 간다고해서 문제가 있는건 아닙니다.
만약 본인이 모든 논문실험, 아이디어 및 진행을 했고 교수는 단순한 검토 및 자금조달만 했다면 공동1저자 문제가 있겠지만

한국의 대부분의 논문들(학생의 학위과정 중 논문)은 교수의 아이디어가 분명히 많이 반영되어있고
이를 감안하면 공동1저자를 한다고 해서 문제가 있는건 아닙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