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전문연구요원 준비하는 23살 4학년 학부생입니다. 학교는 중경외시에서 수학과 경제학 전공입니다. 관심분야는 포트폴리오 최적화, 리스크관리 쪽에 관심이 있습니다.
박전연을 2학년 때부터 준비했습니다. 그 때 알아볼 때는 학교마다 티오가 있고 높은 학교일 수록 티오에 여유가 있어 박전연 진학이 쉬워진다고 들었습니다. 요즘 대학원 준비를 1년 정도 앞두고 다시 알아보니 2+1제도가 생기며 박전연 메리트가 떨어져 경쟁률이 떨어졌다고 들었습니다.
현재 학교마다 박전연을 하기 위해 어느정도의 스펙이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물론 목표는 카이스트, 포스텍을 잡고 공부 중이지만 안됐을 경우도 생각해 자교에서 제가 원하는 연구 분야를 연구하시는 교수님과 긍정적인 컨택을 해놓은 상태입니다. 텝스는 모의고사를 볼 때 450점 구간을 횡보했는데 학업을 통해 올릴 수 있습니다.
한가지 더 고려하는 방법도 있긴 합니다. 제가 공황장애를 겪고 있는데, 병원 치료는 지속적으로 받고 있지 않습니다. 차라리 병원진료와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고 4급판정을 받은 뒤, 석전연의 여지를 열어둘까도 고민 중입니다. 하지만 제 원래 목표는 박사 졸업이고, 박전연을 무리 없이 할 수 있다면 굳이 진료기록을 남기고 싶지도, 병원을 다니고 싶지도 않아서 지금까지 치료를 받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대학원 입학이 다가오며 추후 박전연을 하지 못하면 어떡하지라는 불안감에 이러한 선택도 고민하게 됩니다.
익명의 힘을 빌려 다른 분들께 도움을 요청드려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3.03.23
뭐 단단히 잘못 알고 계신데 일단 나무위키 정독하고 오세요. 대부분 학교는 학교가 to를 가지고 있는게 아니고 학점+텝스로 편입합니다. 요즘은 거의 미달에 가깝구요. 박전연 준비를 뭘 하셨다는건지 모르겠는데 카이스트 제외하면 입학과 티오는 별개입니다. 4급은 본인이 to를 가지고 있어서 그냥 편입 됩니다. 카이스트는 어떤지 모르겠네요.
대댓글 3개
2023.03.23
제가 잘못 알고 있었네요 감사합니다. 티오부분은 카이스트랑 ist학교들과 착각했습니다.
미달에 가깝다고 하셨는데, 서울권 대학에서 텝스 점수와 한능검 최소 점수만 맞추면 편입 가능할 수준으로 내려왔다는건가요?
일이년 전까지는 텝스 400중반대가 박전연 편입생 평균이라는 글을 읽어서요
2023.03.23
네, 평균과 커트는 다르기도 하고 몇년 전보다도 많이 줄었을겁니다. 자세한건 카페 같은데 좀 더 찾아보세요.
2023.03.23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IF : 5
2023.03.23
일단 치료부터 받으세요. 제대로 관리 안되면 정상적인 대학원 생활 많이 힘듭니다
대댓글 1개
2023.03.23
답변 감사합니다. 말씀 참고하겠습니다
후회하는 알베르 카뮈*
2023.03.23
위 댓처럼 최근에는 수도권도 T.O가 미달에 가까워 박전연 자체가 어렵진 않아짐(단 이번만 그럴수도 있고, 다시 증가할 수 있음) 자 그럼 문제는 박전연이 왜 미달에 가깝게 경쟁률이 떨어졌는지를 봐야겠지?
기본적으로 T.O는 유지된 반면 학생수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맞는 말이지만 전부는 아님 그 이유는 전문연 체제가 2+1로 바뀌었기 때문임
2+1에 대해서는 잘 찾아보길 바라지만, 간단하게 얘기하면 "학위는 반드시 마쳐야 하고, 3년중 2년만 과정중 인정되며 1년은 연구소나 기업 등 타 기관에서 의무적으로 복무해야함"
이는 전문연의 장점이었던, 학위과정중 병역이 해결되는 문제를 바꿔버림. 즉 학위를 5년하던 10년하던 병역이 해결이 안됨. 졸업하면 반드시 유예기간 내에 전문연을 타 기관에서 1년 추가로 해야함
예전에는 마치자마자 해외 포닥을 나가거나 정출연을 가는것을 목표로 한 반면 이건 반드시 국내 포닥이나 연구소를 통해 1년을 더 보내야함. 즉 번거로워진 부분이 있고 언급한대로 졸업 - 타기관 편입까지 기간이 인정을 받지도 않음. 이런 이유로 선호도가 많이 감소됨
이런 부분에서 보면 글쓴이가 적은 문제로, 수학/경제학쪽이면 대학원을 어디로 가냐에 따라 이 문제가 굉장히 크리티컬하게 작용될 수 있음 단순히 박사 한걸로 해결이 안되고 다른곳을 가야하는데 분야가..
대댓글 1개
2023.03.23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박사 졸업 이후 무얼할지 구체적으로 생각해보진 않아서, 추가된 1년이 리스크가 크다는 것은 인지하지 못했네요. 그냥 일년정도 더 연구해야지라는 막연한 생각만 있었습니다.
2023.03.23
대댓글 3개
2023.03.23
2023.03.23
2023.03.23
2023.03.23
대댓글 1개
2023.03.23
2023.03.23
대댓글 1개
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