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 공동 1저자 이름순서

2023.04.07

14

6917

이번에 논문을 쓰게됬는데 공동 1저자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제이름이 두번째인데 이럴경우에는 향후 해외포닥을 가거나 잡지원시 실적평가나 서류평가 등에서 단독 1저자 혹은 공동 1저자 첫번째 이름순서보다 불이익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공동 1저지 표시는 wiley 저널 계열이라 이름에 표시되어있지 않고 마지막 acknowledgement 부분에 a 와 b 는 이 일에 동일하게 기여 하였다라고만 명시되어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3.04.07

큰 불이익 없어요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바보같은 로버트 보일*

2023.04.07

단독 1저자보다는 낮게 평가되겠지만, 그대신 논문을 더 많이 쓰면 되죠.
행복한 르네 데카르트*

2023.04.07

일부 학교임용시에는 정량평가점수가 낮기도 한데 큰 불이익은 없어요. 그냥 두번째에 들어갔다는게 기분이 싱숭생숭한거죠

2023.04.07

서류상 불이익이은 없는데 본인 대표논문으로 쓰기엔 좀 그렇죠
겁먹은 쇼펜하우어*

2023.04.08

단독1저자보단 당연히 부족하지만, 만약 저널이 탑급이면 꽤 상쇄됨
저널 낮으면 어차피 큰 의미 없음
집요한 니콜라 테슬라*

2023.04.08

불이익이라기보단 그냥 단독1저자 또는 앞순위 공1저자보다 낮게 평가되는거죠.

그 순위가 무작위 또는 알파벳순이라는 명시적인 표현이 이ㅛ지 않는한요.

대댓글 1개

바보같은 로버트 보일*

2023.04.08

무작위나 알파벳 순이어도 이름이 맨 앞이거나 뒤에 있는 사람 작품으로 기억되는건 어쩔 수 없는듯.. 오죽하면 성을 a로 시작하도록 바꾸라는 우스개소리도 있죠

2023.04.08

정량은 영향없고
정성에선 질문을 받을 수는 있겠네요; 기여도가 같은데 왜 저자 순서가 뒤에 있는지?
상처받은 로버트 후크*

2023.04.08

당연히 단독 1저자랑 같은 평가는 힘들죠

IF : 1

2023.04.08

위의 니콜라 테슬라님 말대로, 보통 앞순위 공1저자에 비해 낮게 평가될 수 밖에 없고, 기여도에 대한 더 많은 설명과 어필이 필요할겁니다. 만약에 정말로 괜찮았다면 이런 질문도 하지 않으셨겠죠...

2023.04.09

공동 1저자라도 맨앞에 이름이 보통 단독 1저자급의 위상을 가지구요. 그 뒤의 공동 1저자들은 보통 coworker지만 공저자를 주기엔 너무 많은, 크리티컬한 일을 했으면 주는데 맨 앞의 급은 아닙니다. 그치만, 공저자가 아니라 공동 1저자기때문에 좋은 저널에 내셨다면 당연히 좋은 평가를 받으시겠지요 ㅎㅎ

2023.04.09

적어도 외국에선 공동 1저자 간에는 차별없습니다. 그냥 문자 그대로 해석하시면 되요. 우리나라나 그런 거 신경쓰고 의미부여하지요. 그리고, 외국의 경우 나중에 면접 세미나 발표내용과 개별 면접시 그런 걸 역으로 collaboration 능력과 결과물로 어필할 수도 있죠.
물롬, 그래도 단독 1저자와는 다르긴 하지만요..

2023.04.09

동일합니다 차이 없어요 ㅎㅎ 전~~~~혀!

대댓글 1개

집요한 니콜라 테슬라*

2023.04.26

그럴리가요 ㅎㅎㅎ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