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로 조작이라는 결론을 내리는건 위험합니다. 윗분말대로 실험환경도 중요하고, 고의적으로 핵심내용을 하나 숨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도 대가랩에서 나온 내용(A와 B를 특정 조성비로 섞우라는것) 하나 구현안되는데, 친한 박사가 해당대가랩 출신이라 물어보니 조성을 할때 C를 같이 섞고 나중에 C를 날리는 공정이 들어가야지만 된다 하더라고요.. 본인의 바운더리를 지키기위해서 핵심내용을 숨기는 경우는 워낙 많습니다 ㅎㅎ
대댓글 1개
2023.05.18
이게 맞습니다
2023.05.18
저도 이번에 페이퍼 슬램하는 논문 하나 투고하는데요. 논리 순서는 다음과 같아요
1) 선행 연구 결과는 A 이다 2) 하지만 ㅇㅇㅇ 한 이유로 보인다 3) ㅇㅇㅇ은 ㅁㅁㅁ 방법을 통해서 정량화 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4) 나는 ㅁㅁㅁ 방법을 써서 ㅇㅇㅇ요소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제안해보았다. 5) 그 결과 B라는 결과를 얻었다. 6) 이러한 결과는 향후 이런 연구를 설계할땨 ㅇㅇㅇ을 고정하는것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입증한다.
3과 4를 적절히 제시해서 선행연구를 존중해주면서 동시에 논점을 파고들고 그걸 보완해주면 되는데요..... 그게 어려워서 페이퍼 슬램을 잘 안하는거긴 해요
대댓글 1개
2023.05.18
2) 하지반 ㅇㅇㅇ한 이유로 ( 명확하지 않은 결과처럼 )보인다
노래하는 버트런드 러셀*
2023.05.18
보통은 계속 재현이 안되면 메일로 문의를 합니다. 그런데도 해결이 안나는데 관련해서 관심이있는 연구자가 여럿이면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아무래도 사기다 싶으면 저널에 이야기를 합니댜. 좋은 저널이면 이에 대응을 합니다. 중빙이 안되면 논문 철회를 당하거나 하계에서 방출됩니다.
단 아주 좋은 저널이어야한다. 여러사람이 관심을 보여야한다는 가정이 존재하지요. 대부분은 이 두가지에서 벗어나서 넘어갑니다.
2023.05.19
글쓴이가 제대로 실험환경을 갖추지 않았을 확률이 90퍼 이상이라 봅니다. 데이터 조작하면 쌓아온 명성을 한방에 다 날리게 될텐데 대가가 그런 리스크를 감수한다? 글쎄요. 연구 경력이 몇년이나 되셨나요.
2023.05.13
대댓글 2개
2023.05.13
2023.05.13
2023.05.13
대댓글 1개
2023.05.13
2023.05.13
2023.05.13
2023.05.14
대댓글 1개
2023.05.18
2023.05.18
대댓글 1개
2023.05.18
2023.05.18
2023.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