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 하나 읽는데 걸리는 시간

2020.06.11

11

24745

20년도 봄학기 신입생입니다.

대학원 수업 발표나, 랩사람들이랑 저널클럽을 진행했는데

저는 준비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걸립니다.

논문읽는데 거의 하루종일 읽어도 정확하게 이해할 수 가 없어요,,

바이오 계열인데, 실험 데이터 분석 이런거 나오면 그냥 모르겠고

너무 당연해서 논문에서 설명도 안해주는데, 저는 그 당연한것도 모릅니다,,,

남들보다 준비하는데 오래걸리는데, 논문 이해도도 확연히 떨어집니다,, 피규어 하나하나마다 상관관계도 모르겠고,

그냥 논문에 있는 글 읽기도 바쁘고, 약간 이 실험결과를 가지고 왜 이런 결과를 알 수 있다고 하는거지?????!!!!!! 이런 생각만 듭니다,,

이런 저 정상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IF : 5

2020.06.11

넵 정상입니다
Eduard Buchner*

2020.06.11

저 학부생때 sci급 하루에 3편씩 읽었는데요.
Mikhail Glinka*

2020.06.11

당연히 이해가 안가지
영어도 과학저널에 익숙하지 않을꺼고
용어도 모를꺼고
그냥 하나하나 사전 찾아가며 천천히 읽는거지모.
단 읽은 논문을 자신만의 template만들어서 ppt든 word든
넘버링해서 데이터화하면 석사 끝날때쯤
요령 붙어서 라이팅에도 도움됨
희안하지 읽기만해도 라이팅 실력 느는게 ㅎㅎ
왜냐 과학저널 특히 자기 연구분야 논문들은 논문 구조나
쓰는 문법 그리고 단어들이 거기서거기 거든
그래서 많이 읽음 나중에 논문이 머리에 개인이 됨
그래서 나도 모르는 순간 라이팅이 늠
Mikhail Glinka*

2020.06.11

개인 아니고 각인
Eduard Buchner*

2020.06.11

공돌이 끼리 중학생 수준 영어로 의사소통만 하면 됐죠 대부분이 중학생수준 영어임

2020.06.11

ㄹㅇ 난 내가 영어 못하는거 대학원와서 첨알았다

2020.06.11

[지극히 주관적인 논문읽기법]
어디까지나 제가 쓰는 방법입니다.
논문 잘 읽는법 추천하자면...

(1) abstract 읽으면 주제정도는 파악이 될 겁니다. 무얼하려고하는지, 어떤방법을 썼는지 읽어보세요. key word가 전문용어일텐데, key word가 뭔지 모른다면? 논문읽기 시작하지 마시고 key word에 대한 개념을 구글에서 지겹도록 검색해서 지겹도록 관련 자료를 읽으세요.
(마치 미적분이 뭐지? 라는 질문이 남아있으면서 정적분, 부정적분, 리만합에 대한 자료읽으면 이해안되잖아요? 그거랑 같습니다.)

(2) key word 정복하셨으면, 맨처음에 봐야할것은 결론입니다. 결론에서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 고찰해야할점이 무엇인지 먼저 봐야 논문에서 말하고자하는 바를 놓치지 않을수 있습니다.

(3) 그다음에 intro부터 읽긴하는데, 그냥 누가 선행적으로 어떤연구를했는데 그것의 장단점은 무엇이었다 정도만 파악하고 속독으로 끝내세요. 논문쓸때는 intro가 중요하지만 논문 읽을때는 지루하기도하고, 잘 와닫지도 않습니다.

(4) 본론에서는 그래프와 표를 먼저 보세요. 그리고 그것을 이해하기위해서 본론에 있는 글을 참조하세요.(개인적 방법이라 사람마다 의견 다를수 있음)
이렇게 하면 장점이 필요한 내용을 scanning하게 되면서 논문을 1회독하면서 여러번 읽는 효과도 있고, 결과가 좋은지 안좋은건지, 신뢰할만한 결과인지 나름대로 판단해야합니다.

(5) 결과론적으로 논문 다 읽으면, 절대 내용을 보지 말고 혼자만의 언어로 정리하세요.
1회 읽고 -> 1회정리하고, 기억이 안나면 다시 1회 정독하세요. 2회째부터는 intro부터 순서대로 conclusion까지 읽으세요. 그다음에 다시 기억나는 내용 바탕으로 ppt라든지, word로 정리하세요. 완전히 내용을 다 담았을때까지 무한반복합니다.


나중에는 1~5번 방법이 자동으로 체계가 잡힐겁니다.

대댓글 1개

2021.10.26

(5) 참고하겠습니다 ㅎ
ppt word도 좋고 블로그 정리도 좋을 것 같아요

IF : 5

2020.06.11

ㄴ좋은 의견인 것 같습니다. 다만 저는 반대로 인트로가 연구의 목적, 의의를 잘 설명한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특히 그 주제에 대해 익히기 시작한 지 얼마 안됐으면 이쪽에 빠삭해야 다른 논문 맥락 잡고 읽기도 편해진다고 보고요. 나중에 익숙해지면 이분 말씀대로 인트로는 중요한 포인트들만 짚을 수 있어질 겁니다.
그리고 결론부는 생각보다 아주아주 대충 쓰는 사람들이 많더라고요.

2020.06.11

ㄴ 맞습니다. 결론부는 다들 대충쓰죠. 하지만, 논문을 처음 읽는 초보자 레벨에서는 이 논문에서 말하고자하는 방법대로 했더니 결과가 나름 괜찮았다 정도를 이해하고 그 맥을 잡은 상태에서 인트로든 본론이든 읽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글쓴분이 논문읽는데 초보자인거같아서요

2020.06.11

ㄴ 오랜만에 매우 정성이 있고 가치 있는 답글이네요 ㅋㅋ 도움이 되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