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H 박사에 대해

무심한 도스토예프스키*

2023.05.31

12

2537

전에는 성균, 한양 석박통합 박사하는 친구도 있고
둘 다 좋은 학교라서 연구 분야 맞으면 박사해도 괜찮지 않나?생각했음. 근데 김박사넷 보고 나서부터 여기 사람들도 나름 다 연구자인데 하도 서열 나누고 SH 무시하고 SPK나 최소 YK,ist는 가야 학계 남을 수 있다고 하는거 듣다보니 생각이 점점 바뀌네요..
박사는 실적으로 말하는거라고 하는데 SH박사는 정출연이나, 교수, 대기업 연구직 가는데 있어 다른 경쟁자들과 실적이 같은 수준이면 최종 학교 이름 때문에 발목 잡힐 수 있다고 보시나요?
내려치는 것도 아니고 저는 두 학교 대학원으로서도 정말 좋은 학교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현실적으로 정말 연구직으로 남는데 문제가 될 정도인지 궁금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05.31

기업입장에서 단언해서 말함.
1. 필요한 기술이 있냐 없냐? 없으면 CNS, CVPR본지 내도 안 뽑음.
2. 기술이 있다면 실적은 어떤가? 당연히 듣보보다는 유명한 곳에 논문이나 발표실적 있는 사람 선호함
3. 백그라운드 체크. 인성이 천사인지 쓰레긴지 여러 경로로 확인들어감

대학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음.

대댓글 5개

2023.05.31

덧붙이면 박사채용시에 학부와 대학원을 같게 생각하는 바보 인사권자는 없음.
무심한 도스토예프스키작성자*

2023.05.31

필요 기술이 1순위면 일단 연구 분야를 더 우선해서 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023.05.31

제 주변에 대기업 간 사람들 중에,
대학원 학벌 더 좋은 곳으로 가서 잘 풀린 사람이 평균적으로 더 많았어요~

평균적으로 이렇다는 건, 솔직히 다들 부인 못 할 거라 생각합니더

2023.05.31

체한 님 말씀대로 대학원 좋은 곳에서 실적도 좋기 마련입니다. 한국 연구비의 쏠림 비중 보면 서연고 3개 대학으로 약 20퍼센트가 집중됩니다. 상위 20개대학이 63퍼센트를 차지하니까요.

2023.05.31

하지만 SPK 자대 박사는 분야 안가리고 삼전에서 데려가는거 생각하면 결국 다 케바케 ㅋㅋ

IF : 2

2023.05.31

한 가지로만 극단적으로 생각하는 걸 조심하시는 게 좋아요~

학벌이 제일 중요하다~
분야가 제일 중요하다~
논문이 제일 중요하다~

뽑는 기업마다, 나중에 포닥가는 기관마다 다 다릅니다.
세상에 일관적인 tool이 적용되지 않아요.

제 주변에선 솔직히 연구 분야도 기업에서 좋아하지 않는 연구 분야하는 데, 대학원 올려간 사람들이 삼성에는 취직을 더 잘 했어요~

중견기업을 취직할 때는 대학원 학벌이 덜 중요했고요.

그런데 이것도 항상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은 아닐 겁니다.

그러니 좋은 학벌의 대학원의~ 좋은 연구 분야를 하는 랩을 가실 수 있는 상황이면 왠만하면 올려서 진학하시길 추천합니다.

못 가는 상황이라면 모르겠지만, 안정적인 선택을 하는 게 낫지~ 굳이 모험을 할 필요가 있나 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5.31

동감함~
가능한 좋은 대학원 가는 게, 확률적으로 보다 안전한 선택인 건 확실함.

그리고 좋은 대학원에 좋은 랩들도 확률적으로 더 많음.

확률적으로 생각하셈. 본인이 가려는 sh대학원 출신들 취직 진로를 보고 고민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로 고민해보고, 더 높은 대학원의 메리트를 포기할 정도의 장점이 sh대학원 랩실에 있으면 남는 거고~

그냥 편해서 그런거라면, 그런 생각은 바꾸는 게 현명함

2023.05.31

학벌 실적 지도교수 등 여러가지 요인이 있는데 석사는 다르지만 박사는 연구분야가 일단 가장 중요하고 대부분 실적 순으로 감.
교수임용은 결국 포닥 때 어떻게 하냐라 애초에 박사 실적 좋으면 좋은 곳으로 포닥을 가겠죠

2023.05.31

박사 삼전은 실적이고 분야고 뭐고 학벌이 제일이긴 합니다 ㅋㅋ;
못된 박경리*

2023.06.02

우리애가 그급 다니는데. 난 slp 출신. 생각의 수준차이가 좀 나던데여. 에효.

대댓글 1개

무심한 도스토예프스키작성자*

2023.06.02

그렇군요. spk는 아는데 slp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