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 하지 말라는 얘기 볼때마다 헛웃음 나옴

2023.07.06

50

30100

보통 갓 졸업한 프닥이나 졸업직전 박사과정들이 그런얘기하던데

자기 분야밖에 모르니까 그런 이야기 하는거지 좀더 시간이 흘러서 다른 분야 상황이 어떤지 알면 ai 하지 말란 얘기 못할거다. ai가 예전만큼 좋진 않아도 여전히 cs 중에선 제일 상황이 좋은게 사실이다.

임베디드나 시스템쪽 전공해서 해외취업하는사람 거의 본적이 없는데 컴퓨터비전이나 nlp 전공해서 해외취업 나가는 사람들은 심지어 레이오프 시즌인 지금도 꾸준히 있다. 국내취업도 마찬가지고.

임용시장도 여전히 인공지능이 초강세인 상황이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인공지능쪽으로 티오 한개 이상 나오고 있다. 물론 두세개씩 나오는 몇년 전보단 안좋은건 맞는데 다른 eecs 분야랑 좀 비교해봐라. 몇년째 티오 하나도 없는 분야가 수두룩하다.

뭐 프닥이면 자기분야만 보이는건 어쩔 수 없고 니들 선배들 잘나가던거 보고 박탈감 느끼는거 이해가 안되는건 아닌데 좀 넓게좀 보려고 해보고. 잘 모르는 애들한테 이상한 소리좀 하지 마라.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0개

2023.07.06

임용시장 얘기가 믿기지 않으면 올해 나온 연대 공고를 보고와라. 얼마나 인공지능 티오가 아직도 많고 다른 분야 티오는 적은지 알 수 있을거다.
https://faculty.yonsei.ac.kr/opening.php?mid=m02&lang=ko&uid=110&act=view

대댓글 2개

조용한 쿠르트 괴델*

2023.07.06

다들 몇 년 후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데 혼자 현재 티오를 들이밀고 계시네요 ^^ AI는 초강세라고 지금은 누군들 얘기 못 하겠습니까 ㅋㅋㅋㅋㅋ 하

2023.10.09

ㅋㅋ 그 소리 5년전에도 했음 ai거품이라고.
평생 거품이라고 이야기하고 다니세요. 그냥

2023.07.06

이제 곧 ai 쪽 인원들 시장에 터져 나올 건데 이거부터 생각해야지, 님도 편협된 사고로 좁게 보고 있는거임

대댓글 3개

2023.07.06

ai대학원 생긴게 언젠데 거기 사람들이 아직도 시장에 없다고?
채용해보면 ai대학원 출신들 이미 많이 지원하고 있음.

2023.07.06

그게 다가 아니니깐요, 그 후로 대학에서 온갖 학부들 AI로 택갈이한게 배로 더 많음

2023.07.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쪽 온갖 대학 택갈이들은 경쟁 상대도 아닌데요 ㅋㅋㅋ
이미 탑대학들은 Ai 인원 증원된 인원들 첫졸업생 나왔습니다

2023.07.06

최근에 학위 받았거나 곧 받을사람들한텐 아직 블루오션이지 ㅋㅋ 타 분야에 비해 AI 학위자 수나 임용 공고 수를 타 분야랑 비교하면!
다만 지금부터 들어오는 친구들은 좀 빡셀수도 있긴함

2023.07.06

ㅇㅇ 사람 많은 건 맞지만 적어도 다른 분야랑 비교하면 블루오션 축에 끼긴 함 ㅋㅌㅋㅋ 활용도랑 배리에이션이 얼마나 넓은데..
사려깊은 피보나치*

2023.07.06

지금 얘기하는 게 아니라 5년 정도 미래를 봐야죠.

대댓글 1개

2023.10.09

그 소리 5년전에도 똑같이 하는 사람들 있었죠…
건강한 플라톤*

2023.07.06

그냥 좋은 툴임. 장비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님.
할 줄 알면 좋은거지, 못한다고 해서 망하는 것도 아니며, 할 줄 안다고 하더라도 비슷한 경쟁자랑 상대를 해야하는데
제일 잘하는게 아니면 그냥 인공지능업체들이 오픈에 속수무책으로 밀리듯이 1등미만 잡이 쉽게 되어버리는 분야.
지금 당장은 몰라도 몇 년 뒤엔 해당 분야 졸업생이 쏟아질텐데, 지금 들어가는건 말리고 싶긴합니다.

대댓글 3개

2023.07.06

첫 문장부터 끝까지 연구자가 가져서도 해서도 안되는 말들이네요. 현 시점에서 이러한 성급한 일반화를 하려면 힌튼 교수님과 같은 분이어야 생각이나 해볼 것 같습니다.

2023.07.07

혹시 무슨 연구하십니까?

2025.02.09

컴공 학부생들은 이 댓글 공감할거임

2023.07.06

좋은 툴 취급하는게 제일 어이없음 ai로 뭉뚱그려서 그렇지 그 안에 분야가 얼마나 많은데

대댓글 1개

2023.07.06

본인들이 안해봐서 그래요 ㅎ..

2023.07.06

난 여기서 얼마전에 chatgpt나오고 이제 nlp연구자들 할거 거 있긴하냐는 글도 봤음.. 안해보면 보이는게 다인거지 뭐
씩씩한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3.07.06

ai가 툴이 아니기는 ㅎㅎ 사실 현재 ai 연구 한다는 대부분은, 엄청난 연구들을 하는게 아니라 대부분 ai를 툴처럼 이용하고 있음. 새로운 좋은 모델을 개발해내는게 아니라, 이미 개발된 좋은 모델 가져다가 애플리케이션에 맞게 살짝 살짝 변형해서 공장처럼 논문 찍어냄. 그러니 3개월에 논문 한편이 나온다느니 이런 말들이 나오는거.. 그래서 대부분 탑티어학회라도 포스터만 잔뜩 가지고 있는거고

대댓글 5개

2023.07.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렇게 치면 컴퓨터도 툴임.
춤추는 카를 가우스

IF : 1

2023.07.07

맞는 말이기는 한데.. 그 살짝 변형해서 찍어내는 것을 수천 수만명이 동시대에 함. 심지어 제출하기도 전에 조금만 결과 잘 나왔다 싶은건 지들이 바로 Arxiv에 올려버리고. 엄청난 연구가 아닌 건 맞는데 그렇다고 뭐 별거 아니라고 폄하할 것도 아님. 모르는 쪽에서 보면 '뭐야 이게' 할 수도 있는데, 대부분 탑 학회에 수락된 건 리뷰 가챠 터진게 아닌 이상 그 접근 방법론에서 상당히 Optimized된 아키텍처임.

같은 맥락으로 98%의 인원은 '아이디어 생각 -> 찾아보니 이미 있음 -> 그럼 거기서 시작해서 될 것 같은거 조금 발전시켜서 구현/실험 -> 결과를 보니 이미 이번 년도 학회에 성능 훨씬 더 좋은게 나옴 -> 당연히 리뷰에서 지적받고 리젝' 이 지옥의 사이클만 학위기간 내내 빙빙 돌다가 outdated된 데이터들 저널에 던지고 졸업함. 물론 그렇게 나온 저널은 타 분야와 다르게 사실상 의미조차 없음. 같은 분야 경쟁자들은 탑 학회 가지고 같이 경쟁하고, 학회가 주 전장이란 걸 커미티마저도 다 알기 때문에.
씩씩한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3.07.07

정확히는 다 그런게 아니라 novel한 토픽을 연구안하는 (못하는?) 사람들 얘기지.. 그래서 해외에서 하는 주제 대부분 따라하는 국내가 그런 현상이 심한거고... 결국은 내가 아니어도 누군가가 했을 연구들임. 더 노블한 주제를 고민하는게 아니라 어떻게 하면 파라미터/애플리케이션 살짝 바꿔 빨리 논문낼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연구가 뭔 대단한 연구들인가 싶음

2023.07.07

관련분야가 아니라서 여쭤봅니다. 국내에서 탑급 학교에 계신 분들은 새로운 아이디어 생각부터 구현까지 하시는 나머지 2%에 해당되는 분들이신가요? 아니면 적당히 파라미터 튜닝해서 찍어내는 프로젝트들도 적당히 섞으시나요 (실적관리 등)?

2025.03.31

아니 가우스님 그딴게 무슨 연구에요 ㅋㅋㅋ 그러니까 ai분야가 연구취급 못받는거임

2023.07.07

하지마라 해라 말하는 거 부터가 이상한거 아닌가요? 그 분야 대가가 하는 말이면 듣긴 할 듯.

2023.07.07

ㄴㄴ AI하지마 진짜 피봄 ㅋ
난 박사받고 AI 쪽으로 대기업왔는데..

되는게 없어 ㅋㅋㅋㅋ
다 허황된 꿈임 ㅋㅋ

2023.07.07

툴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툴로 사용하고 있어서 그런듯...근데 그 툴 개발을 누가 하는지 생각이 못 미치는 건가...

대댓글 1개

2024.03.01

미국이 해서 팔고있자너 ㅋㅋㅋ

2023.07.07

현 시점으로 산업계든 학계든 AI 인력 충원이 절실한 것도 맞고, 그 이상으로 많은 학생들이 AI에만 매달리고 있는 것도 맞죠. 현 시점에서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니 진로가 수월하게 풀리는 것이지, AI인력이 이제 쏟아져 나오기 시작하기때문에 앞으로도 이와 같으리라 보장하기는 어렵겠죠. 그런 관점에서 현 시점의 청사진만 보고 AI에 몰두하지 말라는 이야기지, AI 하면 안된다는 소리는 아니었을거라 봅니다.

2023.07.07

5년후 얘기하는 사람들 웃긴 사람들이네 그럼 자기가 지금 대학원 진로 정할 상황이면 뭐 선택할건가요? 5년후 미래에 뭐가 강세이고 약세일지 고려하고 대학원오셨나요?
5년후 연구거리가 떨어질지는 몰라도 여전히 AI는 여러분야에서 사용될 것이고 부트캠프보다 대학원출신들이 현업에서 돌만한 자리는 많을것입니다. 본인이 하고 싶은 것을 하게될지는 모르겠지만
그리고 제가 다른 전공은 잘 몰라서 그런데
AI는 선행연구자의 결과물을 활용하는 툴이라고 하시는분들,
다른 전공은 순수 자기의 발명품으로 나아가나보죠? AI는 오픈 소스가 공개되고 활발히 공유되는 분야인만큼의 장점도 있다고 봅니다. 본인의 기여도가 허무하게 느껴질수는 있겠지만 고여있는것보다는 낫다고 봅니다

대댓글 1개

2023.07.08

애초에 취업 목적으로 대학원 가는것도 취지에 안맞지만, 취업 생각을 하는거라면 오히려 5년후를 생각해야죠 ㅋㅋ

2023.07.07

저는 석사도 박사도 아니지만 취업이 학문을 막을 이유가 된다는게 참 슬프네요 ㅠ
현실에 맞지 않는 꿈같은 생각이겠지만요

2023.07.07

현직 면접관입니다.
중소기업인데 하루 열어놓으면 1자리 뽑는데 100명가량 지원합니다.
글쓴이가 잘 모르는거 같은데, 지금도 상당히 레드오션입니다
ai가 정말 하고 싶으면 모르겠지만, 잘 나가니까 나도 배워봐야지의 마인드를 갖으면 4,5년뒤에는 취업하기 진짜 쉽지 않을겁니다

대댓글 7개

2023.07.07

저도 현직면접관입니다만, 사람이 없어서 수시채용으로 돌리는 상황입니다만

2023.07.07

뽑을 사람이 없다는 건가요? 아니면 지원자 자체가 없으신 건가요?
저희의 경우는 뽑을 사람이 없는건데, 말씀 하시는 문맥을 보면 지원자 자체가 없으신거 같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회사 평점을 올리거나 홍보전략을 다시 검토해보시는게 필요할거 같습니다.
저희도 회사 평점 4점일때는 지원이 많이 왔는데 3점 중반되니 지원이 거의 절반으로 떨어지더군요

2023.07.07

혹은 연봉 정보가 낮게 기재되도 그럴 수 있습니다.

2023.07.07

그 중에 AI 대학원생은 몇이죠? 얼마 안될거라 생각합니다만 저도 면접자 검토를 하고 있기에 압니다. 대부분 비전문가잖아요

2023.07.07

AI 대학원생은 30%쯤 될겁니다.
하지만, 제 기준에서는 이 정도면 레드오션인거 같네요.

2023.07.07

좋은 회사인가보네요 30퍼면 꽤 많은편이고 저희는 20%이내였고 그중에서도 인공지능 대학원 석박사가 아니라 타 전공에 인공지능응용 연구를 곁들인것으로 지원한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저는 인공지능 전문가는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레드오션일지라도 ai 대학원은 우대받을것이기 때문에 대학원진학 미진학에 있어서는 진학을 추천합니다.
인공지능이 국가 경쟁력으로 얘기되고있는 마당에 5년후에 국가가 외면할거라 보지도 않습니다.
다만 인공지능 연구원 몸값은 거품이 있다고는 생각해서 앞으로 내려갈 여지는 있다고 봅니다만 석박사출신은 살아남습니다

2023.10.09

깐깐한 피보나치
뽑을 사람이 없으면 사람없는거죠;;

2023.07.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는 미국에서 석사하고 이번에 swe 취업했는데
박사급은 저도 잘 모르고 요즘 석사급 인력은 확실히 수요가 없는거 같습니다.. 미국 석사 오신 분들 줄레 한국기업에서 ML쪽 엔지니어 경력 있고 논문 스펙 있는 분들도 많이 취업 못 했습니다. 차라리 일반적인 스택갖고 있는 분들이 취업 잘 되긴 했어요.

대댓글 1개

2023.07.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줄레 ㅡ 중에

2023.07.08

.

2023.07.12

여러분 여기서 열폭해서 싸우지말고 중세국어 박사갑시다. 민속학도 괜찮아요. 경쟁이 크지 않아 탑먹을수있음!

대댓글 1개

2025.02.05

ㅋㅋㅋㅋㅋ

2023.07.15

저는 화공 전공하고 석유화학 관련 계통 종사하는 사람입니다. 요즘 이쪽 분야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해중합) 쪽이 강세라 공장을 새로 짓다보니 공정 설계, 공장 셋업 관련 경력자를 많이 구하고 있습니다. 대기업 연구소들도 lab, pilot, demo plant로 제품 물성, 수율 올리는 연구하구요.

각설하고 궁금한게 AI 분야는 채용된 후에 어떤 일들을 하나요? 발표된 논문에서 모델들 갖다가 분류 정확도 올리는 이런 작업들을 하나요, 아니면 박사급은 새로운 모델을 만들고 코드를 짜고 그런 일을 하나요? 궁금하네요.

대댓글 3개

2024.03.01

제조업으로 성장한 나라에서 전통적인 업종에서 필수적인 엔지니어들을 안뽑고 AI개발자나 데이터 사이언스를 뽑는다? 있을 수 없는 일이고, TO가 많지도 않음.

2024.03.01

남들은 바보라서 공학 의학지식 n년씩 걸려서 습득하나? ㅋㅋㅋ AI개발자들이 도메인 도메인 놀리지 이러면서 퉁치는데 솔직히 재수없음

2025.02.10

학부 컴공인 애들중에서 제대로 도메인 쌓은애들 단 한 명도 못 봄. 빠르게 AI 찍먹해서 취업된애들이 운이 좋은거임

2025.01.01

어차피 근시일 내로 특이점 도달해서 전부 멸망할예정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