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성이론/재료모델링/제조해석 쪽으로 관심이 있는데, 기계공학과가 아닌 재료공학과에 교수님이 있으시더군요.
그래서 재료공학부에 지원을 염두에 두고 있는데, 기계공학과 학생으로서 재료공학과에 지원하여 적응이 어려운가요?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입시에 필요한 두 과목은 개인적으로 강의를 찾아 공부할 계획입니다. 교수님께 컨택해서 받아주신다면 면접에서 조금 부족하더라도 괜찮을까요?
정리하자면, 1. 기계공학과 학생으로서 재료공학과 대학원에 진학하여 재료공학과 과목을 수강한다면 따라가는 것에 문제가 없을지? 2. 컨택만 잘하면 문제가 없을지? 3. 혹시나 주변에 사례가 있다면 잘 적응하시는지요??
컨택하고 지원해보는게 정답이겠지만 컨택까지 시간이 조금 남은 우매한 학부생의 고민을 들어주시옵소서...
추가적으로 현재 상황? 서울 하위권대학 학점 4.3x 영어 텝스 340 신뢰성시험 학부인턴 2개월 배터리 내구성/구조해석 회사실습 2개월 금형 내구성 해석 및 Film절단 성형 해석 졸업작품 겸 교수님 프로젝트참여 6개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3.07.06
1번은 제가 답해드릴 수 있는데, 저런 해석파트는 오히려 수학/역학을 평균덕으로 더 수강하는 기계공학출신이 유리할 수 있어요.
대댓글 1개
능글맞은 백석작성자*
2023.07.06
그렇군요.. 기계공학출신으로써 유리한 측면이 있네요. 말씀 감사함다~
2023.07.06
저도 많은 고민을 하다가 결국 기계공학과로 지원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4년간 학부 지식의 격차를 뛰어넘기가 쉽지가 않았던 것들이구요. 어느정도는 따라가겠는데 기본적인 합성이나 응용면에서는 확실히 버겨웠습니다. 재료로 진학해도 퍼포먼스를 못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구요.
다만 기계쪽에서도 재료에 깊게 연구하시는 교수님 밑에서 현재 학위를 진행하고 있고, 부족한 지식들은 코스웍때 최대한 재료쪽을 들으며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부족한 부분들을 많이 물어보기도 했구요. 다만
대댓글 2개
능글맞은 백석작성자*
2023.07.06
실제 고민해보신 분이 해주신 말이라 믿음이 가지만, 연구분야가 너무 마음에 들어서 고민이 되네요.. 저의 고민도 제가 재료공학부에 가서 응용보다 재료 자체에 더 중점을 두고 연구를 하게되지는 않을까 걱정입니다. 말씀 감사하고, 면담과 고민을 통하여 선탹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7.06
저는 학부때 재료쪽에서 인턴을 경험한 적이 있어서 재료쪽 관점도 많이 배워서 지금은 도움이 많이 되긴합니다. 정규 석박사까지는 아니더라도 재료쪽을 꾸준히 하실 예정이면, 한번 학부연구생이나 인턴이라도 해서 실험 핸들링은 한번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큰 무기가 되더라구요.
2023.07.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재료가 기계과 하위 중에 하나기도 해서 자기 하고싶은게 재료면 전혀 상관 업슴
2023.07.06
지원하고자 하시는 랩이 ㅇㅁㄱ 교수님 랩이군요.
연구하는 쪽으로는 재료쪽이 필요는 하지만 학부가 기계과인게 오히려 유리합니다.
입시에 관해서는 교수님께 컨택해서 물어보시는게 나을 것 같네요. 서울대는 교수 재량이 잘 반영된다고 들어서요.
대댓글 1개
능글맞은 백석작성자*
2023.07.07
감사합니다 참고해서 컨택 후 결정하겠습니다.
2023.07.07
기계 재료 둘 다 잘하시면 정말 좋습니다. 소성이론, 재료거동 모델링을 잘 하시려면 결국 미세조직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되요.
2023.07.07
재료과 공부는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재료과학쪽 배경지식이야 대학원수업에서도 배우실수 있구요 오히려 소성거동쪽이면 기계 백그라운드가 더 적합할것같네요
2023.07.06
대댓글 1개
2023.07.06
2023.07.06
대댓글 2개
2023.07.06
2023.07.06
2023.07.06
2023.07.06
대댓글 1개
2023.07.07
2023.07.07
2023.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