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2차원물질 취업

2023.09.02

9

1693

2차원 소재의 상용화가 어렵다는 것을 잘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cvd로 소재를 합성하는 성능을 분석하는 만큼, 공정과 성능 분석 경험을 살리면 취업에 유리할까요?

현재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 희망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3.09.02

네 유리합니다 주변에 삼전 3명 케이스 있네요

대댓글 1개

2023.09.02

삼성전자 반연가신분들이요??? 엄청 많은거 아닌가요?

2023.09.02

Tmd연구중인데, Tmd는 차세대반도체 물질로 사용예정입니다.
당장 5년안에 실제로 제품에 들어갑니다.

2023.09.03

삼전 반연 학부졸업때 지원햇더니 붙어봄.. 요즘도 학부생 뽑나 모르겟는데 지원은 해보세요
Cvd는 그냥저냥 하는랩에서는 곤란하고 잘하는곳으로 가야됩니다. 바텀업 핵심이 하이 퀄리티인데 걍 다른논문에서 내준 조건으로 대충넣고 버튼누르니 만들어지더라 이런식 양산형 논문은 별로 가치가 없다보고요... 깊이가 좀 있어야 좋을거 같네요. TFT만들어 찍어볼테니 전자회사에 필요한건 더 건드려보실거고.. 스킬셋, 빨리 배우는 능력이 중요한지 취직하고 나가서 본인한테 떨어지는 업무는 박사주제하고 동떨어진 경우가 많은거 같네요. Tmd뿐만아니라 온갖 재료패밀리가 많은데 삼성정도 규모면 인력 투입해서 진행시켜보고 특허도넣고 할듯하네요

대댓글 2개

2023.09.03

와..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합니다ㅎㅎ
만약 2차원 물질에서 TMD와 hBN 중 선택해서 연구를 할 수 있다면 어떤 소재가 더 좋을까요..?

2023.09.03

논문 내기는 tmd쪽이 아무래도 재료패밀리 폭이 크기에 더 낫다고 볼수 있겠습니다. 요즘 트렌드는 잘 모르겟지만 cvd합성 자체도 재밋는 발전이 많았고, 반도체특성 도체특성 구조전환과 레이어넘버에 따라서 달라지는 성질, 라만 PL 등 특성평가도 할게 많구요. hBN은 전기절연체 열전도체 두가지외에 더 있나 모르겟습니다. All 2d 디바이스 컨셉도 한참전에 했었고.. 솔루션 프로세스라면 yield와 퀄리티가 떨어지기에 지금 박사를 한다면 tmd가 좀더 나은 선택이 될수있겠네요
멍때리는 막스 플랑크*

2023.09.04

물론 연구 단계에 있는 대부분의 신소재들은 상용화까지 challenging 합니다. 무려 20년전부터 연구되어온 그래핀조차 상용화까지 어려운 부분들이 있지요. 그럼에도 세계적으로 연구가 지속되는 이유는 그만한 이유가 있겠습니다. device 의 소형화를 위해 2d 물질는 inevitable 이죠.

2D TMD 합성은 십년 전부터 활발히 진행되었고, 현재는 성숙도가 상당히 올라왔습니다. 웬만한 조성군의 특성도 밝혀졌구요. 그래서 요즘은 학계기준으로도 기본적으로 대면적, 하이퀄리티는 깔고 가야겠습니다. 실제로도 삼성종기원 에서는 5년전부터 이비 웨이퍼스케일 합성을 성공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따라서 합성만 가지고는 메리트가 없습니다. 합성하고, 소자를 제작하고 특성을 관찰해야죠.

문제는 2d 가 가진 특성에서 나옵니다. 너무 얇고, 불안정하고, 반데발스갭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소자 제작시 기대했던 성능이 잘 안나오게 됩니다.

각각의 주제 자체가 꽤나 challenging 한 것들이고, 각 주제만으로 연구하기도 상당한 지식과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저 세가지를 다 잡으면 노벨상을 받을지도?)

h-BN 은 high k 물질로서 터널링을 완화하거나, 전사를 수월하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존의 산화물 계열보다 우수한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각광받았습죠. 그런데 h-BN 은 아직 웨이퍼 스케일 합성이 어렵습니다.

어렵다는거는 연구할 가치가 있다는 겁니다.

주저리부저리 말이 많았는데 결국 2D TMD 건 hBN 이건 어려운 부분은 많고 이를 해결하면 삼성이든 인텔이든 tsmc든 모셔갈겁니자

대댓글 2개

2023.09.04

와.. 답변 감사합니다ㅎㅎ
만약 2차원 물질에서 TMD와 hBN 중 선택해서 연구를 할 수 있다면 어떤 소재가 더 좋을지 추천해 주실 수 있나요?

2023.09.04

그리고 저희 랩실에서는 소자 제작 까지는 하지 않고 소재합성과 물성분석이 메인인데 이러한 경험만으로도 반연에 어필 가능할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