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노벨상 나온 그래핀 (및 유사품)이니 뭐 한물 갔다고 봐야. 실제 응용되는 분야도 거의 없고.
대댓글 2개
2023.08.17
이 분야로 취업을 한다면 어떨까요? 2d 합성이라 cvd 공정을 통해 합성할 것 같은데, 석박사로 밀고가는 것보다 단순히 석사로 취업 목적이라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2023.08.18
그래핀 유사품이라 하는 분은TMDC랑 그래핀이 얼마나 다른지는 알고하는 소리지? 애초에 하나는 conductor TMD는 semicon인데 ㅋㅋ
2023.08.17
산업에 다이렉트로 응용되는건 쉽지 않구요. 실험장비 공정스플릿 경험이나 소자평가 등의 역량을 어필하시면 유리해 보입니다. 합성부터 소자제작까지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삼하 공설/공기 평분 외국계장비사 공정엔지니어 유리해보입니다. 소자 시뮬레이션도 하시면 CAE DIT 계열 설계쪽 직무도 지원하시면 되구요. 전력반도체 쪽으로도 공부하시면 지원 가능할 겁니다
2023.08.17
2,3년에 Advanced Materials 또는 Nature Communications 급 이상으로 논문 쓰는 곳이라면 연구하기 좋은 랩인 것 같습니다. 취업하기에도 나쁘지 않은 분야입니다. 그 정도 규모 랩에서 괜찮은 논문 한 두편 가지고 삼성전자로 취업하는 것 많이 보았습니다. 다만 요즘 2D물질을 하는 곳이 많아서, 어중간하게 이런 저런 연구 걸치면서 논문 내는 곳은 자칫 위험할 수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8.17
참고로 박사 기준입니다.
2023.08.17
분야는 크게만 맞으면 되서 삼전 하닉 취업은 상관없는데 포닥 및 박사들 am급 2-3년 걸쳐서 한두개나오고 석사들 if 7-10점 근처로 한두개 쓸수 있는 렙이면 기술력있고 배울거 많은 ㄱㅊ은 렙임. 중요한건 저 연구분야로 실제로 ㄱㅊ은 실적이 나오는 렙인지를 봐야함
대댓글 1개
2023.08.17
답변 감사합니다!ㅎㅎ 혹시 실적이 괜찮은지를 어떻게 볼 수 있는건가요..?
2023.08.17
연구분야 자체는 그냥 삼전하닉 많이 가는 분야임. 문제는 실적이고 실적 찾아 보는게 힘들면 졸업생들 어디갔는지 보면 됨 연구분야가 좋고 나쁘다는 의미가 없는게 저 분야로 snc 자매지 내는 분들도 있고 새로운거 찾는다고 몇년간 제대로 된 실적없이 깡통 차는 분들도 많아서
2023.08.17
취업 잘되는건 맞는데, 단순 합성이나 소자 제작만으로는 안될겁니다. 디바이스에 대한 기본지식 공부 많이 하시고, 연구에서도 소자의 특성 향상과 관련한 이해도가 높은걸 어필하셔야해요. 2D가 산업에 들어가기엔 아직 넘어야할 산이 많아서 석졸 엔지니어로 가려고 하시면 2D자체만으로는 매력이 없습니다. 2D계속 하고싶으시면 박사후 RnD취업 생각하셔야해요.
2023.08.17
저도 tmdc연구하면서 1년전만 해도 회의적이었는데 tmdc 연구 발전속도가 굉장히 빠릅니다. 반대로 말하면 그냥저냥 연구 하는 랩에서는 좋은 논문 쓰기 어려움. 한국에서 2D 글로벌 트렌드 따라가고 있는 랩은 2~3군데밖에 없음.
대댓글 3개
2023.08.17
그 랩 어딘지 힌트주실수있나요..?
2023.08.17
혹시 유니스트에 그 분이 계신가요?
2023.08.22
님아 그강을 건너지 마소...
IF : 1
2023.08.18
해당분야 전문가 입니다. 삼전,하이닉스, 엘지등 취업은 매우 잘됩니다. 그러나 연구 자체가 매우어렵습니다. 반도체공학 책 봐도 실리콘이나 일반 3차원물질 반도체 설명만 있고 2차원물질 교과서가 없어요. 논문 보면서 공부해야합니다. 윗 댓글처럼 어정쩡하게 연구하면 좋은논문 쓰기 어렵습니다. 한물 갓다고 하는 댓글뜻이, 쉽게 연구해서 쉽게 논문쓰는 시절 갔다는겁니다. 본인이 2D물질 연구가 얼마나 활발하게 되고있는지, 네이쳐 사이언스 홈페이지 들어가서 최근 논문들 제목만 보셔도 알꺼에요. 할건 많고 임펙트도 높지만, 그만큼 실험초기장벽이 높아졌습니다.
대댓글 2개
2023.08.18
혹시 취업이 잘된다고 하신건 박사분들에게만 해당되는건가요?
IF : 1
2023.08.18
석사는 분야 뭘하든...뭐 반도체만 좀 섞여도 잘 취업합니다. 학부가 중요하죠. 박사는 연구주제가 중요한데, 2D물질은 소자연구 많이들 하고, 첨단 공정장비들로 소자를 만들어야해서 취업이 잘되더라구요.
2023.08.18
https://news.unist.ac.kr/kor/20230411-3/
2023.08.19
반도체 업계는 넓고, 말씀하신 분야는 그 중에 차세대 재료라고 볼 수 있겠네요. 반도체 회사에 원서는 넣으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종합기술원이나, 삼성반도체연구소에도 일부지만 2D 하고 계신 분들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업계에서 어떤지는 사실 평가하기 어렵지만, 주요 핵심 분야는 아니라고 조심스레 적어봅니다. 그런데 작성자 분께서는 저 연구실에서 박사까지 학위를 하고 취업을 생각하시는 건가요? 아니면 석사만 하고 취업하실 생각인가요? 거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8.19
저는 석사만 하고 취업을 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사실 2차원 소재로 석사를 하면 어느 분야로 진출할 수 있을지 감이 잘 안옵니다..ㅎㅎ
2023.08.17
대댓글 1개
2023.08.17
2023.08.17
2023.08.17
대댓글 2개
2023.08.17
2023.08.18
2023.08.17
2023.08.17
대댓글 1개
2023.08.17
2023.08.17
대댓글 1개
2023.08.17
2023.08.17
2023.08.17
2023.08.17
대댓글 3개
2023.08.17
2023.08.17
2023.08.22
2023.08.18
대댓글 2개
2023.08.18
2023.08.18
2023.08.18
2023.08.19
대댓글 1개
2023.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