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서울대 재료공님들아

2022.12.01

26

7793

2D 물질 너무 재밌는데 그 쪽 전망이나 교수님 어떻게 보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IF : 5

2022.12.01

졸업생인데 딴거하는거 추천. 교수는 갑자기 확 바뀌어서 모르겠고 아직도 학계에서 2D가 먹히는게 좀 신기함

대댓글 10개

2022.12.01

.....그 정도에요?

IF : 5

2022.12.01

2D물질 나온지가 언젠데 지금 산업계에 어디 쓰이나 보십쇼. 그래핀 넣어서 좋다고 광파는 양말 이불 이런거 말고요. 제가 있던 랩도 2D물질을 건드렸지만...여기까지

2022.12.01

근데 요즘 교수들 임용되는 거 보면 2D 나쁘지 않은 거 같은데 제 편향적 사고인가요 ㅋㅋㅋ..

IF : 5

2022.12.01

개인적으로는 2D는 이미 연구를 위한 연구가 된 지 아주 오래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분야는 안그러냐 하면 할말은 없지만요.
2D 전공한 주변 사람들 학계로 가면 계속 투디 만지긴 하는데 회사가면 그냥 공정해요. 뭐 그래도 난 그거 연구하겠다 회사가더라도 대학원때 하고싶은거 즐겜하겠다 하면 그러려니 합니다.
그리고 지금 2D로 교수들 되고있다는건 내 자리까진 안 돌아온다는 것과 같은 말.

2022.12.01

뼈 맞았네요.. 고민 좀 해봐야겠어요. 근데 요즘 인기 있는 메타물질이나 뉴로미픽 같은 것도 비관적으로 보시나요? 물론 미래는 아무도 모르지만요

2022.12.01

*뉴로모픽

IF : 5

2022.12.01

메타물질이랑 뉴로모픽은 떠오르기 전에 제가 졸업하고 나와서 잘 모르겠습니다.

2022.12.01

그렇다고 또 배터리 양극, 분리막이나 반도체에 쓰이는 유전체 이 쪽으로 가기에는 이미 너무 레드오션? 같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네요

2022.12.01

고분자는 적성에 안맞고.. 2D..!! 이거다!! 싶었는데 그게 답이 아니었군요ㅎㅎ

IF : 5

2022.12.01

뭐 정답은 없어요. 각 분야가 다 장단점이 있을텐데 단점을 얼마나 내가 안고 갈 수 있느냐 문제인거죠.
분야도 그렇지만 나중에 무슨 일을 하고싶은지도 고려하시고요. 학계보단 취직쪽이다 하면 그래도 분야를 덜 타서 하고 싶은거 덜 부담갖고 해봐도 돼요.

2022.12.01

원래 재료쪽은 좀..
있던거 수정해서 쓰고, 또 수정해서 쓰고 이런느낌?
나올것들은 어지간하면 다나온 느낌

2022.12.01

2D로 석사 졸업했지만 요즘 감상으로만 말하자면
학계에서는 아직 논문이야 많이 나오지만 윗분말처럼 연구를 위한 연구라는 느낌은 맞습니다. 특히 이걸로 소자를 만든다거나 한다는 쪽에서 그런 느낌이 강합니다.
산업계에서는 2D 자체로는 연구되거나 크게 수요가 있지는 않고 탄소 기반으로 이미 상용화된 다른 재료와 섞어서 만들어내는 복합체라던가 하는 쪽 분야는 그래도 적지 않게 연구되는 듯 합니다.
일단 관련된 분야에서 졸업하면 CVD라던가 용액 공정이라던가 소자를 만든다던가 하는 실험들을 하실텐데 보통은 이런 실험 경험들을 살려서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공정 분야로 많이 나갑니다.

대댓글 2개

2022.12.01

이 분야 석사 졸업생이시라니까 더욱 더 현실감이 느껴지네요.. 소재 자체는 저물어가는 분위기라는 말씀이시죠?

2022.12.01

관련해서 학위를 따고 졸업 이후에도 계속 2D 소재 연구를 하고 싶다면 몇몇 정출연에서 관련 연구를 하기에 이 자리들을 노리셔야 합니다.
교수 목적이시라면 교수 임용은 저도 잘 몰라서 답을 드리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졸업 후 취업 목적이시라면 이건 큰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관련 실험으로 어디든 연구직 취업은 됩니다. 단지 순수하게 2D 하기는 어렵습니다. 몇몇 대기업에서 신소재 관련해서 연구하기는 합니다만 2D만 하지 않고 신소재 관련 연구원들을 뽑아서 산업화 하는 목적입니다. 위에 적으셨는데 배터리 분야에서는 수요가 없지는 않은 느낌입니다. 그래핀 자체는 투명전극으로도 계속 연구될 것 같고요.

걱정되는 부분이 있으시더라도 2D로 학위 따도 사는데 지장은 없습니다.
정말 이 분야에 관심이 크시다면 졸업 후에 뭘 하고 싶은지 고민해보고 결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관심있는 랩에서 이미 졸업하신 분들이 어딜 가셨는지 또는 개인적으로 컨택 가능하다면 졸업자분들에게 메일 같은걸 보내보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
졸린 하인리히 헤르츠*

2022.12.01

일단 그라핀 트렌스퍼만 해봐도 얼마나 현실성이 떨어지는 연구인지 느낄거임....
저도 2D 물질로 논문을 써봤지만 정말로 과학을 발전시킨다기 보단 논문을 위한 연구란 생각만 계속 가지게 되더라고요. 솔직히 재현성도 상당히 떨어지고요.
저도 지금은 2D 물질 연구는 서브로만 하고 메인 연구는 다른거 합니다.
2D물질 연구가 IF 높은 논문 쓰기 상대적으로 더 쉽습니다. 시간 투자대비...

IF : 1

2022.12.01

2D 연구자입니다.
1. Application하려고 많은 시도가 되고있습니다.
아직은 대면적화하는데 어려움이 많아서 아직 실제 산업 적용은 어렵구요.
그만큼 아직 연구할게 많다는거에요, 이미 제품나왔으면 연구할게 많이 줄어드는거죠.
양자점도 개발된지 100년이 넘었지만, 최근들어서 QLED제품적용이 생기기 시작한것처럼,
아직 연구할게 많고, 2D물질만이 가지는 고유의 장점이 뚜렸해서 가능성은 있다고 봅니다.

2. 2D는 층상구조를 가져서 매우 신기한 물리현상이 관찰됩니다.
물리학쪽에서는 상상만했던 전자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게되었고,
다양한 물리이론이 새롭게 생기고있죠.
Nature랑 Science를 2D물질이랑 페로브스카이트가 도배하고있죠.

2D는 아직도 걸음마 단계입니다. 그리고 2D는 단순한 물질이지 이걸 사용해서 뉴로모픽할수도있고, LED를 할수도 있고, 전자회로를 만들수도 있고 적용분야는 다양해요. 본인이 흥미를 느끼셨다면 어느분야인들 유망하지 않는 분야가 있을까요? 재밌다면 도전해보시고 즐기세요~

대댓글 3개

2022.12.02

양자점은 1983년도에 이론, 93년도에 합성 논문이 출판됐습니다. 30년 밖에 안됐어요.
세심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2.12.02

윗분말처럼 양자점이랑 2d랑 십년 차이밖에안남. 논문 나온건 2d가 더 많고.. 이론까지 역사로 치면 2d가 더 길텐데 이건 논외로 치고…
세심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2.12.02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할만한 분야는 분명함. 특히 물리학쪽은 애초에 과학연구니 더 그렇고. 디바이스도 장점은 분명함. 구현이 어려워서 그렇지. 근데 장점이 분명한데 구현이 안되서 분야자체가 죽어가다가 갑자기 누군가 구현시키면 대박나는거임. 인공지능 초창기처럼..

2022.12.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하버드 김필립 가자

대댓글 1개

2024.01.04

김필립 교수님이 님 친구임?
상처받은 우장춘*

2022.12.02

2d 제대로 할거면 물리학과를 가세요

2022.12.02

어플리케이션 하는 방 아니고 순수 2D만 하는 방은 진짜 대가 방 밖에 없는데

대댓글 1개

2023.01.18

어플리케이션은 ㄱㅊ나요?

2023.12.20

떠나자, 2d 이세카이로!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