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카포 뿐만아니라 규모가 큰 랩은 인원이 충분하고 분업 또는 체계가 갖춰져서 논문쓸 시기가 박사과정 중반정도인거지
능력이 없어서 못쓰는게 아니다
너처럼 보고 배우지 못한 아이들이 교수 재끼고 교신저자 하겠다고 설치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4개
Theophrastus*
2020.06.23
놀고있네 ㅋㅋ 나 밑에 글쓴이인데 공산주의 전체주의냐? 대빵이 쓰면 졸개들은 못써? 논리봐라 ㅋㅋㅋㅋㅋ
Theophrastus*
2020.06.23
경북대만하더라도 랩정원 5명되는 랩이 널렸는데 지방대는 랩원이 없어서 기회가 온다? 서카포랩은 죄다 2~30명 있는건 아니던데? 박사과정 중반부터 쓰는게 정상이다? 이게 위대한 서카포 대학원생의 반박이냐? 진짜냐? 실화냐? ㅋㅋㅋㅋㅋㅋㅋㅋ
Georg Cantor*
2020.06.23
멀 놀구있냐
사실인데
여기서 공산주의가 왜나오니
석사까진 랩에서 하는 테마 조금씩
다 경험해보고 테마를 박사 1년차 말에
정하는데 석사때 논문을 어케쓰니
너가 경험한것만 세상의 다가 아니다.
박사 2, 3년차때에만 써도 해외포닥 잘나가고
졸업 선배들 1/3은 교수 정출 잘 간다
그리고 시골학교 댕기니? 대빵이니 졸개니하게
랩인원이 30명 가까이되서 테마별 팀으로 굴러간다
Theophrastus*
2020.06.23
서카포 석사때 논문쓰는케이스는 니말대로 배우지 못한 사람이 되는거냐? 논리가 없어 니글이 니글을 반박한다 학벌에 기대어사는 시험보는 기계정도되나 개같잖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내가 보니 넌 경북대 실정도 잘 모르는것 같다
니가 모르는 얘기를 한다고
이말저말 써서 길기리 날뛰지 말고
친구들 있음 좀 물어바 다는 아니겠지만
많이들 내가 있는 랩처럼 굴러간다.
그리고 그글에 내가 댓글 달았는데
난 석사때 논문 sci 못썼고
졸업논문 정리해서 박사 1기때 썼다
그리고 어떤애가 석사때 jcr 상위 20 논문썼다고
자랑하던데
우리방은 지도교수가 jcr 상위 20프로 저널엔 투고 안해준다
그리고 우리방은 다들 박사 말년차쯤 논문 몰아서 투고하고
포닥 가서 투고해서 그실적으로 자리잡아~
이런것도 모르지?
Georg Cantor*
2020.06.23
니가 써놓은 글 바바 얼마나 초딩스러운지
3, 4저자 저런게 무슨 의미 있니
어짜피 실적은 주저자가 대부분 카운팅 되는데
Theophrastus*
2020.06.23
그러니까 결론은 석사때 단한번도 주도적으로 연구주제를 던져본적이 없다는거네 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의구심이 든다는거다. 선배꺼 물려받아 논문쓰는 너거가 정말 연구자로서 가망한지가 정출연, 교수얘기하는거 보니 연구를 위한 연구가아니라 사회적 성공을 위해 연구하는 애네 그래서 의구심이 든다는거다 너거같이 피동적인 인간이 정말 연구자인지가 난 또 고민스럽다는거
Georg Cantor*
2020.06.23
그리고 미안하다 난 토익 본적이 없다.
너나 열심히 토익 공부해라
Theophrastus*
2020.06.23
논지에서 벗어나지마 토익은 논지가 아니잖아 너 논리가 너무 약해 논문은 제대로쓰겠냐 연구자로서 재능은 부족할 수도 있으니 어디 입시학원에서 서울대가는법 강연하는건 어떠냐 떼돈번다 한편 부럽다야 ㅋㅋㅋ
Georg Cantor*
2020.06.23
너 자꾸 논리니 논지니 그러는데
이런 말도안되는 상황에 무슨 논리랑 논지를 찾니
토익은 니가 꺼냈어
니가 쓴글에 무슨 논리가 있니
그리고 난 앞으로도 토익 볼일이 없을것같아
그리고 내가 연구 안하고 무슨 일을 하든 너보다는 잘 할
자신 있으니 내걱정은 제발 넣어둬
Theophrastus*
2020.06.23
넌 석사때 논문쓰는게 비정상적이고 제대로된 랩이 아니라고 했는데 서카포에는 석사때부터 쓰는사람 많아 니가 석사때 위대한협업을 해서 의미없는 3저자조차 이름을 못올렸던걸 뭐 제대로된 학교 랩은 그게 정상인양 짓거리냐 ㅋㅋㅋ 니가 지잡인 날 비하하기 위해 쓴 개소리가 니 동문 욕먹인거여 알겠어?
Georg Cantor*
2020.06.23
넌 논리가 없는게 아니라 진짜 모르는거구나
니가 모라고 써놨는지바바
석사때 논문 한편 못쓰면
연구가 적성에 맞는지 생각해보라며
그래서 난 니가 대형랩의 시스템을 못봐서 그렇다고 한거고
그런랩은 구조상 박사과정에가서야 쓴다고 한거고
그때 써도 연구자로 다들 잘 풀린다는 얘기다
그러니 석사때 논문 못써도 연구적성 따질게 아니란 얘길한거다
야 이정도는 해야 부끄러운 논리라도 되는거 아니니
Theophrastus*
2020.06.23
문맥을 봐야지 선행연구 검토해보자 난 석사때 논문 못쓰면 연구가 적성에 맞지 않는다는 글을 쓴적이 없어. 내글 위에 바로 누가 올린글이 내가쓴글이다 그렇게 오해한거네? 연구자가 심증을 믿게되어있냐? 엎드려뻗쳐 그냥넌 니 알량한 학벌부심을 토해버린거여 ㅋㅋㅋ
2020.06.23
Theophrastus 못배운 티 제대로 난다 야... 천박하고 무례하네 말투부터가
그렇게 네가 잘났으면 부디 이 나라의 미래를 위해 열심히 연구해서 노벨상도 받고 교수도 되고 하고싶은거 다 하렴
너의 ㅋ 하나하나마다 열등감이 알알이 배겨있어서 안타까움...
Georg Cantor*
2020.06.23
석사때까지 논문한편 못냈다?
연구자가 적성에 맞나 심각하게 고민해봐..
저게 니가 쓴 글이야
먼 문맥을 따져 너 문맥이 무슨 뜻인지나 아니?
논리랑 논지도 구분 못하는게
야 이 바보야 내 바로 아래 글이 몬지 바바
그리고 서카포 그글도 니가 쓴거랑 비슷해
난 둘다 니가 쓴줄 알았다 ㅋㅋㅋ
야 난 진짜 잘란다
토익 공부 열심히 해서 훌륭한 사람되라
그리고 이 글을 보면 누가 내가 도망갔다고 생각하겠니 에효
좀 잘 살아라
나 진짜 잔다
2020.06.23
케바케교바교사바사임
재료는 잘나옴 석사 1년차에도 튀어나오고 학부때도 튀어나옴
Lise Meitner*
2020.06.23
대형랩인데 프로젝트 하나씩 맡아서 진행하는데 뭔 개소리냐ㅋㅋㅋㅋ 석사때 논문 못쓰면 노력도 부족하고 실력 없는거 맞지
Lise Meitner*
2020.06.23
고작해야 서카포일거면서 존나 거만하네ㅋㅋㅋㅋ 어디 탑스쿨 빅가이랩인줄 알겠다
Juan Carlos Onetti*
2020.06.23
지잡애들이 결국 실력 딸려서 실적은 없는데 대학원 학벌부심 오짐
2020.06.23
근데 석사때 논문쓰는건 거의 지도교수빨아닌가? 해박나간 지인도 동기선배 박사들도 주제잡는것조차도 힘들어한다는데 석사때 스스로 논문써낼정도면 천재로밖에생각이안되네 skp 학부출신 해박중인지인, ssh학부졸인 내가 빡머갈통인걸까 글쓴이가 특출난것일까
2020.06.23
아 이글 글쓴이가아니구나 ㅋㅋㅋ 잘못썻다
Georg Cantor*
2020.06.23
여기 머 거만이 어쩌구 써놓은 애들
내가 석사때 논문 못썼다했자나
내가 언제 거만하게 얘기했니
그리고 좀 솔직해지자
석사과정중 논문쓴 사람
자기힘으로 오롯이 논문 라이팅까지 끝냈니?
지거국 교수 선배들 얘기 들어보면
학생들 데이터 가져오면 교수들이 직접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들었다.
난 석사때 논문 못썼어도 적어도 내가 제1저자인 논문 라이팅은
내가 다한다.물론 영문 교정은 외부업체에 한번 받는다
그래도 교수님이 써주진 않지
Georg Cantor*
2020.06.23
그리고 jcr 상위 20% 디게 자랑스러운가본데
요새 20 프로 짜리는 국책과제 실적으로도 못잡는게
대부분이야 거의 10 %이내만 카운팅 된다
학과별로 IF는 큰차이가 있지만
내 첫 논문 IF 15넘는 저널이다 니들 좋아하는 jcr 3%다
석사때 논문 쓸 수도 있겠지만 다그런건 아니겠지만 대형랩에선 구조적으로 못쓰는 이유가 크다는건 틀린 얘기 아니다
2020.06.23
ㄴ 글쓴이님. 아래 글에서 jcr언급했던 사람입니다. 처음에 글쓴이님이 "너도 논문 없지?"라고 하신 말이 무시하는 것처럼 느껴져서 석사때 쓴거 있다고만 말할려다가 솔직히 가물가물해서 직접 찾아보고 jcr까지 적었던것 같습니다. 그리고 글쓴이님이 자기 교수님은 20퍼 이내는 투고안하신다길래..연구실 자체가 박사과정부터 실적을 내는 구조이구나 하고 넘어갔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좀 그런게 ..여기글에서도 제가 언급한 말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네요. 제가 전글에서 말했던게 좀 거슬리셨나 보네요. 그러셨다면 제가 일단 사과드립니다.. 그리고 작성자님 말씀처럼 jcr 20퍼이내 솔직히 학계에서 계시는 분들에게는 진짜 별거 아니죠. 저도 지금 느낍니다. 솔직히 그냥 좀 참을걸 하고 그런말을 했다는게 창피하기도 하네요. 말씀대로 박사하고나서는 카운팅하기도 그런 논문이죠. 그래도 전 그 당시에 결과가 생각보다 잘나와서 처음으로 투고를 해봤다는 거에 정말 기분이 좋았습니다. 그래서 전 그때의 결과가 아직도 연구자의 길을 본격적으로 걷게 해준 어떤 시발점?의 의미로 두고있습니다.^ 아무쪼록 이 얘기는 이제 그만 했으면 좋겠다는 바램에 글을 작성해봅니다.
Pablo Picasso*
2020.06.23
글쓴이 발언만 모아서 올려본다.
1)지방학교는 sci쓸 사람이 없어서 너한테까지 차례가 가는거야
-> 글쓴이 연구실은 능력과 상관없이 구조적으로 박사는 되어야 sci를 쓸 수 있다. 지방대는 능력도 없지만 구조적인 이유로 sci를 석사때 쓸 수 있다.
2)내가 보니 넌 경북대 실정도 잘 모르는것 같다(글쓴이 설카포 추정)
->글쓴이는 경북대는 다녀본적도 없지만 니말은 틀렸어
3)너가 경험한것만 세상의 다가 아니다
자기객관화가 덜 된거 보니 왜 석사때 sci 한편 못썼는지 알거같누...ㅋㅋㅋ
Pablo Picasso*
2020.06.23
ㄴ 첨언하자면 메이저 마이너 상관없이 어느 연구실이든 능력있으면 석사도 sci 쓸 수 있음. 글쓴이 본인이 석사때 sci 못썼다고 다른 사람도 못쓰는거 아님...글쓴이 니입으로 얘기했잖아(너가 경험한것만 세상의 다가 아니다)
Georg Cantor*
2020.06.23
니가 말한 능력이 니꺼니 ㅎㅎㅎ
Pablo Picasso*
2020.06.23
ㄴ그게 중요할까? 내능력아니면 얘기못함? 아쉽겠지만 난 석사때 쓰긴해서...ㅋㅋㅋ 내 논리에 전혀 상관없는 내용 물어보는거보니 글 이해도도 떨어지는듯. 이 꼬라지면 논문도 '구조적인' 곳에서 교수님이 다 써주는것도 이해는 간다ㅋㅋㅋㅋ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3
2020.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