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는 논문으로 승부 본다?

2023.09.13

32

6245

안녕하세요

아직 대학원에 생태계? 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는
성대 학생입니다.

자대 대학원과 spk 대학원을 찾아보고 있는데요,

제 착각인지 모르겠는데, spk에 좋은 곳도 많지만, 차라리 자대 연구실 성과가 좋은 곳들도 있더라구요
그러니까 느낌이
spk 인기랩은 자대 대학원이 못따라 잡는데, 그외에 spk 중간쯤 되는 랩보면 자대 괜찮은 랩이 더 연구성과가 좋았습니다.
(최근 논문과 Alumni 비교했습니다.)

이에 관련하여 자대 지도교수님과 면담시 제가 보기엔 spk와 자대 연구실이 이런것 같은데
박사까지 생각있으면 좋은 성과내는 자대 연구실 가는게 맞는지, 아니면 조금 성과가 부족해도 spk쪽으로 가는게
맞는지? 라고 여쭤보았고

교수님은 너무 당연하다는 듯이 박사는 논문으로 승부본다며, 성과 없는 박사는 아무도 인정해주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물론 이 말에 반박할 여지는 없지만, 제가 궁금한것은

성과가 좋은 자대 박사vs 성과가 나쁘진 않지만 전자보다는 안좋은 spk 박사
입니다.

만약 자대에서 NCS 자매지 3~4편 쓰고 졸업하는 박사(실제 제가 가고싶은 랩실 선배들 성과입니다.)와
NCS 자매지 1편에 그 밑에 저널 2~3편쓰는 spk 박사 가 있으면 이래도 자대 박사가 필드나 산업에서 인정 받고
좋은 대우를 받을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2개

2023.09.13

진짜 무의미한 질문입니다. SPK 가면 논문 덜 쓰고 자대 가면 논문 더 쓰나요? 어디서든 잘해야죠

2023.09.13

만약 그게 예를 든 것이 아니라 실제로 박사 때 NCS 자매지 3~4편 쓰고 졸업하면 SPK 거들떠도 안보고 거기 가고 싶네요.
그렇게 쓴 후에 해외포닥 다녀와서 임용 지원하세요.

대댓글 3개

2023.09.13

다시 봐도 신기하네요.
어느 랩인가가 더 궁금함.

질문에 대한 답은 만약 해외 포닥까지 다녀왔고 임용 지원 때 최근 3년 실적에 자매지 3편 주저자로 들어 있으면 대부분의 분야가 인서울 교수 가능합니다. 물론 학과마다 여러 변수가 있기 때문에 학교를 찍어서 간다는 것이 아니라, 여러 군데 지원하면 하나는 적어도 될 거다 라는 이야기지요. 그 정도 실적이면 박사를 어디서 하고 어떠한 평가를 받고 이런 것 상관할 것 하나도 없어요.

2023.09.13

너무 특정될거 같아서 말씀은 못드리지만,, 실제로 지금 인서울 사립대 임용되셨습니다. 물론, 모든 선배들이 저렇진 않았고 성과가 좋았던 분입니다.

2023.09.1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저자 자매지를 박사들이 4편씩 쓰고 졸업한다기에 대체 무슨 랩인가 햇더니 선배 한명 성과를 평균 성과인 것처럼 적어놓으셨네요...
무기력한 플라톤*

2023.09.13

당연히 실적 위주. skp. 아니 MIT나와도 실적 없으면 꽝임.

2023.09.13

실제로 박사때 ncs 자매지 3,4편쓸정도면 spk가 아니라 미국 어느 대학이라도 다 제쳐두고 갈 정도인데요?

2023.09.1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거야 당연히 자대 연구실에 물어봤으니 ㅋㅋ
집요한 데이비드 흄*

2023.09.13

성과가 좋은 자대 박사vs 성과가 나쁘진 않지만 전자보다는 안좋은 spk 박사

애초에 성과안좋은 spk박사는 포닥을 좋은데로 가기 힘듭니다. 졸업부터가 간당간당할텐데요 ㅋㅋ
무서운 존 필즈*

2023.09.13

예시로 든 비교면 두 랩 모두 비슷하고
결국 PI 의 영향력 인품이 중요해 보여요. 임용도 PI 인맥빨이거든요

2023.09.13

?? NCS 자매지를 학위과정 동안 3,4편 쓸 수 있으면 MIT도 거를 수준입니다

IF : 1

2023.09.13

논문 보다는 졸업생들 취업 현황을 봐.
어떤 랩은 논문 별로 많이 안나오는데, 해당 분야에 대해서 전국적으로 유명해서, 정출연 및 교수 잘 나오는 곳도 있고, 어떤 랩은 논문은 엄청 많은데 그거에 비해 졸업생들 취업처가 불분명한 곳도 있어.
이게 랩에 입학하면, 웬만한 아웃라이어가 아닌 이상 선배들의 미래가 곧 나의 미래가 되는게 거의 현실이더라고.

대댓글 2개

2023.09.13

맞는 이야기인데 그것도 일반적인 상황 이야기지 NCS 자매지 주저자 3~4편이면 그거에 비해서 취업을 못할 래야 못할 수가 없어요..

IF : 1

2023.09.13

저 학부생이 그냥 예시를 든거겠죠 ㅋㅋ 그 의미랑 난이도를 알고 적었겠습니까.

2023.09.13

NCS 자매지 쓰는 정도로 실적 좋으면 당연히 그 렙 가야지;; 어딘데요

2023.09.13

혹시나 해서 말해두자면 Scientific Reports는 NCS 자매지이기는 하지만 윗분들이 말하는 "자매지"에는 안들어간다고 생각하는 게 좋습니다. 이런 하위권 자매지가 많은데 그걸 구분했는지 잘 모르겠네요.

대댓글 1개

2023.09.13

설마 싸리를 얘기한건 아닐테죠.
김박사넷은 Nat Comm조차도 자매지랑 구분하던데요ㅋㅋ

2023.09.13

NCS 자매지 3~4편씩 나오는 성대 랩실...교수님 성질 나빠서 힘들기로 소문난 그곳같은데...ㅎㅎ

2023.09.13

다 필요없고 날 얼마나 밀어줄수 있는지 랩에 가는게 중요함

사실 실력이지 뭐.. 설대가도 실력되면 밀어줌 아예 인프라안되는것더 잇겟지만

2023.09.13

그정도 실적이면 오히려 spk에서 내려온다

2023.09.13

논문잘쓴사람 실적이 그정도면 걍 spk ㄱㄱ 뒤도안돌아봄

대댓글 2개

2023.09.14

자매지 3-4편이 이런 취급당할 실적은 아닌 듯

2023.09.15

잘쓴사람은 어디가서도 잘쓸사람이었단말이에요ㅎㅎ

2023.09.13

그 정도 실적 내는 교수 우리나라에 손 꼽히는데요..

2023.09.13

ㅂㄴㄱ 교수님 랩실 기웃거리시는거 아님?
성대에 그정도 연구성과 내는곳 거기밖에 없을텐데..
그리고 거기 자대생도 입학 경쟁 피튀길텐데.

대댓글 1개

2023.09.14

무슨 과에요? 구경 좀 하게요.

2023.09.14

말한 NCS 자매지가 출판사만 같은 쩌리급 자매지가 아니라 Nature + 학문명 (Nature Materials, Physics, Chemistry ect) 인 메이저자매지라면, 제가 아는선에서 평균적으로 1저자로 (공저자는 큰 의미없음, 최소 공동1저) 자매지 3~4편씩 쓰고 졸업하는 랩은 없고, MIT 하버드 칼텍 등등 탑스쿨에서도 그 정도 성과내는 방은 거의 없습니다. 그정도면 spk랑 비교할게 아니라 하버드 MIT랑 비교해야합니다. MIT 대부분의 랩하고 비교해도 안꿀린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9.14

윗 댓들에 언급되고 있는 그 랩이라면 교수님이 MIT 하버드 씹어드시는 분인건 맞음..

2023.09.14

물론 자매지3-4편을 '평균적으로' 내는 방은 전세계 어딜가도 없을듯 ㅋ
랩 에이스의 성적일텐데 내가 그 에이스가 되겠다는 포부로 부딪혀보는 건 좋은 자세임

2023.09.14

NCS 자매지 3-4개면 국내 대학 탑급 아닌가요? 걍 SCI/SCIE 3-4개면 그럴수도 있구나 하는데..

2023.09.14

질문으로 돌아가면 당연히 성과좋은 자대 박사 win. 근데 그런 랩이면 교수님이 곧 이직가실수도 ㄷㄷ

2023.09.14

좋은 학교가세요 ㅎㅎ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