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찍 결혼한 경우 여자가 출산, 육아 포기하고 계속 정신없이 바쁜거 이해해주는 남자 드물고
높은 확률로 시집, 남자쪽이랑 대판 싸우고 이혼하게 된다
결국 여자가 박사 진학할 경우 대부분 세가지 케이스 중 하나로 귀결됨
1. 가정이루는거 포기하고 연구외길로 쭉 나가는 경우
2. 결혼한채로 공부하다가 가정 박살나는 경우
3. 물박사 대충 따고 연구 접는 경우
일과 가정을 모두 잡고 성공한 케이스는
양가부모가 애를 100% 봐주고 남편이 돈 좀 있어서 사람 쓸 수 있고 등등
정말 조건이 좋은 일부 경우밖에 없음
결국 그나마 남자가 좀 낫다. 남자는 대머리에 배나와도 교수되면 결혼은 다 하더라
근거는 주위에서 수십명 본 결과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Pablo Picasso*
2020.06.25
누가 어렵네 안어렵네 배틀할 이유가 있을까.. 다들 힘들지. 안그래도 사회뉴스보면 다들 서로 못잡아서 안달인데, 여기서 이런 이슈로 배틀하진 않음 좋겠음
2020.06.25
그럼 결국 대학원생 모두가 피해보는것아닌지용
2020.06.25
누가 어렵네 안어렵네 배틀하는게 아니라 사회 구조적 문제인 여성차별을 꼬집는 겁니다. 다들 힘든만큼 다같이 힘드니까 참자가 아니라 문제는 지적을 하고 비판하고 고쳐나가야지 발전을 이룹니다. “이런 이슈”로 배틀하지 말자는 건 보기불편하니 닥치고 있으라는 말과 다름이 없습니다. 그건 무책임이고 방관이고 동조입니다.
힘들고 불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자들의 입을 막을 권리는 당신에게 없습니다.
2020.06.25
젊을 때 연애해서 결혼하고 싶다.
Stephen William Hawking*
2020.06.25
남자건 여자건 다 힘들다는데 왜 또 사회적 구조 어쩌고 나옴?
여자 출산은 생물학적 제한인데 뭘 어떻게 고쳐야 하냐
2020.06.25
여기서 여성차별이 나온다고? ㅋㅋㅋㅋ 결혼 생활에 대한 본능적인 니즈를 여성 연구원은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러는건데 여성은 박사학위 따는 기간을 반으로 줄여주고 그래야 사회적 약자 배려가 되는건가?
Stephen William Hawking*
2020.06.25
ㄴ말이 씨가 될까 무서움 이번정권이라면 가능하다
2020.06.25
남자도 교수될 때 쯤에는 결혼적령기 지난 경우가 많고, 교수 되기 전에도 남들 취업해서 자리 잡을 동안 공부하고 있는게 일반적으로 결혼문제에 있어 플러스 요소가 된다고는 절대 말 못하지. 뭐 어쨌든간 '사회구조적 문제인 여성차별'이니뭐니 하지만 독박징병문제나 이공계열 여성우대 정책 등을 봤을 때 남자라서 손해봤다고 느꼈던 적이 개인적으로 더 많음.
Stephen William Hawking*
2020.06.25
ㄴ남자는여자와 달리 능력만 있으면 40살에도 결혼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고
여자가 가사/육아하고 남자가 하루종일 일하느라 바빠도 별 지장이 없지
2020.06.25
ㄴ평균 결혼연령 생각하면 40살 쯤에 결혼하는건 나이 많을 때 결혼하는 것이고, 학위 취득 때까지 동기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득도 낮은게 사실인데, 결혼에 있어서 이런거 분명 큰 마이너스 요소 아님? 대머리에 배 나오고 나이 많아도 교수급 능력 되면 결혼에 아무 문제 없다고 보는건 머릿속이 지나치게 꽃밭인거라 생각함. 애초에 연구직종에서 교수 수준의 지위까지 가는 사람은 소수라는 점은 차치하고서라도. 그리고 요즘 시대에 남자가 일 바쁘다고 여자 쪽에 가사/육아 전적으로 부담시켜놓는걸 '별 지장 없는거'라고 표현하는 것도 동의 안됨.
Stephen William Hawking*
2020.06.25
ㄴ요즘 평균 결혼나이 36세고 전문직종의 경우 40 다되서 결혼하는 경우 많음
그리고 남자 교수는 아직 혼시장에서 인기 많음. 주위 보면 대부분 부잣집 딸이나 여자 전문직이랑 결혼함.
Stephen William Hawking*
2020.06.25
그리고 임신도 출산도 초기육아도 생물학적으로 여성이 하기 때문에
남자가 일 쉬고 가사하는것보다 여자가 일 쉬고 가사/육아하는 게 훨씬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지
2020.06.25
ㄴ결혼나이 36세는 듀오에서 2017년에 발표한거 말하는거? 통계청이 20년 3월 말에 발표한 2019년 결혼 관련 통계에 따르면 남자는 33.4세임(초혼 기준). 뭐 어느 통계가 맞든 40살 쯤에 결혼하는건 늦게 결혼하는게 사실인데 뭘 이런거까지 부정하려고 함? 그리고 앞서 말했듯이 연구직종 종사자 중에 교수 정도 수준의 지위를 가진 사람은 소수일뿐인데 교수가 혼시장에서 인기 많다는 것을 연구직종 일반에 적용시키는건 무리 아닌지? 뭐 그래도 그 소수의 케이스의 경우에는 남자가 여자보다 결혼하기 상대적으로 그나마 낫다는 점은 인정하겠음. 비혼주의자라 이 글 읽고 (앞서 말한) 독박징병/여성우대정책 등 명백한 남성차별을 두고 겨우 결혼하기 불리한거 가지고 그러는건가 생각했었는데, 다시 생각해보니 너무 내 가치관 중심적으로 생각한거 같네. 그 부분은 인정하고 사과하겠음.
2020.06.25
ㄴㄴ애초에 '남자가 일에 몰두하느라 육아/가사를 여자한테 전적으로 떠넘기는 것은 별 지장이 없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남자가 이해 안해줘서 높은 확률로 남자쪽과 싸우고 이혼한다'라는 말 자체에 절대 동의하지 않지만, 만약 그 말이 맞다면 그건 사회적 성차별에 분명히 해당되는건데, 사회구조적 여성차별에 대해 말하는 존 내쉬 댓글에는 "왜 또 사회구조적 여성차별이 나오냐"라고 반박하는건 내 기준에서는 이해 안됨.
2020.06.26
그래도 일단 여자가 박사 따면 교수가긴 더 쉬우니깐.. 군대안가고 다이렉트로하면 20대 박사도 가능하고
2020.10.06
아니 여자가 결혼해서 박사하면 남자가 희생하는거고 남자가 결혼해서 박사하면 여자는 이해해줘야 하는거임? 그럴듯하게 논리적인 척하는 글이네
2020.11.20
차별은 맞지ㅋㅋ 결국 남자는 집안일 팽개쳐도 결혼 가능인데 여자는 집안일 팽개치면 결혼 못한다는거니까ㅋㅋ 다들 공부좀했으면서 왜 이걸 못알아듣고
2021.09.29
그래 내가 대머리에 교수다. 결혼도 했다.
종종 생각하는게, 차별 받더라도 대머리 안되는 여자가 더 낫다.
2020.06.25
2020.06.25
2020.06.25
2020.06.25
2020.06.25
2020.06.25
2020.06.25
2020.06.25
2020.06.25
2020.06.25
2020.06.25
2020.06.25
2020.06.25
2020.06.25
2020.06.26
2020.10.06
2020.11.20
2021.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