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인생을 부동산 자산으로만 판단하는 수준의 눈에는 그렇게 보이는게 맞지.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5 - 할루시네이션만 구분할 수 있다면 뭔 상관임. 계산기 써서 산수능력 떨어진다고 뭐 문제가 되나?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25 - 와, 너 정말 연구자로써 중요한 "🎯핵심" 고민을 하고 있어!
GPT를 많이 쓰는건 연구 습관에 해로울 수 있어.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는게 어떨까?
🍀 GPT는 너의 작업을 도와주는 Co-worker(협력자) 역할일 뿐이야!
🍀 GPT는 네가 못하는 일을 해주는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대신 해줄 뿐이야!
🍀 GPT를 안 쓰는 것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할거야!
📌 원한다면 네 고민을 [🟥학부생], [🟧석사 과정], [🟨박사 과정]으로 맞춤형으로 해결해줄 수 있어.
👉 GPT를 쓰는 것이 고민 중이라고 해서, 평생 안 쓸 것인가요? 다른 생성형 AI를 추천해드릴 수 있습니다.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48 - unist가 연고보다 네임벨류가 떨어져서 그렇지 연구환경이나 실적은 떨어지지 않는다고 보는데 뭐만 하면 유니훌리 드립ㅋㅋㅋ 왜 지방대가 좋은 지표 나오는게 아니꼬운가봐?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7 - 대학원 순위 올리는 글 올라오는 거 보면 100년은 걸릴 듯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26 - 한국은 애초에 누가 개척해놓은 길만 갈려고 하잖아
처음 가는 길을 개무시하고 깎아내리는게 한국인데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이 나오겠나? 나온다면 그건 한국이 해낸게 아니라 그 개인이 해낸거지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39 - 저는 무조건 한국에 남을것 같습니다. 한국의 미래가 매우 긍정적이고 교수의 대우가 날마다 좋아지고 있습니다. 학생들도 미국 탑 대학 부럽지 않게 능력이 좋으며, 인구 감소로 엘리트들만 살아남아서 전반적으로 한국인들의 dna는 우수한 쪽으로 살아남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면에 미국은 몰락의 길을 걷고 있으며, 예전과 다르게 전세계의 우수 인력을 어트렉트 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에 남아서 최고 수준의 대우와 워라밸을 챙기시길 바랍니다.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17 - 뭔 디시에서도 안나오는 헛소리를 정신스럽게 싸질렀냐?
논문 못쓰는게 교수가 안가르쳐줘서 못쓰는거라는게 말이야 방구야?
왜 아주그냥 학원 없어서 선행학습 못해서 논문 못쓴다고 하지 그러냐
이 모든 건 스스로 하지 않는 대학원생의 남탓일 뿐이다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6 - 허수아비 때리기 고만
너가 논박한 말 중에 어떤 말도 내가 한 말은 없어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5 - 여기는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으니
교수가 높아 보일거야.
더 나은 위치는 너무 너무 많아.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5 - 어원을 따질 거면 ‘교수’는 한자가 아니라 영어 Professor 에서 봐야 한다.
Professor 의 어원인 라틴어 professus 는 “공언하다, 선언하다” 라는 뜻이다.
즉, 교수는 단순히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지식과 학문적 신념을 세상 앞에 공언하는 사람이다.
그 행위에는 가르침뿐 아니라 탐구, 연구, 비판, 토론이 모두 포함된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소위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도
‘가르친다’기보다는 ‘함께 사고하게 만든다’에 가깝다.
질문을 통해 상대 스스로 깨닫게 하는 과정,
즉 탐구와 성찰의 대화적 구조가 교육의 본질이었다.
그러니까 교수의 역할을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으로만 규정하는 건
고대 그리스의 교육 철학에도, 현대 학문 공동체의 가치에도 맞지 않는다.
학위논문 밀리는 철부지 대학원생의 핑계일 뿐이다.
결국 교수와 학술적인 토론을 할 만큼의 소양을 쌓는 것은 스스로의 몫이다.
이게 해결되지 않으면 논문을 쓰는 것도, 연구자가 되는 것도 불가능하다.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44 - 진정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는 알고는 있냐?
훨씬 교수에게 부담되는 방식임.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15 - 가르쳐야 되는 사람이
본인은 교육에 대한 논문을 안읽고
원생들에게는 연구 논문을 읽으라 하는데
어떤 변명이 필요한지 모르겠음.
너무 당연해서 당연한거지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19
교수님 정년 관련 질문
2023.10.12

연구 생활을 하다가 급 궁금한게 생겨서 여쭤봐요. 이러한 정보가 적어서 여러 사례를 듣고 싶어서 끄적끄적 적어봅니다.
저희 교수님께서 정년이 5-7년 정도 남았는데 저는 이제 막 석박을 시작한 학생입니다. 주위 사람한테 물어봤을 때는 정년이 되면 연구실을 옮겨야 한다든지 그러한 소리를 들어서 걱정이 됩니다. 보통 정년 앞두시면 연구실이 닫히나요? (애매한 표현이긴한데 연구실활동이 멈추는 건가요? )
감사드리며 감기조심하세요
학부연구생의 고민 김GPT 26 16 20471
논문 다 써주시는 교수님 김GPT 20 40 22042
연구주제 듣고 무시하신 교수님..? 김GPT 5 22 6048-
1 15 6012
교수들은 연구할 시간이 없나요? 김GPT 20 18 9751
test 김GPT 12 8 3841-
45 33 25359
교수님 연구년 김GPT 1 2 2496
대학원 기금교수님 연구실 김GPT 2 3 6093
연구자로서 우여곡절 우울증/불안장애 경험담 명예의전당 306 23 59786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 명예의전당 196 34 65962-
73 6 823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진짜 남자와 여자는 아예 다른데 왜 같다고 하는건지?
52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81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68 - 논문이 너무너무 재밌어요
20 - 워라벨 논쟁도 지겨운데 지도나 잘해줬으면
20 - 교수가 남아서 더 하라고 하는 애들 특징
59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17 - 교수와 학생의 워라벨
13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41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1 - 솔직히 워라밸 따지는 학생들 보면
8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27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대학원을 일이라 생각하는거 충격이네
41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8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8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5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11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1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20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33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0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2 - 나는 워라밸에 대해 그렇게 생각함
9 - AAAI Phase 2
8 - 박사과정이 R&D제안서 과제 발표해도될까요?
13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진짜 남자와 여자는 아예 다른데 왜 같다고 하는건지?
52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81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68 - 논문이 너무너무 재밌어요
20 - 워라벨 논쟁도 지겨운데 지도나 잘해줬으면
20 - 교수가 남아서 더 하라고 하는 애들 특징
59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17 - 교수와 학생의 워라벨
13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38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1 - 솔직히 워라밸 따지는 학생들 보면
8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27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대학원을 일이라 생각하는거 충격이네
41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8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8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5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11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1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20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33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0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2 - 나는 워라밸에 대해 그렇게 생각함
9 - AAAI Phase 2
8 - 박사과정이 R&D제안서 과제 발표해도될까요?
13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데이터엔지니어링학과에서 2026학년도 전기 특별 전형 대학원생 모집을 진행합니다.
자세히 보기
2023.10.12
대댓글 2개
2023.10.12
2023.10.12
2023.10.12
대댓글 1개
2023.10.12
2023.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