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이 다르죠... 한국 석박통이던 해외FastTrack 제도건 어떻게던 석사ㅡ박사 학위취득에 최소 1년, 본인 역량하에 1.5년에서 2년까진 단축 가능합니다. 역량이란건 진짜 미친 퍼포먼스를 말씀드리는거구요..
사실 역량에 따라 졸업이 단축가능하다고 한들, 교수님이 졸업 안시켜서 석사 2년 박사 5년 시키고, 통합으로는 최소 7년 잡는 그런 랩이라면 석박통합의 장점이 뭔지 잘 모르겠어요... 듣기로는, 1. 석사 디펜스가 없이 박사 디펜스 한번으로 끝 2. 코스웍이 줄어들음 (일부 학교 일부 학과에서는 석사과정 30, 박사과정 40, 석박통합 70학점으로...줄어들지도 않더군요) 3. 기간 단축 (교수님이 석박통합최소 기한을 길게 잡아둘 수 있음) 4. 장학금 지원이 많음
이거 같은데 맞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3.10.21
그냥 시간 절약이랑 쓸데 없이 석사 논문 쓰고 디펜스 하는 데 시간낭비할 필요 없다 정도죠뭐. 엔간해서는 통합이 따로따로 하는 거보다는 무조건 짧은게 맞고요.
2023.10.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일관성이요.
놀란 게오르크 헤겔*
2023.10.21
석박통합으로 저는 졸업했고, 저와 비슷한 시기에 석사, 박사를 따로 졸업한 친구와 애기해보면 명확한 장단점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석박통합은 우선 졸업하기 전까진 대졸출인이니, 졸업을 위해서 모든 걸 올인해야하고 리스크가 매우 큽니다. 반대로 말하면 교수님들께서 안전하게 학생을 활용하실 수 있고, 석사졸업과 같이 연구의 흐름이 끊길 확률이 매우 낮으므로 연속성 측면에서 연구중심 대학교(서카포)의 교수님들께서 매우 선호하며, 학교에서도 석박통합으로 TO를 많이 옮깁니다. 그리고 석사와 박사를 따로 하는 것보다 조금 더 단축이 가능합니다. 석사졸업 논문작성, 디펜스를 준비할 시간에 조금 더 집중할 수 있죠.
반대로 말씀드린 장점이 단점이기도 합니다. 졸업을 할 수가 없으면 말 그래도 대졸이라 매우 리스크가 큽니다. 그리고 학위논문을 적어본 경험이 없으니 박사학위 논문작성, 디펜스에 엄청난 노력이 필요합니다.
후회하는 플라톤*
2023.10.21
석박통합 5년이라고 해서 들어왔지만 현실은 무조건 6년 ㅠㅠ
2023.10.21
제가 생각해도 장점은 디팬스 안해도 된다는점이라 생각하고, 단점으로는 중간에 박사진학에 대한 고민을 못해보고 얽매일수밖에 없다는점 같네요. 교수입장에서는 당연히 통합을 선호하겠지만, 저희학교/학과는 통합안뽑고 석사/박사로 따로 뽑고있습니다. 좋다고 생각해요.
2023.10.22
졸업 6개월이라도빨리하면 장점
졸업 못하면 단점
옹졸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3.10.25
통합인데 걍 전 석사로전환하려고합니다 나중에 박사 생각들면 다시가면될것같아요. 저희학교는 통합이라고 장학금 더주는것도아니고 학점 이수는 줄어들지만 굳이 이거 때문에? 통합할필요는 없어보이긴합니다 물론 학교바이학교 랩바이 랩 제 케이스는 그렇더라고요
2023.10.21
2023.10.21
2023.10.21
2023.10.21
2023.10.21
2023.10.22
2023.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