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당시에는 좀 지치기도하고 대학원가서 내가 감히 석박을? 거기다 두려운 환경에서 해외포닥까지? 난 버텨낼 자신이 없어 무서워 돈이나 왕창 벌어서 경제적자유 찾고 놀러다녀야지 이런 짧은 생각으로 대학원은 그냥 포기해버렸었거든요...
그러다 이렇게 이리저리 3년정도의 시간이 가버렸는데요.. 지금은 31살입니다..
대학 재학시절 좋은 교수님밑에서 연구실에서 학부연구생하며 논문읽으며 공부하던 때로 다시 돌아가고싶네요ㅠ 최종적으로는 제가 하고싶은 연구를 자율적으로 할수있고 후학을 양성할수있는 교수가 되어 보고싶은데요. 꿈을꾸기에는 늦은 나이 일까요ㅠ
고민되어서 새벽6시까지 잠못이루며 검색하다 이렇게 접속하여 글 올려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4.07.17
도전에 늦은 나이가 어디있겠습니까. 우리나라는 유독 어느 나이대에 무엇을 해야한다라는 생각이 강해서 더 걱정이시겠지만요, 스스로 생각해보시고 결정해보세요. 안될 건 없습니다. 다만 그 선택에 따르는 책임, 그리고 포기해야할 것들을 확실히 생각을 하셔야 이후에도 후회가 없을거예요. 후학양성까지 생각하신다면 진짜 지난하고 긴 목표를 세운것일텐데 동기부여가 확실해야 할 것입니다.
2024.07.17
나이가 많은 것이 유일한 걱정이시라면, 크게 걱정할 필요 없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물론 나이가 지나치게 많으면 교수 임용에서 크게 선호하지 않는게 사실입니다만, 40대 초반이면 오히려 신임 교수로 뽑기 딱 좋은 나이입니다. 교수를 뽑는 것도 어떻게 보면 직장 동료를 뽑는 것이라서, 너무 나이가 어려서 어울리기 어려울 것 같은 사람을 은연중에 꺼리는 교수들도 생각보다 적지 않습니다.
2024.07.17
최근 약대 교수님들 임용 추세로 보았을때 40 초반이면 살짝 늦은 편이지 불가능할 정도로 많은 나이도 아닙니다. 응원합니다.
2024.07.17
파스칼님의 말씀은 공감은 하지만, 생각보다 나이는 중요합니다. 최소한 해당학과에서 선배교수보다 나이가 너무많으면 임용과정에서 선호하지 않습니다. 근데 사실 30후반에 학위받고 임용되시는거면 사실 엄청늦은 나이는 아닙니다. 다만 주변사람들이 결혼하고, 집사서 살고있을때 혼자 열심히 학위하면서 꿈을쫓는게 쉽지만은 않죠. 대학원 하면서 페닥이 가능한지 모르지만, 여튼 여러가지 잘 고민해보시고 결정하세요.
2024.07.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제가 아는 교수님 40에 박사받으시고 2년 뒤에 임용되셔서 지금 날라다니시고 있습니다. 연구와 교육에 대한 의지만 있다면 불가능한건 없다고 봅니다. 다만 나이가 많은만큼 엄청난 실적이 있어야 임용되실 수 있을겁니다. 나이많은 지원자는 그렇게 선호하지 않거든요
2024.07.17
의지만있으면 못할것도없겠죠.. 늦은나이에 러시아가신 사례도있던데
IF : 1
2024.07.17
도전해보세요. 인생은 한번뿐
2024.07.18
약대도 가셨는데 그 의지와 끈기면 못할것 없죠. 목표가 생겼다면 그냥 뒤돌아보지 말고 하세요.
2024.07.18
40초까지 충분히 가능하고 경력이 좋으면 40 중반도 임용됩니다. 한국이 나이에 민감하고 특히 어린애들이 잘 모르고 늦었다 어쩌구 할 수 있는데 빨리 석박해서 갈피를 못잡고 대충하는거보다 늦게하더라도 방향을 잘 잡고 가는게 낫습니다.
2024.07.19
탁월한 선택입니다. 반드시 박사 학위까지 취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만약 중상위권 대학이상의 교수를 반드시 해야겠다면 유학은 필수 입니다. 교수 말고도 갈 수 있는 곳은 많습니다. 하지만 영어 발표 및 영어 논문 작성 능력은 반드시 갖추시기를 권장합니다.
2024.07.17
2024.07.17
2024.07.17
2024.07.17
2024.07.17
2024.07.17
2024.07.17
2024.07.18
2024.07.18
2024.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