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려는 연구실이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진행중인데 이중 인기좋은 주제배정받는것은 그냥 운일까요? 아니면 입학성적?측면일까요? 그리고 석사보다 석박통합이 주제배정에서 우선권이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10.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 석사에 어울리는 주제가 있고 석박에 어울리는 주제가 있음. 2. 주제를 연구실에 이미 있는 걸 뿌리는 경우도 있지만 본인이 찾아 하기도 함 3. 뿌리는 경우에 같은거 두명이 하고싶다 하면 둘이 콜라보해서 그 주제에 파트별로 맡으면 됨. 근데 만약 꼭 해야 되는 과제 주제가 있는데 아무도 하고싶어하는 사람 없다 하면 그 비인기주제는 젤 착한놈이 하겟죠
대댓글 2개
2023.10.24
모두가 하고싶어하는 인기있는 주제라면 석사보다는 석박에게 우선권이 돌아갈까요? 아니면 입학성적으로 배정하실까요??
2023.10.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인기와 상관없이 기간 맞는 사람에게 준ㄷㅏ고요. 1번참고 인기있는 주제가 박사에 안어울리는 쉬운 주제일 수도 있잖아요.
2023.10.24
주제 선정과 분배는 전적으로 지도교수에게 권한이 있으니, 설득하기에 따라 원하는 것을 하게 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성적은 설득의 근거가 될 수 있겠지만 전부는 아니겠지요. 과제 연구가 아닌 졸업 주제의 경우 하기 싫은 것을 피하는 방식의 설득은 그리 어렵지 않았던 것 같아요. 인기있는 주제에 대한 경쟁이 있는 경우 더 절실하게 어필하는 사람을 우선적으로 배정하는 경우를 본 적은 있습니다.
2023.10.2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보통 뭐 하고 싶냐고 물어봄
대댓글 5개
2023.10.24
하 이게 보통인가요ㅠ 천사로 보이는데
2023.10.24
만약 인기있는 주제로 수요가 몰린다면 그때는 어떤기준으로 보통 배정하시는 걸까요?
2023.10.2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괜찮은 주제는 실험 속도 숙련도 보고 빨리 결과 낼 수 있는 학생한테 배정하죠
2023.10.24
처음에 여러주제중 정하고시작할것같은데 이경우는 성적순일까요? 여러명이 동시에 원하면 딱히 기준이 없어보이는데 교수님께서 2D물질 연구도 하시는데 전 그 연구말고 다른연구로 희망해서ㅠㅠ
2023.10.26
천사라서가 아니고 네가 선택한것이니 열심히 하고 책임져야한다고 하려고 그러는 것임. 어차피 대부분 정부과제는 해당 제안서 대로 결과 안나와도 논문 만 제대로 나오면 뭉겔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임.
2023.10.24
완전히 교수 재량입니다. 아무도 양보하지 않으면 그냥 가위바위보나 사다리타기로 결정하는 경우도 많이 봤습니다. 그리고 일단 대학원 입학성적 같은건 어떤 판단기준으로 쓰이기는 커녕 교수님 입에 오르는걸 단 한번도 보지 못했습니다. 입학성적은 어디까지나 수준 이하의 학생들을 걸러내기 위한 기준으로 쓰이는거지, 학생의 연구 역량을 판단할 기준이 되지 못합니다. 아직 학생이시니 어떤 점수나 성적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는게 당연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대학원에 들어가시면 그런 시각은 얼른 버리는게 좋을겁니다.
2023.10.24
대댓글 2개
2023.10.24
2023.10.24
2023.10.24
2023.10.24
대댓글 5개
2023.10.24
2023.10.24
2023.10.24
2023.10.24
2023.10.26
2023.10.24
2023.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