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한 실험이 지금따지 실험실에서 논문으로 나오고 주로 주장하고 있는 결과들과 정반대의 결과들이 나와서 어떻게 받아드려야 할 지 고민입니다. 교수님과 얘기를 나눴을 땐 지금까지 나온 결과와 반대의 내용이니 걱정이다고 하셨습니다. 제가 이 결과를 그대로 가지고 논문 방향을 이어가도 괜찮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3.11.0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왜 반대로 나왔는지 제대로 설명하고 기존 논문을 반박할 수 있다면 문제없어요.
2023.11.0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런거 변수 찾아서 잘 설명하는게 더 임팩트 있는거에요
대담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3.11.05
오히려 좋은 거 아닌가요 특정 조건,상황에서 반대 경향성이 나온다는 건 새로운 걸 찾았다는 건데 그걸 서술,설명 할 수 있으면 좋죠
눈치보는 피타고라스*
2023.11.05
다른분들께 (특히 포닥쯤되는 실험결과가 신뢰되는) 요청해서 independent하게 cross check하세요 포닥손에서도 글쓴이분과 같은 경향으로 나오면 문제가 없을겁니다. 그럼 선행논문이 잘못된거겠지요.
대댓글 1개
넉살좋은 노엄 촘스키*
2023.11.05
ㄴㄴ 잘못되었다고 단정못함
다른 변수로 인해서 반대되는 경향이 나왔을 가능성도 있음
2023.11.05
비슷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기존의 것을 반박하기 위해선 기존의 것을 지지할 때 필요한 데이터의 최소 3배는 필요할 거예요. 다만 성공적으로 해냈을 때 임펙트도 최소 3배니까 좋은 기회일 것 같습니다.
2023.11.05
누적 신고가 10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게 새로운거고 의미 있는 연구인데 괜찮을까요 이러고 있네ㅉㅉ
2023.11.05
논문에 정답은 없기 때문에 오히려 글쓴이님의 실험 결과가 잘 입증만 된다면 서로 보완해서 랩실 차원에서 더욱 크게 발전될 수 있습니다.
2023.11.07
실험 분야가 좋은게 그런거죠. 이것도 되고 저것도 되고.
2023.11.08
실험은요. 내가 결과를 정해놓고 하는게 아니라 결과에 따라 해석되는거에요. 데이터만 정확하다면 예전에 리포팅된게 잘못된 것이겠죠 ㅎㅎ
2023.11.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오히려 좋은건데. 그런게 학위논문 받기 쉬울수도 있음. 같은 결과가 나온 연구는 임팩트가 없는데 이건 확실히 임팩트가 있지. 그런데 literture review를 정말 잘써서 데이타 백그라운드를 논리정연하게 잘 써서 서포팅을 잘해줘야함
2023.11.05
2023.11.05
2023.11.05
2023.11.05
대댓글 1개
2023.11.05
2023.11.05
2023.11.05
2023.11.05
2023.11.07
2023.11.08
2023.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