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교수들 은근 국립대 선호하더라

2023.11.30

38

10382

학부 국립대다니는데 내 학교 교수들 본인이 이 학교에 임용됐다는거에 자부심 겁나 강함.

국립대 교수들은 공무원이라서 그런가 서울에 있는 국립대정도면 중경외시 임용은 당연히 버리고 서성한 임용도 버릴까 고민해본다던데

교수커뮤 하이브레인넷봐도 국립대 굉장히 선호하던데 왜 그런거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8개

2023.11.30

지방에서 살고 싶어서

2023.11.30

사람바이사람이지 뭐..

2023.11.30

국가사업이나 학교에서 주는 사업 이런게 좀 더 빵빵하겠지 사립대보다는

대댓글 2개

2023.11.30

근데 내가 알기로는 글쓴이랑 반대임. 오히려 서울 집중화 현상으로 지거국 버리고 인서울 하위 선택하는 교수들이 많아짐. 중경외시이상부터는 당연히 선택하고. 대학원 굴릴수도 있고 수도권이니까.

2024.05.30

내가알기로도 그럼
실제사례가 한둘이 아님
낙천적인 백석*

2023.11.30

미래를 생각해봐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지거국은 정부조직이라 일단 뽑으만 안 자르고 자르려고 시도도 안 할테니 하려고 하는거지

그런데 서성한 대신 지거국은 그 지역 출신 아닌 이상 에바인데ㅋㅋㅋㅋㅋ

2023.11.30

저도 임용시장 겪었지만, 사람마다 가치관이 다르기때문에 뭐라할순 없습니다.
본인이 연구욕심 있거나, 지방에 사는걸 비선호하는 사람이면 지거국은 부산경북 아니면 지원조차 안하는 사람들도 꽤있습니다. 저도 임용당시 지거국은 부산경북+충남대까지만 생각했는데, 충대는 제가 카이스트 졸업에 대전정출연 경력있어서, 위탁과제 및 장비대여 공동연구등 다양한것에 매리트있을것이라 생각했어서 그랬어요. 운이좋게 그전에 지원한곳 되서 세군대 모두 지원서는 아직 안넣었지만요.
사실 인서울 중상위권과 지거국 비교하면 대다수가 전자로 갈것이라 생각하긴 합니다.
반대로 본인이 연고지가 있거나, 적당히 편하게 사는걸 선호하는 사람은 지거국 만한곳이 없습니다.

2023.11.30

학교가 없어지는 일은 없어서?

2023.11.30

10년전에는 반대였음 ㅋㅋ

대댓글 1개

2024.05.30

지금도 여전히 반대임

2023.11.30

저도 임용 지원중이긴한데
인서울 중상 >> 부경충 >= 중위 정도?
당연히 인서울 중위보다 부경충이 훨씬 좋긴한데 서울...

2023.11.30

뭔소리하는거임? 부산경북대에서도 서울 중위권도 못가서 안달인데 요새는 포스텍에서 연고대로 이직하는 시대임

대댓글 5개

2023.12.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누가 포스텍에서 연고대로 이직함.. 트러블 있는게 아닌 이상

IF : 1

2023.12.01

너무 많아. 포항에서 채용공고 엄청 올릴 정도로
주로 가족들 때매 옮기시지

2023.12.01

포스텍에서 연고대로 옮기는거 많이 봄.
연고대로 옮기고 나서 과제가 더 많아졌다

2023.12.01

조교수들이나 가족 특히 아내가 교수 아니면 옮기는경우 있음.
근데 아직도 돈많이주고 연구도 자유로우니까 교수들 중 기러기아빠가 많음.

2023.12.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포스코의 입김은 뭔가 억누르는듯한게...
포스텍 = 포스코는 좋은 회사니까 많이 취업해라
우아한 헤르만 헤세*

2023.11.30

국립대는 선배교수 눈치 볼 필요도 없고. 승진 부담도 없고. 마음 편히 살기 좋음.

대댓글 1개

당당한 레프 톨스토이*

2023.12.02

선배교수 눈치 많이주던데.. 일거리 다 막내로 돌리고...

2023.12.01

'서울에 있는 국립대'..? 어딜 말하는 건가요? 서울대?

대댓글 1개

2023.12.01

과기대인 듯

2023.12.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어느나라던 같음.

대댓글 1개

2023.12.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어디던
최상위권 학교 아니고 어중간한 레벨들에서는 국립대가 훨씬 선호됨.

2023.12.01

안정도 때문이지 뭐 교수가 날로먹는게 아님 무한 과제 돌려야는디 수도권 풀 걍쟁 박터짐 ㅋ 지방은 그나마 지약과제 있음 ㅋ 즉 인력수급 및 과제 수급 잘 되는거 그게 핵심

2023.12.01

서울에는 국립대라고 해봐야 서울 과기대인데, 서울 과기대면 경북 부산 버리고 가겠좃.

그 외에는 제가 아는 한은 서울에 국립대가 없어요.

서울대는 법인화 대학이고, 시립대는 시립이고...

2023.12.01

학생들이라 중경외시급 서성한급 이렇게 생각하는 것 같은데.. 이들 중 연구에 투자를 하는 학교는 경희 시립 한양 성균 정도고 각 학교의 위치와 처우 등을 잘 따져보면 사람마다 다른 답이 나오는 거에요. 특히 한양 성균은 연구에 투자를 많이 하는 것 다 알기 때문에 경희 시립에 비해 선호도가 훨씬 높은 편입니다. 지거국이랑 고민하는 수준은 제생각엔 경희 시립정도고, 그것도 연고지 생각해서 그런거지 한양 성균이면 대부분 후자로 갈듯합니다.

2023.12.01

어느정도 자신을 증명하고 나면 소의 학교의 "급" 이 별 의미가 없어집니다. 많은 경우 연구를 할 수 있는 환경이냐 아니냐, 가족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지역이냐 아니냐 등의 가치가 훨씬 더 중요해집니다. 그러니 사람마다 답이 다르죠.

2023.12.01

특히 연구가 되는 환경만 따졌을때 한양 성균 연대 고대 ~스트 서울대 정도면 지거국에 비해 넘사벽으로 환경이 좋구요 (초기 셋업비를 많이줌). 기타 학교는 솔직히 거기서 거깁니다.

그러면 선택이 갈립니다. 지거국은 연고가 있는분들에겐 정말 좋은 선택이 됩니다. 가족이랑 행복하게 살수있고 하고싶은 연구도 대규모연구는 힘들어도 적당한 수준의 연구는 맘대로 해볼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왠만해선 안 잘리고 학교가 망할일도 없고 사립대에 비해 여러가지 압박도 덜하고 연구 자유도도 엄청 높습니다.

때문에 간혹 연고대 이상 수준에 계실만한 분들도 여러가지 이유로 지거국에 계시는 분들도 꽤 계십니다. 그러니 임용시장에서 경쟁률이 높은 편이며 그걸 뚫고 들어오신 분들이 자부심 가질 만합니다.

2023.12.01

교수가 되어보면 알겠지만 정말 본인이 무엇을 원하는지에 따라서 학교가 다르게 보입니다. 연구나 탑3 포함 서울/수도권 사립대, 자식 교육을 생각하면 서울/수도권, 편안한 삶을 원하면 국립대인 것 같네요. 예전에는 사립대가 연봉도 높았는데 격차가 많이 줄기도 했어요. (지나가던 현직)

대댓글 1개

2023.12.01

물론 국립대 분들이 연구를 안한다는 거 절대 아닙니다. 본인이 원하는 연구를 해도 된다는 의미입니다. 국립대 교수님들도 네이처 쓰시는 분들 꽤 있어요.

2023.12.01

서울에있는 국립이면 과기대?

2023.12.01

우리과 교수님은 국립대에서 오셨는데 역시 사립대가 연구지원 잘해준다고 좋아하던데

대댓글 1개

2023.12.01

부경, 충대에서 오신분은 아니었음

2023.12.02

서울에 있는 국립대면 서울대니깐 당연하지

2023.12.03

부산이면 기계 / 경북이면 전자쪽 조교수임용은 중경시보다는 선호하시는거 같았음. 거기서 실적지리게 쌓고 포스텍으로 헤드헌팅들어와서 가거나. 편하게 눌러앉는 케이스 2개인듯

2023.12.04

연구 환경도 인서울 애매한 학교보다는 지거국이 훨씬 나음. 요즘 정부과제나 이런 것들이 지방활성화를 위해 수도권-비수도권으로 나눠서 경쟁시키기 때문에 오히려 수도권에서 어중간한 위치라 인서울 내에서 경쟁력이 조금 떨어지는 학교들은 연구비 따는 난이도가 개극악임.
순수한 헤르만 헤세*

2023.12.06

중경외 현직인데
글쓴이가 이야기한 서울 국립이면 대략
시립대(공립인디 공무원) 혹은 과기대(공무원) 교수인거 같은데

1. 시립대 정도면 서성한을 왜감 ㅋㅋㅋ
2. 과기대 정도면 중경외 안갈듯

컴공과 기준 건국, 경희대 -> 시립대 이직한 교수님있음 (반대는 없음)
컴공과 기준 지거국, 국숭세단광명상가 -> 과기대 이직한 교수님 많음 (반대는 없음)

아직 학생이 많은듯 한데 서울에있는 공무원 교수가 얼마나 좋은 자리인지 잘 모르시는듯 해요. 사립대에 비해 눈치볼것 없고 얼마나 편한데..

이상 사립대 조교수 의견입니다

2023.12.06

사립대도 다 같은 사립대가 아님. 오너가 분명한 학교는 학교가 아니라 회사다니는 느낌. 학교로서의 급과 직장으로서의 급은 다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