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당장 졸업 목전이고 컨택된 랩실 없으면 AI engineer 쪽으로 계속 인턴이나 계약직 경력 쌓다가 나중에 직장인 전형으로 대학원 가는 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예전에 여기서 얘기 듣기로는 설카포 찔러볼 만한 스펙이라고 조언 듣기는 했는데 이것저것 하다 보니 막상 제대로 컨택된 대학원이 없습니다... 서울대도 요즘 타대생 들어가기 너무 힘들어 보이구요.
혹시 학사 AI engineer 경력 쌓아보신 분도 있으실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3.12.07
어정쩡한 랩 가느니 차라리 실무에서 바로 구르는게 나음
2023.12.07
윗댓과 생각이 좀 다른데, ai대학원 이라고 적혀져있는 곳 의외에도 본인이 생각하고 있는 수준의 연구를 하는곳이 널렸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금수저가 아니라면 직장인 커리어에서 전환하는 것을 별로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
대댓글 5개
2023.12.07
당장 랩 컨택하기에 좀 늦은 감이 있어서요... 일단은 취준을 시작하긴 했는데 막상 보니 AI engineer 직무외에 LABS 붙어있는 회사들이나 researcher 직무들은 석/박사생을 필수 조건으로 세우고 있어서 언젠가는 대학원을 가서 공부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했습니다. 그럼에도 그냥 직장인 커리어를 시작했다면 그대로 밀어붙이는 것이 좋을까요?
2023.12.07
컨택 시기는 상관이 없습니다. 빨리 컨택해서 인턴 하세요. 근데 님이 직장인인지 취준을 시작하신 상태인건지 댓글이 불분명하네여
2023.12.07
본문에 졸업 목전이라고 했습니다! 곧 졸업 유예 걸어두고 취준하려는 학부생입니다..
2023.12.07
대학원에서 님이 2년이상의 시간을 투자해서 유의미한 성과를 내고싶다면 대학원을 졸업유예안하고 가는게 맞는 것 같고, 불확실하고 시장에서 돈을 받고 팔 수 있는 실력을 올리고 싶다 하면 메이저급 기업에 어떤 수를 써서든 취업하면 되는 겁니다.
2023.12.07
대학원이라도 다 같은 대학원이 아니고 회사라고 다 같은 회사가 아니라 일반화는 못하겠지만 자유롭게 살고 싶다하면 회사가는게 맞는겁니다
2023.12.07
2023.12.07
대댓글 5개
2023.12.07
2023.12.07
2023.12.07
2023.12.07
202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