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같은 주제로 경쟁해서 논문쓰는 구조

2024.01.09

16

5132

안녕하세요
박사 입학한지 1년 되지 않았는데 고민이 있어 의견 여쭙고 싶습니다. 같은 주제로 경쟁해서 결과가 나오는 곳이 논문쓰는 구조인데 교수님은 과정보단 결과만 신경 쓰시구요. 저는 과정에서 발견된 결과로 또다른 주제를 잡는 것 또한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이부분은 교수님이 그닥 원치 않으십니다.
학생들간 교류도 잘 없고 개인적으로 움직이는 곳인데 처음에는 스스로 해결하는 역량을 기르기에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계속 이곳에 지내면 제가 대학원 생활동안 조급하게 결과에만 집착하게 될 것 같아 고민입니다. 혹은 의욕이 떨어지거나요 어떤 마음가짐으로 대학원 생활을 하는게 맞을까요? 혹은 연구실이 저랑 맞지 않으니 다른 곳으로 옮기는게 좋을까요?경험 있는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4.01.09

교수님이 하라는 곳으로 하려는 거 같습니다. 본인 생각과 달라도…. 교수님이 원하는 데로 100을 하려면 힘들지 않을까요? 적당히 마음가짐 하는 것도 좋겠네요. 롱런 이니깐요.

대댓글 1개

2024.01.09

그룹이 작아서 주 2회 교수님께 progression 보고해야 하는데 답답합니다. 관심 프로젝트 외에는 지원을 끊기도 하시구요..
깔끔한 피보나치*

2024.01.09

교수가 희안한 인간이네. 연구실 내에서 경쟁에서 뒤쳐져서 도태되면 어쩌라구. 교수 본인 실적만 중요한가 보네. 학생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대댓글 3개

2024.01.09

도태되면 도태되는거지 그걸 교수가 반드시 책임질 의무가 있는건 아님.
실무를 교수가 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한명이 도태되면 그친구 살리려고 교수가 다른 잘하는 친구 희생하게 되있는 구조
님이 반대로 그 잘하는 사람 입장이 안돼봐서 모르는듯.
교수는 1차적으로 연구자이고 그다음이 교육자임.
애초에 대학원도 교육기관보다는 연구기관 성격이 더 큼.
보육소도나 중고딩도 아니고 대학원에서 도태되면 본인이 이겨 내야하는거.

2024.01.09

원글보면 석사 하던데 말고 다른데서 박사하는거 같고, 입학한지 1년차라는데 이런말 하는건 ㅋㅋㅋ; 하다 못해 경력직 뽑은 회사들도 적응기간 줍니다.

2024.01.09

제가 걱정되는 부분은 학생들이 속도에 집중하다보니 과정 중에 충분히 고민하고 성장하기 보단 교수님이 목표한 데이터 뽑는데에만 에너지를 쏟는 것 같습니다. 결국 운좋게 데이터가 나오지 않으면 주제를 계속 바꿔야 한다는 말인데, 학생 입장에서는 의욕이 떨어지는게 사실입니다. 만약 실력 기르는 것보다 운에 의존도가 커지는 태도라면 졸업 후에도 과연 독립적으로 연구할 능력이 될까요?

2024.01.09

당연한거임
님 생각해보셈
님이 사장인데 직원이 자기개발하면서 회사 실적에 도움안될거 하려고 하면 님 좋아할거임?
역지사지 좀 해보셈
올해 연구비 줄여서 실적 되는 것만 해야 다음 연구비 따서 연구실이 돌아가니까 그렇게 경쟁시키고 결과 중심으로 가는거지
님이 님원하는 주제로 성공할거란 보장있어요?
그리고 결과 중심으로가는게 님한테도 취업할때 훨씬 좋음
학생이나 교수나 그게 윈윈하는거

대댓글 1개

2024.01.10

그럴꺼면 사업을 하지 뭐하러 교수를 함ㅋㅋ

2024.01.09

같은 일을 두명에게 시키는게 과연 효율적인지 대한민국에서는 잘 모르겠다..

2024.01.09

교수가 노예 굴리는 법을 잘 아시는 분이네요 본인이 이기는 쪽이였으면 불만이 없었을 겁니다

2024.01.09

미국 대가랩도 아니고 무슨 한국에서 저러냐

대댓글 1개

2024.01.09

미국 소형랩입니다..제가 상황을 잘못 인지하고 있는 걸까요?

2024.01.09

교수님 지도 성향이 그런거같네요... 저였으면 상황 맞춰서 내가 할수있는걸 했을듯.

2024.01.10

이런 랩 있어요.

성향에 안맞으면 비추 전 개인적으로 저렇게 랩 운영하는거 반대예요. Research misconduct 가 저래서 생기는거거든요.

미국에서 학위할때 옆 랩이 딱 저랬는데 서로 막 인큐베이터도 자물쇠로 잠궈놓고 아무도 쉐어 안하려고 그러고 근데 실적은 네이처, 셀 잘 나오긴 했어요. 다들 죽자고 하니까

같은 프로적트에서 실적 잘 내면 일저자고 아니면 완전 밀리니까요.

2024.01.10

학생때는 좋은 저널에 빨리 논문 통과 되는 것만 생각하지만 그래봤자 브레이크 쓰루는 아니라고 지도교수는 생각할 수 있습니다. 시키는 거 하면서 기초 다지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조급하지 말고 포닥 때 자기 연구 커리어를 발전 시키는 거 까지 봐야됩니다.
선배들 포닥이 그저그런 곳이거나 포닥 때도 연구주제 같은 거 반복하면 다른데 가세요.

2024.01.10

학계에 남고싶다면 장기적으로는 옮기는게 좋고요.
적당히 실적내서 좋은 곳 취업하는게 목표면 지금도 나쁘지 않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