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지방 사립대 4학년이 되는 학생입니다. 생명공학과이고 바이오의약품에 관심이 있어서 제약공학과 복전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공을 살리고자 대학원 진학을 고민중인데 제가 한창 마음이 힘들 때 성적을 개판쳐서 현재 3.19의 학점을 갖고 있고요, 토익 점수는 이번에 800점을 목표로 따려고 합니다. 연구실 학부생 인턴 경험도 없고 그냥 실험동물교육만 해본 초라한 사람인데 제가 대학원이라는 곳을 갈 수 있을까요? 아니면 그냥 바로 취업을 알아보는게 나을까요ㅠㅠㅠ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4.02.07
제가보기엔 솔직히 말하면 전공을 살릴 수준의 연구가 가능한 대학원에 가기 힘들 것 같습니다. 만약 지금이라도 정신차리셨고 졸업전이시라면 5학년이나 필요시 6학년까지 하면서 재수강으로 학점을 덮어야할 것 같습니다. 랩생활도 좋지만 학점이 이정도면 랩에 들어갈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대댓글 2개
2024.02.07
헉 이제 진짜 다시 끌어보려고 결심은 했는데 그래도 불가능이라니 충격적이네요ㅠㅠㅠ 3.5 에 토익 800점 이상이라도 대학원 불가능일까요ㅠㅠㅠ
2024.02.08
토익은 사실 각 대학원이 요구하는 최저점수만 맞추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희망학교의 입시요강에서 확인바랍니다. 학점은 솔직히 많이 낮습니다. 4.5만점이라면 최저 3.6이상, 4.3만점이라면 3.5이상 정도는 맞춰오셔야 합격이 아닌 고려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지방 사립대가 포공, 한국외대 용인캠, 한양대 안산캠, 아주대, 인하대, 항공대가 아니라면 더더욱 어려워보입니다. 물론 자대 대학원을 가실 수도 있겠지만 포공을 다니시는게 아니시라면 대학원을 가서 제대로 연구하기는 어려울겁니다. 우선 학점을 최우선으로 맞추시고 졸업시기 1년전쯤에 랩인턴을 신청해보세요.
2024.02.07
재수강 하셔서 3.5는 맞추시는게..
대댓글 1개
2024.02.07
네 이번에 재수강 신청했네요... 잘 해볼게요
2024.02.08
충분히할수있어요 다만 열심히 포기하지않고 매일 매일 막차까지 펜과 파이펫잡고 엉덩이와싸울수있다면
2024.02.09
김박사넷에도 최근에 올라온 글을 첨언하면, 대학원 진학엔 정해진 스펙이 없습니다. 마음 먹으셨으면 열심히 결과를 만드시고, 겁먹지말고 상위 대학원부터 차례대로 컨택해봐요.
학점이 전공 이해도를 늘 비례하진 않지만, 낮긴 하다보니 잘 알고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품는 경우가 더러 있을수 있습니다. 많이 배워두세요
2024.02.09
스펙 상관없어요 걍 님하고싶은 마음이 대학원동안 계속 유지되고 목표를 바라는 욕망과 노력이 꺾이지 않고 계속되면 됩니다. 물론 높은 곳의 대학원에서는 님을 안받을 확률도 있겠지만 이미 엎질러진 물이니 님 성적에 맞는 대학원들어가서 열심히 하면 될겁니다.
2024.02.10
흠... 3.0만 념으면 못 갈 곳은 없으나... 대학원 가서 좀 고생을 많이 하겠죠, 간혹 실험하고 데이터 정리하고 해석하는 게 잘 맞는 분들이 있어요, 교과서 보다는 저널 읽는 걸 더 쉬워하는 학생들도 있어서 학습력이 엄청 좋아지는 경우도 종종 봤습니다. 공부를 잘 하는 게 대학원 연구에 크게 도움은 되지만 전부는아니니 너무 걱정하지 말고 도전해 보시죠~ 요즘은 유튜브에 전공별 영상들이 많아요, 미국 MIT나 스텐포드 같은 유명대학 강의부터 sky 동영상 강의도 찾으면 좋은 게 많습니다.
2024.02.10
혹시 어느 대학원으로 계획 중입니까?? 만약에 자대 대학원이면 몰라도, 상위권 대학원(spk) 이상으로 가야 할 경우에는 그 정도의 학점으로는 아마 서류컷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보다 레벨이 낮은 연고 대학원이나, 서성한 대학원, -ist 대학원(kaist 제외)도 장담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지금 상황으로는 재수강을 해서 학점을 최대한 높이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참고로 학부와 대학원은 정말로 달라요!! 학부는 교수님 수업에 충실히 듣고 기록을 남기면 확실히 학점을 땁니다. 대학원은 학점이 중요한 것보다, 자신의 연구 논문을 읽고 아이디어를 얻어내서 실험을 하고 결과를 내야 해요!! 그래서, 주입식 교육이 통하지 않아서, 방목형 교육에 익숙하지 않고 연구에 대한 목표가 없다면 가급적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
2024.02.07
대댓글 2개
2024.02.07
2024.02.08
2024.02.07
대댓글 1개
2024.02.07
2024.02.08
2024.02.09
2024.02.09
2024.02.10
2024.02.10